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515

하늘에서 술이 비처럼 내려와 권2에 이런 시가 있다. 제목은 "술을 보낸 벗에게 사례하다". 근래엔 술마저 말라버려 / 邇來杯酒乾 이것이 내 온 집안 가뭄이었는데 / 是我一家旱 감사하구려 그대 좋은 술 보내주어 / 感子餉芳醪 때맞춰 내리는 비처럼 상쾌하네 / 快如時雨灌 이규보가 느낀 희열이 스무 자 시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2020. 12. 28.
'좌우지장지지' 청남菁南 오제봉吳濟峯(1908-1991)의 글씨 1. 좌우지장지지지를 떠올리면 옛날 사람. 2. "늙어감에 장차 이르는 줄 알지 못하는 집"이라! 어쩐지 신선이 살 것만 같은 이름이다. 왜 속담에도 있잖는가, 신선 놀음에 도끼자루 썩는 줄 모른다고. 언뜻 들어서는 도가풍이 물씬 풍긴다. 하지만 이 이름의 근원은 다. 유학의 성인 공자孔子의 언행을 모은 그 말이다. 공자의 제자 중에 자로子路라고, 성격이 퍽 드센 분이 있었다. 근데 섭공葉公이란 사람이 자로에게 "공자란 어떤 분이오?"라고 물었던 모양. 자로는 대답을 하지 않았다. 그 이야기를 듣고 공자께서 가라사대, "女奚不曰 其爲人也 發憤忘食 樂以忘憂 不知老之將至云爾" "자네 왜 이렇게 말해주지 않았는가? '그 사람됨은 학문에 발분하면 밥 먹는 것을 잊고, 학문을 즐김에 시름을 잊으며, 늙어감에 장차.. 2020. 12. 24.
염치 불구하고 빈 술동이를 보내니 담아주소서..아버님이 자시고 싶다기에.. 존경하는 페친 박진우 선생님 포스팅을 보다 흥미로운 글을 읽었다. 아버지가 술을 드시고 싶어하는데, 성균관 근처에서 파는 술은 영 맛이 떨어지니 염치없지만 댁에서 담근 술을 한 동이 걸러서 보내달라는 옛 간찰 속 이야기였다. 오죽 아버님이 술을 좋아하셨으면...그리고 아들이 얼마나 효성스러웠으면(어쩌면 아버님이 빨리 술 좀 받아오라고 하셨을지도 모를 일이나) 이런 간찰을 써서 보냈겠는가. 여러 가지로 생각할 거리를 주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왜 성균관 술맛 얘기를 했을까? 그 간찰을 쓴 이만상(1622-1645)이란 분이 뉘신지 알고 보니 이해가 간다. 그의 할아버지는 조선 중기 한문 4대가 중 하나로 꼽히는 월사 이정구(1564-1635)요, 아버지는 대제학을 지낸 백주 이명한(1595-1645)이다. .. 2020. 12. 24.
전천후 친일파 박영철朴榮喆의 일본 찬양시 *** 이하는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강민경 선생 글이다. 1. 다산多山 박영철朴榮喆(1879~1939)만큼이나 "친일반민족행위자"라는 말이 어울리는 사람도 드물다. 그는 전주의 부잣집 아들로 태어나 대한제국의 관비유학생으로 일본에 갔고, 일본 육사 15기로 러일전쟁에 종군했다. 강제합병 뒤 1912년 일본 육군 소좌로 전역한 박영철은 강원도지사와 함경북도지사, 삼남은행장, 조선상업은행 부은행장과 은행장, 경성방송국 이사, 동양척식주식회사 감사, 조선맥주주식회사 취체역(지금의 이사)을 거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까지 올랐던, 당시로서는 입지전적이라고 할 만한 인물이었다. 이토 히로부미의 양딸 배정자와도 같이 살았고, 3.1운동을 비난했으며 일제로부터 여러 차례 훈장을 받기도 했던 그를 “친일반민족행위자.. 2020. 12. 23.
동파거사 담배 배우시다 소식: 웩! 퉤퉤, 아니, 이 요망한 건 뭐냐? 오상순: 아 선배님도, 이게 담배 아닙니까 담배. 술 한 잔 걸치면 이놈을 뺄 수 없지요. 아 아니 그런가 횡보! 염상섭: 허허 그렇고말고요. 하지만 송나라 때는 아마 담배가 없었지 무애? 양주동: 그렇지요. 중국으로 치면 명나라 때 들어오니까, 그땐 남쪽에서 오는 신령한 풀이라고 했다지요. (라이터를 키며) 선배님이 아직 이 맛을 모르셔서 그렇지 익숙해지면 술만큼 자주 찾을 겝니다. 아니 그런데 노산 이 친구는 왜 안오누? ㅡ 이 때, 헐레벌떡 뛰어오는 딸깍딸깍 발소리. 손에는 자기 문집과 술 큰 거 한 병을 들고 있는 이은상이다. 이은상: 동파 선배님이 계시다구? 어디, 어디 계시는가? 이 시를 보여드려야는데! by 강민경 2020. 12. 23.
주선시불회합도酒仙詩佛會合圖 이규보: "제가 왕년에 주필이당백이라 이름 좀 날렸습니다, 어흠!" 정철: "선배님보다야 못하지만 저도 술과 시라면 빠지지 않지요!" 이백: "호오, 제법이로다." 변영로: "아이고~선배님들, 저를 빼놓고 여기 계시면 어떡합니까 ㅠㅠ" ㅡ 수주 선생은 소주병을 들고 뛰어들어온다. 이상 강민경 선생 글 그림이다. 말이 통하지 않아 필담으로 회의를 진행했단 말이 있다. 어차피 말이 필요했겠는가? 쏼라쏼라 헬레헬레였으니 말이다. 2020. 1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