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호철의 잡동산이雜同散異286

왕사신汪士慎《묵매도墨梅圖》 청나라 왕사신汪士慎《묵매도墨梅圖》 汪士慎(1686年-1759年),字近人,號巢林,又號溪東外史,安徽歙縣人。清代画家,“扬州八怪”之一。 生於歙縣富溪村,好飲茶,有“茶仙”之稱。善诗,精篆刻和隶书;性愛梅,常至梅花嶺賞梅,擅畫花卉,笔墨清劲。居揚州以賣畫為生,安貧樂道。晚年雙目失明。有《巢林画集》。 2021. 1. 9.
비작경飛鵲鏡과 파경破鏡, 그리고 바람 비작경飛鵲鏡이란 게 있다. 구리거울에 까치가 있는 것을 이른다. 이 거울은 아름답지 않은 전설에 따라 만든 것이다. 《태평어람太平御覽》에 《신이경神異經》의 내용이 전한다. 그에 따르면, '옛날 어떤 부부가 떨어지며 거울을 깨뜨려[破鏡] 각기 반씩 나누어 징표로 삼았는데, 아내가 어느 놈과 사통하자 그 거울이 까치가 되어 남편에게 날아가서 남편이 알게되었다'는 것이다. 거울에 까치 새긴 뜻은 이런 것이다. 그러나 고대 이 전설은 생각할 부분이 많다. 우선 파경破鏡은 破獍이라고도 하는 아비 잡아먹는다는 흉악한 전설 속 동물을 이르기도 한다. 뭔가 마구 뒤섞여 나도 모르겠다. 그러나 구리거울 나누는 이야기는 우리 설화에도 더러 보인다. 거기에는 이런 의심이 깃든 것이다. 《太平御覽》卷七一一引《神異經》: “昔有.. 2021. 1. 6.
처첩妻妾, 처妻와 첩妾 “처(妻)는 제(齊)이니 남편과 한 몸이 되는 사람이고, 첩(妾)은 접(接)이니 겨우 접견만 할 수 있을 뿐이다. 귀함과 천함이 본래 정해진 분수가 있으니 어찌 바꿀 수 있겠는가.[妻者 齊也 與夫齊體之人 妾者 接也 僅得接見而已 其貴賤自有定分 豈可易哉] ”《大明律釋義 권6 4장》 妻 [qi1] 卷十二 女部 反切:七稽切 📷 婦與夫齊者也。从女从屮从又。又,持事,妻職也。 臣鉉等曰:屮者,進也,齊之義也,故从屮。 📷 古文妻从𡭙、女。𡭙,古文貴字。 妾 [qie4] 卷三 䇂部 反切:七接切 📷 有辠女子,給事之得接於君者。从䇂从女。《春秋》云:“女爲人妾。”妾,不娉也。 *** related article *** 단군조선 이래 한반도에 일부다처제는 존재한 적 없다 단군조선 이래 한반도에 일부다처제는 존재한 적 없다 이 말은 하도 여러.. 2020. 12. 25.
믿을 것 못 되는 족보 족보는 얼마나 믿을만한 기록일까? 정신 나가고 할 일 없는 영감님들 가운데 선조가 족보에는 이리 훌륭한데 실록에는 나쁘게 실렸다고 고쳐달라며 국사편찬위원회 괴롭히기도 한다. 우리집안은 고려시대부터 지금까지 돌아가신 분과 산 사람 모두 합쳐 4만명이 조금 넘는다. 자세히 보면 남녀 성비가 극악한 수준이다. 아들 낳는 재주가 탁월해서가 아니라 필요치 않으면 빼버려서 그런 것이다. 여러분 족보라고 다를 줄 아는가? 족보 믿지 마시라. 2020. 12. 25.
선우추鮮于樞 《초서 한유 진학해草書韓愈進學解》 2020. 12. 24.
당唐 고한高閑 《초서천자문草書千字文》 2020. 1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