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호철의 잡동산이雜同散異286

한복치마 얼마 전 예식장에 갔다가 곱게 한복을 차려 입은 여자 분이 앞에 가는데 치맛자락 방향이 오른쪽으로 가게 입었더라. 나는 그렇게 입은 건 기생품으로 알고 있어서 속으로 웃었다. [신윤복의 《야금모행(夜禁冒行)》의 저 여인이 입은 게 기생품] 그런데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자락치마〉에 이런 구절이 보인다. "조선시대 자락치마를 입는 방법은 신분에 따라서 달랐다. 일반 부녀자는 치마를 오른쪽으로 여며 입었으며, 양반집 부녀자는 왼쪽으로 여며 입었다. 그러나 경상도 지방에서는 반대로 대부분 양반집 부녀자가 치마를 오른쪽으로 여며 입었고, 치마를 왼쪽으로 여며 입으면 ‘상놈’이라고 하였다." 이게 사실이라면 내심 비웃은 것은 잘못이렸다. 2020. 12. 23.
동기창董其昌 《초서천자문草書千字文》 2020. 12. 23.
번역의 고통, 음악 용어의 경우 번역을 할 때 누구나 소심해지는 부분이 있는데, 나는 음악에 관한 부분이 나오면 어디부터 손을 대야 할지 몰라 쩔쩔맨다. 금성옥진(金聲玉振)이라는 상투적인 말도 '쇠북'이라는 게 뭔지 막막하다. 번역을 할 때 내가 이해하지 못하면 독자에게 바른 의미를 전달할 수 없다. 그나마 금성옥진에 대한 설명으로는 비교적 많이 이해한 부분이다. 《주자어류》 권58 〈맹자 8〉에 선생이 우연히 율려에 대해 언급하였다. 주희: 관(管)에는 길고 짧음이 있다면 소리에는 맑고 탁함이 있다. 황종은 가장 길어서 소리가 가장 탁하고, 응종은 가장 짧으니 소리가 가장 맑다. 시거: 황종은 본래 궁음이지만 《주례》에서 천신(天神) 인귀(人鬼) 지시(地示)에게 제사지낼 때는 그 음악을 혹은 황종으로 궁을 삼거나 혹 임종으로 궁을 삼.. 2020. 12. 22.
주희가 말하는 독서법 “책을 읽을 때는 먼저 일정한 진도를 세우지 않으면 안 된다. 딱 농사일과 같으니, 농토에 논두렁을 두는 것처럼 한다. 학문을 하는 것도 역시 그러하다. 오늘날 처음 배우는 사람들은 이 이치를 알지 못하니, 처음에는 매우 민첩하다가 점점 게을러져, 결국에는 전혀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단지 처음에 일정한 진도를 세우지 않았기 때문이다.[讀書不可不先立程限. 政如農功, 如農之有畔. 爲學亦然. 今之始學者不知此理, 初時甚銳, 漸漸懶去, 終至都不理會了. 此只是當初不立程限之故.]" 《주자어류》 권10 〈學4 독서법 상〉 2020. 12. 22.
하늘은 잊지 않는다 “밝은 하늘이 회복되지 않으니 근심 한이 없구나. 먼 훗날 반드시 돌아오니 천도의 법칙이로다. 제자들이여 힘써 공부하라, 하늘이 잊지 않으리.〔皓天不復 憂無疆也 千秋必反 道之常也 弟子勉學 天不忘也〕”《순자(荀子)》 〈부(賦)〉 2020. 12. 19.
정도전이 삼봉三峰이라는 호를 사용한 내력 정도전鄭道傳(1342~1398)이 왜 삼봉三峰이라는 호를 쓰게 되었으며 그 삼봉이 어디 혹은 무엇인지는 기록마다 다르기는 하나 《삼봉집三峰集》 다음 기록이 가장 정확하겠다. 정사년(1377, 우왕3) 7월, 예例에 따라 고향으로 옮기고, 또 4년이 지난 뒤에 서울 밖에서는 마음대로 살게 허가되었다. 그래서 삼각산三角山 밑에 집을 짓고 글을 가르치니, 배우러 오는 사람이 많았다. 【안】 공이 삼봉재三峯齋에서 글을 가르치니 사방에서 배우러 오는 사람이 많았다. 그때에 같은 고향 사람으로 재상宰相이 된 자가 공을 미워하여 그의 서재를 헐어버려, 공은 제생諸生들을 거느리고 부평부사富平府使 정의鄭義를 찾아가서 부평부 남촌南村에 자리를 잡았는데, 재상 왕모王某가 그곳에 별장을 짓겠다고 서재를 헐어버렸다. 공은 할 .. 2020. 1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