반응형 화랑세기58 비대(比臺) 삼국사기 거칠부 열전에 보이는 비태(比台)와 같은 인물일 가능성이 크다. 臺는 약자로 흔히 台를 쓰기 때문이다. 화랑세기 미진부공 전 : 미진부공(未珍夫公)은 아시공(阿時公) 아들이다. 어머니는 삼엽궁주(三葉宮主)이니 법흥대왕 딸이다. 꿈에 백학을 보고 낳았다. 공은 모습이 아름답고 재주가 많아, 법흥대왕이 총애했다. 비대공(比臺公) 등과 함께 궁중에서 자랐다. ☞비태(比台) 삼국사기 권 제44(열전 제4) 거칠부 열전 : (진흥대왕) 12년 신미(진흥왕 12년: 551)에 왕이 거칠부와 대각찬(大角) 구진(仇珍), 각찬 비태(比台), 잡찬 탐지(耽知), 잡찬 비서(非西), 파진찬 노부(奴夫), 파진찬 서력부(西力夫), 대아찬 비차부(比次夫), 아찬 미진부(未珍夫) 등 여덟 장군에게 명하여 백제와 더불어.. 2018. 3. 5. 미진부(未珍夫) 화랑세기 미진부공 전 : 미진부공(未珍夫公)은 아시공 아들이다. 어머니는 삼엽궁주(三葉宮主)이니 법흥대왕 딸이다. 꿈에 백학을 보고 낳았다. 공은 모습이 아름답고 재주가 많아, 법흥대왕이 총애했다. 비대공(比臺公) 등과 함께 궁중에서 자랐다. 그 때 법흥대왕의 옥진궁주에 대한 사랑이 극진해 지소태후가 (진골)정통이 즉위하기 어렵다 하면서, 삼엽과 함께 아시공이 태후를 지지했다. 이로써 태후가 삼엽(三葉)과 공을 총애했다. 태후가 정치를 맡게 되자 공을 폐신(嬖臣)으로 삼으니 그 때 공은 나이가 16살로 능히 태후 뜻에 부합할 수 있었다. 앞서 삼산공(三山公) 딸인 준정(俊貞)이 원화(源花)가 되어 많은 낭도를 두었다. 그 때 법흥대왕 딸인 남모공주(南毛公主)는 백제 보과공주(寶果公主) 소생인데, 또한 뛰.. 2018. 3. 5. [추적, 한국사 그 순간 –8-] 백제 멸망케 한 황산벌 승리의 비결 김유신, 조카이자 사위인 반굴 제물 삼아 계백 이기다 [중앙선데이] 입력 2017.01.08 00:44 | 513호 18면 『삼국사기』 권제47 열전 제7이 표제로 내세운 인물 중 김영윤(金令胤)의 전기는 실은 그를 중심으로 그의 아버지 김반굴(金盤屈), 그리고 그의 할아버지 김흠춘(金欽春)에 이르는 3대에 걸친 가문 이야기다. 비록 짧은 분량에 지나지 않으나, 반굴과 흠춘에 대한 생애의 몇 가지 중요한 단락을 보충한다. 김영윤에 앞서 등장하는 반굴과 흠춘의 행적은 다음과 같다. “김영윤은 사량(沙梁) 사람으로 급찬 반굴(盤屈)의 아들이다. 할아버지인 각간(角干) 흠춘(흠순·欽純이라고도 한다)은 진평왕(眞平王) 때 화랑이 됐는데 인덕이 깊고 신의가 두터워 뭇 사람의 마음을 얻었다. 장성하자 문무대왕이 발.. 2018. 1. 20. [추적, 한국사 그 순간 -4-] 선덕여왕과 3색 모란꽃 ‘씨내리’ 남자 셋 들이고도 임신 못한 선덕여왕 [중앙선데이] 입력 2016.09.18 00:46 | 497호 23면 “신이 듣기에 옛날에 여와씨(女媧氏)가 있었으나, 그는 진짜 천자가 아니라 (남편인) 복희(伏羲)가 구주(九州)를 다스리는 일을 도왔을 뿐입니다. 여치(呂治)와 무조(武?) 같은 이는 어리고 약한 임금을 만났기에 조정에 임해 천자의 명령을 빌린 데 지나지 않아, 사서에서는 공공연히 임금이라 일컫지는 못하고 다만 고황후(高皇后) 여씨(呂氏)라든가 즉천황후(則天皇后) 무씨(武氏)라고만 적었습니다. 하늘로 말한다면 양(陽)은 강하고 음(陰)은 부드러우며, 사람으로 말한다면 남자는 존귀하고 여자는 비천한 법이니, 어찌 늙은 할망구(??)가 규방을 나와 국가의 정사를 처리하게 할 수 있습니까? (.. 2018. 1. 20. 이전 1 ···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