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漢詩 & 漢文&漢文法556 버들피리 불다보니 어느새 청명이라 한시, 계절의 노래(309) 청명 날 우연히 쓰다[淸明日偶述] [明] 소담(蘇澹) / 김영문 選譯評 배꽃은 적적한데제비는 펄펄 날고 작약 울과 난초 밭둑에여린 잎 돋아나네 곳곳에서 아이들은버들피리 불면서 봄놀이 지속하며청명 날에 이르렀네 梨花寂寂燕飄零, 藥檻蘭畦嫩葉生. 處處兒童吹柳笛, 扶持春事到清明. 어릴 때 우리 시골에서는 버들피리를 ‘홀때기’라고 했다. 3월 말이나 4월 초쯤 거랑가(강변) 버드나무에 물이 오르면 낫으로 알맞은 줄기를 잘라 껍질을 통째로 비틀어 벗겨냈다. 그것을 홀때기 뺀다고 했고, 그렇게 뺀 홀때기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한쪽 끝 겉껍질을 1cm 정도 얇게 벗겨내고 그 부분을 입으로 불면 소리가 났다. 또 하나의 제작법은 벗겨낸 홀때기 중앙 윗 부위에 네모나게 구멍을 뚫은 후 그 부분.. 2019. 4. 5. 누굴 위해 피운지도 모르는 복사꽃 한시, 계절의 노래(308) 하규 마을 남쪽 복사꽃[下邽莊南桃花] [唐] 백거이(白居易, 772~846) 촌 남쪽에 끝도 없이복사꽃 피어 다정한 나만혼자서 왔네 저녁 바람에 붉은 꽃잎땅 가득 해도 누굴 위해 피는지아무도 몰라 村南無限桃花發, 唯我多情獨自來. 日暮風吹紅滿地, 無人解惜爲誰開. 잘 알려져 있다시피 백거이는 중당 문단을 장식한 대문호다. 시마(詩魔) 또는 시왕(詩王)이라 불릴 정도였으니 당시에 그의 명성이 어떠했는지 짐작할 만하다. 그는 특히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시를 쉽게 썼는데, 이는 그의 신악부(新樂府)뿐 아니라 모든 시에서 드러나는 경향이다. 이 때문에 북송 문호 소식(蘇軾)은 “원진은 경박하고 백거이는 속되다(元輕白俗)”라고 평했다. 하지만 이런 소식도 만년으로 갈수록 백거이 시와 .. 2019. 4. 3. 살구꽃 만발한데, 친구는 사라지고 한시, 계절의 노래(307) 고향 살구꽃[故鄕杏花] [唐] 사공도(司空圖, 837~908) / 김영문 選譯評 꽃에 부치고 술에 부쳐새로 핀 꽃 기뻐하려 왼손에는 꽃가지 잡고오른손엔 술잔 잡네 묻노니 꽃가지여그리고 술잔이여 옛 사람들 어찌하여함께 오지 않았는가 寄花寄酒喜新開, 左把花枝右把杯. 欲問花枝與杯酒, 故人何得不同來. 기쁨과 슬픔은 동전의 양면이다. 『주역』 64괘의 배열도 기본적으로 도전괘(倒顚卦)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지천태(地天泰) 다음에는 그것을 뒤집는 천지비(天地否)가 오고, 수화기제(水火旣濟) 다음에는 그것을 뒤집는 화수미제(火水未濟)가 온다. 말하자면 천지만물이나 세상만사의 이치가 흥진비래(興盡悲來), 고진감래(苦盡甘來)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꽃이 피고 지는 이치도 마찬가지다. .. 2019. 4. 3. 복사꽃 흐르는 예가 별유천지 한시, 계절의 노래(306) 산중문답(山中問答) [唐] 이백(李白) / 김영문 選譯評 푸른 산에 깃든 마음무엇이냐 물어와도 웃으며 답 않으니마음 절로 한적하네 복사꽃 뜬 계곡 물아득히 흘러감에 여기가 별천지인간 세상 아니라네 問余何意棲碧山, 笑而不答心自閑. 桃花流水窅然去, 別有天地非人間. 현실에서 고통을 겪으며 살아가는 사람들은 유토피아를 꿈꾼다. 기실 고통 없는 시대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우리는 언제나 유토피아를 꿈꾸며 산다고 할 수 있다. 유토피아는 어디에 있는가? 중국 동진(東晉) 도연명(陶淵明)은 「도화원기(桃花源記)」에서 봄날 복사꽃잎이 떠내려 오는 계곡물을 따라 올라가보라고 권한다. 복사꽃은 아련한 분홍빛으로 봄날의 산하를 곱게 물들인다. 가야산 홍류동(紅流洞) 계곡이나 지리산 화개동(花開洞) .. 2019. 4. 3. 참꽃, 두견새 울음 속에 잡아둔 봄빛 한시, 계절의 노래(305) 진달래에 흥이 겨워[杜鵑花漫興] [明] 장헌익(張獻翼) / 김영문 選譯評 꽃잎마다 잎새마다 향기를 머금은 채 아침마다 저녁마다 고운 경치 길게 잇네 무슨 일로 강남 땅에 봄이 다 가려는데 두견새 울음 속에 봄빛을 잡아두나 花花葉葉正含芳, 麗景朝朝夜夜長. 何事江南春去盡, 子規聲裏駐年光. 전설에 의하면 진달래는 두견새 피울음이 맺힌 꽃이다. 중국 상고시대 촉(蜀)나라 왕 두우(杜宇)가 원통한 한을 품고 죽어 두견새로 변했고 두견새 피울음이 진달래꽃에 배어 봄산을 온통 핏빛으로 물들인다는 것이다. 역대로 두견새나 진달래를 읊은 시는 거의 대부분 두우 전설에 기댄다. “두견새 울음 속에 봄빛을 잡아둔다”는 이 시 모티브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 시는 두견새의 원한보다는 고운 진달.. 2019. 4. 1. 이른 아침 길을 나섰다가 만난 옛 여인에게 이른 아침 길 나섰다가 우연히 옛 여자 만나 수레에서 지어준 시[早行逢故人車中爲贈] [梁] 심약(沈約) 殘朱猶曖曖 남은 연지 자국 아직 흐릿흐릿 餘粉上霏霏 남은 분 자국 여직 어릿어릿 昨宵何處宿 간밤엔 어디서 자고는 今晨拂露歸 이 새벽 이슬 털며 돌아가오 두번째 구절 上은 尙의 잘못이거나 통가자 아닌가 한다. 2019. 3. 31.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9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