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장실11 경복궁 화장실 이번 경복궁에서 발견된 화장실 주변 배치 통장청의 동쪽으로 문기수청, 춘방(세자시강원), 계방(세자익위사)가 있다. 문기수청 마당의 동쪽문으로 나와 북쪽으로 올라가면 화장실(주황색)이 있다. 아마 주변관청(춘방, 계방, 통장청)도 이 화장실을 썼을 것이다. 춘방 동쪽으로 금천 위로도 화장실이 있는데, 이렇게 금천 위에 화장실이 표시된 곳은 이곳 말고도 여러 두세곳 더 있다. 진짜 금천으로 바로 풍덩했을지 별도의 여과시설이 있는지는 아직은 의문이다. *** 이상은 궁궐 유튜버인 서울역사박물관 홍현도 선생 글이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에서 경복궁 화장실 발굴 발표에 즈음해 쓴 글이다. 뭐 이참에 나도 좀 팔아묵겠다 심산인데 그러면서 지 유튭 영상도 링크했다. https://m.youtube.com/watch?.. 2021. 7. 8. UOMO vs. DONNA, 21세기를 번성하는 상형문자 이건 일전에 두 사진을 나란히 놓고는 내가 이렇게 말한 적 있다. 유럽똥간 얘기를 아니할 수 없다. 이쪽은 남자 소피 보는 시설이 따로 없는 일이 많더라. 오늘 어느 식당서 마주친 이 마크 보곤 순간 어느쪽이 남자인지 고민했다. 돈나 돈나 마돈나 생각이 나서 돈나가 여자인 듯 해서 겐또 찍었더니 맞았단다. 자세히 보니 우오모인지 아래엔 구두 그림인데 첨엔 여자 성긴 줄 알았다. 여자쪽 그림은 무엇을 도안한 것일까..(2017. 7. 23) 이태리어는 접한 적 없는 내가 우오모 UOMO 가 남자요, 돈나 DONNA 가 여자인 줄 알 리가 있겠는가? 이 얘기를 다시 꺼내는 까닭은 나는 상형문자를 잠깐 생각해 봤음해서다. 이는 분명 21세기에도 강력하게 작동하는 상형문자의 힘이다. 인류문명사에서 문자 발명을 .. 2021. 3. 29. 부여 능산리 절터의 백제 똥통 부여 능산리 사지 이 백제시대 목교가 다리껄이 아니라 실은 수세식 똥통이라고 배병선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장이 말한다. 그 말 듣고는 현장 확인차 그제 하루 휴가를 낸 김에 들렀다. 감상은? 똥통 맞다. (2015. 8. 6) *** 이상과 같은 페이스북 포스팅에 아래와 같은 댓글들이 있었다. 음미할 대목이 많아 전재한다. (노기환) 형태와 장소를 생각하면 그렇다면! 생각해봐야하는 유적이, 유구가 있을 듯! (김태식) 유감스럽게도 저걸 발굴했을 땐 기생충 검사를 하지 못했다. 현장을 안내한 부여문화재센터 심상육 부장에 의하면 저와 흡사한 목구조 시설이 부여 관북리에도 발견됐다 한다. 본인이 조사한 유적으로 능산리와 차이는 그곳엔 판재를 대고 뒤쪽엔 흙채움을 한 점이라 한다. 관북리는 추가 조사를 위해 유구는.. 2020. 8. 6. 서각을 푸는 사람들 일전에 내 고향 김천에선 똥을 푸는 일을 '서각을 펀다[혹은 푼다]' 하면서, '서각'이 도대체 무어냐 물었더니 모두가 꿀먹은 벙어리였다. 내 고향에선 뒷간을 가리키는 명사로는 '통시'가 압도적이었으니, 그럼에도 이 통시에서 똥오줌을 퍼 내는 일을 희한하게도 '서각을 펀다'라고 했으니, 이 경우 '펀다' 혹은 '푼다'라는 말이 액체를 바케스 같은 기구를 이용해서 퍼 올리는 일임은 의심할 나위가 없거니와, 통시에서 이 일을 할 때 도구는 딱 두 가지가 필요한데 하나는 '똥장군'이요, 다른 하나나는 '똥바가지'였다. 이 일이 우리 집에서는 말할 것도 없이 선친 몫이었거니와, 이 똥장군 생김새는 다시 말할 나위가 없겠고, 똥바가지로 퍼서 똥장군에 넣은 다음에, 그 주둥이는 대체로 짚풀로 막아서는 그걸 지게에 .. 2019. 12. 10. 덴마크에서 발견된 천년전 바이킹 화장실 http://www.histecho.com/1000-year-old-viking-toilet-uncovered-in-denmark/ 덴마크 Stevns라는 곳에 위치한 바이킹 거주지(a Viking settlement)에서 덴마크에서는 가장 오래됐을 가능성이 있는 화장실용 2미터 깊이 구덩이가 발견됐다. 이 구덩이는 그 문화층 시료를 방사성탄소연대한 측정 결과 바이킹 시대에 속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건 전적으로 우연에 의한 발견입니다. 우리가 기대한 건 수혈주거지(pit houses), 다시 말해 반지하식 작업장 움막(semi-subterrenean workshop huts)이었는데 지표에서 (처음 그 흔적을 찾았을 때는) 진짜 그런 줄로 알았죠. 하지만 이내 그와는 전연 다른 것임을 알았죠”라고 덴.. 2019. 2. 11.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