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漢詩 & 漢文&漢文法556

늙음과 시절 탄식해봐야 한시, 계절의 노래(314) 난정기(蘭亭記) [宋] 왕백(王柏) / 김영문 選譯評 풍류 인물 성대한 모임난정에 잦았지만 각석 글자 분분해도어찌 진본 글씨 있으랴 늙음과 시절 탄식사모할 게 무엇이랴 천 년 동안 어느 누가기수 성인 기억했나 風流盛集數蘭亭, 刻石紛紛豈有眞. 嗟老感時何足慕, 千年誰記浴沂人. 동진(東晉) 왕희지(王羲之)는 영화(永和) 9년(353년) 삼월 삼일 벗, 친척 등 40여 명의 사람들과 회계(會稽) 난정(蘭亭)에서 봄모임을 가졌다. 술을 마시고 시를 지으며 화창한 봄날을 한껏 즐겼다. 그 풍경을 「삼월삼일난정시서(三月三日蘭亭詩序)」에 기록해놓았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늦봄 기수(沂水)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봄바람을 쐰 후 노래를 부르며 돌아오는 공자와 제자들의 봄나들이가 난정 모.. 2019. 4. 10.
봄비 내린 빈뜰에 다투어 돋는 풀 한시, 계절의 노래(313) 봄비 내린 후[春雨後] [唐] 맹교(孟郊, 751~814) / 김영문 選譯評 어제 밤 잠깐 사이내린 가랑비 하늘이 만물을살리려는 뜻 무엇이 가장 먼저알아차렸나 빈 뜰에 풀 새싹다투어 돋네 昨夜一霎雨, 天意蘇群物. 何物最先知, 虛庭草爭出. 가수 정태춘은 “봄은 오고 지랄이야”라고 노래했다.(「섬진강 박 시인」) 청춘을 지나 중년에 접어든 사람의 시니컬한 반응이다. 세월이 중년으로 들어서서 노년을 향해 치달려 가면 어린 시절의 감성과 열정이 시들어 새봄도 데면데면한 느낌으로 맞기 쉽다. 게다가 먹고살기에 바빠 꽃놀이 할 마음이나 시간조차 나지 않는 경우엔 저절로 “봄은 오고 지랄이야”라는 욕지거리가 나오기 마련이다. 봄비가 오고 새싹이 돋는 게 내 목구멍 풀칠과 무슨 상관이란 말.. 2019. 4. 10.
연기조차 없는 한식날, 내맘은 불타고 한시, 계절의 노래(312) 한식(寒食) [唐] 심전기(沈佺期, 650?∼714?) 또는 이숭사(李崇嗣, ?~?) / 김영문 選譯評 드넓은 하늘 아래화염 다 꺼져 온 대지에 연기도모두 숨었네 그런데 어디서불이 붙어서 나그네 마음을태우고 있나 普天皆滅焰, 匝地盡藏煙. 不知何處火, 來就客心然. 한식(寒食)을 직역하면 ‘찬밥’이다. 이날 하루는 불을 피우지 않고 찬 음식을 먹는다는 의미다. 왜 불을 피우지 않을까? 중국 전설에 의하면 춘추시대 진(晉) 문공(文公)과 개자추(介子推)의 이야기가 배경에 깔려 있다. 진 문공 중이(重耳)는 부친 진 헌공(獻公)의 계비(繼妃) 여희(驪姬)에게 쫓겨나 19년 동안 천하를 방랑하며 온갖 고통을 겪었다. 한때 먹을 것이 없어 배를 곯게 되자 진 문공의 충신 개자추가 허벅다.. 2019. 4. 7.
살구꽃비에 옷깃은 촉촉히 젖어들고 한시, 계절의 노래(1) 절구(絶句) [宋] 승지남(僧志南) / 김영문 選譯評 늙은 나무 그늘 속에다북쑥 싹 짧게 돋아 지팡이에 몸 기대고다리 동쪽으로 건너가네 살구꽃비에 내 옷이촉촉하게 젖어드는데 얼굴 스치는 버들 바람도차갑지 않구나 古木陰中系短篷, 杖藜扶我過橋東. 沾衣欲濕杏花雨, 吹面不寒楊柳風. 절기가 청명에 이르면서 꽃샘추위도 한 풀 꺾였다. 얼굴에 스쳐오는 바람에 훈기(薰氣)가 느껴진다. 완연한 봄바람이다. 그 봄바람에 ‘행화우(杏花雨)’ 즉 ‘살구꽃비’가 쏟아진다. 가랑비나 보슬비에만 옷이 젖는 것이 아니다. 살구꽃비에도 봄옷이 촉촉하게 젖는다. 옷을 적시는 물질은 습기가 아니라 향기다. 그러므로 향기로 옷을 적시는 비는 세우(細雨)나 미우(微雨)가 아니라 향우(香雨)다. ‘살구꽃비(杏花雨)’는.. 2019. 4. 6.
주막을 물었더니 살구꽃 마을을 한시, 계절의 노래(311) 청명(淸明) [唐] 두목(杜牧, 803 ~ 852) /김영문 選譯評 청명절 부슬부슬봄비 내리니 길 가는 나그네마음 찢기네 여보게 주막은어디 있는가 목동 멀리 가리키네살구꽃 마을 淸明時節雨紛紛, 路上行人欲斷魂. 借問酒家何處有, 牧童遙指杏花村. 우리는 요즘 추석에 성묘하는 것이 이미 풍속이 되었다. 옛날에는 한식(寒食)에 성묘하고 산소에 가토(加土)를 했다. 겨우내 얼었던 땅이 풀리면 선조들의 무덤이 무탈한지 살폈다. 산소의 흙이 무너진 곳에는 새로 흙을 덮어주고 잔디가 죽은 곳에는 새로 잔디를 심었다. 한식과 청명은 대개 하루 차이인데 이 무렵에는 땅의 생기가 가장 왕성하여 부지깽이를 꽂아둬도 싹이 난다고 할 정도다. 중국에서도 옛날에는 ‘청명소묘(淸明掃墓)’라는 말을 자연스럽.. 2019. 4. 6.
뇌염 걸렸다는 가짜뉴스에 대한 루쉰의 반응 한시, 계절의 노래(310) 내가 뇌염에 걸렸다는 보도를 접하고 장난삼아 짓다[報載患腦炎戱作] [現代] 루쉰(魯迅, 1881~1936) / 김영문 選譯評 치뜬 눈길로 어떻게고운 눈길 빼앗겠나 그런데 뜻밖에도여인들 마음 어겼다니 나에 대한 저주를이젠 수법 달리해도 여전히 얼음 같은나의 머리만 못하리라 橫眉豈奪蛾眉冶, 不料仍違衆女心. 詛呪而今翻異樣, 無如臣惱故如氷. 1934년 중국 톈진(天津) 『대공보(大公報)』 「문화정보(文化情報)」 코너에 루쉰이 심한 뇌염에 걸려 10년 동안 두뇌활동을 할 수 없다는 가짜뉴스가 실렸다. 당시 중국에도 얼토당토않은 가짜뉴스가 횡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루쉰은 당시 상하이에 거주하고 있었으므로 베이징에 계신 어머니가 걱정할까봐 마음을 놓지 못했다. 이에 그는 베이징 미명사.. 2019.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