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41

록하가장잡록, 봄날 화전놀이를 남녀가 치고받은 18세기 내방가사 『록하가장잡록』은 작자와 창작시기가 밝혀진 내방가사 , , 가 필사되어 있는 책이다. 이 세 편 내방가사는 봄날 화전놀이를 중심으로 작은 소동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다.남성이 여성들 화전놀이를 조롱하는 를 짓자, 여성이 그에 반박하는 를 지어 반격하는 내용이다. 세 작품은 하계 이씨 집안에서 가승되어 온 것으로 이본이 없는 유일본이다.여성이 한글을 익혀 문학작품을 창작하는 데까지 나아간 사례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한글문화사적 의의를 지닌 작품들이다. 『록하가장잡록』 (1746년), 국립한글박물관 소장The 『Rokhagajangjaprok』 is a manuscript that contains the naebang-gasa(Korean lyric verse created by women) , , and ,.. 2025. 7. 20.
뺨따구용으로 제격인 키클라데스 프라이팬들 시로스Syros 섬 찰란드리아니Chalandriani 묘지가 출토한 초기 키클라데스 문명 2기 Early Cycladic II ‘프라이팬’들이다. 제작 시점은 대략 기원전 2800-2300년으로 본다.아테네 고고학 박물관 소장품들이다.이들 소위 프라이팬은 에게 해 제도를 기반으로 삼는 초기 키클라세스 문명 소산이다.보통 테라코타지만 때로는 돌로 만들기도 한다."핸들"을 갖춘 모양새가 프라이팬을 닮았다 해서 저리 속칭한다.하지만 정확한 기능은 여전히 오리무중.뺨따구 갈기기용이나 엉덩짝 패기용 아니라 누가 장담하겠는가?뭐 저리 둥글 넓적하게 생기기만 하면 저짝에서는 sun disc니 하는 말을 붙이던데 이건 어떤지 모르겠다. 지들이 모르면 무조건 태양 숭배요, 짬지 유방만 내놓으면 덮어놓고 풍요 다산이라 타.. 2025. 7. 12.
요니, 똥통으로 둔갑한 힌두교 성물聖物 인도 카르나타카Karnataka 숲 깊숙한 곳에 숨은 고대 요니 스톤yoni stone이다.호이살라Hoysala 시대(11세기에서 13세기 무렵) 유산으로, 시바교Shaivism 신성한 유물이다.한때 거대한 사원 단지 일부였던 이 스톤은 이제 이끼로 뒤덮인 폐허와 짙게 드리운 푸른 나무들 사이에 조용히 자리 잡고 있다.정교한 대칭으로 조각된 이 스톤은 샤크티 여신을 상징하는 요니 형상을 그대로 간직하며, 한때 시바의 링감을 담았던 중앙 공간을 감싸고 있다.한때 제의가 흘러내렸던 자리에는 빗물이 고여 신성과 쇠퇴, 기능과 경외심의 경계가 모호해진다.모르는 사람이 보면 대뜸 똥통이라 의심하지만, 간단히 여성 성기를 상징화한 힌두교 유산이다. 저런 석조물이 화장실로 둔갑한 대표 케이스가 불국사 그것들이다. .. 2025. 7. 8.
루도비시 갈리아인 Ludovisi Gaul, 켈틱계의 계백이 "루도비시 갈리아인Ludovisi Gaul"으로도 알려진 이 조각은 대략 서기 2세기 제작품이라 본다. 기원전 230~220년 무렵 제작한 그리스 청동 조작 원본을 토대로 삼아 로마시대에 대리석으로 복제한 것이라 한다. 흔히 말하기를 이 조각 원작 청동 제품은 아나톨리아 반도 동쪽 끝 에게해랑 접한 곳에 터잡은 헬레니즘 왕국 페르가몬 Pergamon 왕국의 승전 기념비 일부라 하거니와이르기를 이 왕국 아탈루스Attalus 1세 [재위 241 BC to 197 BC]가 기원전 240년 켈트족 갈라티아인Galatians과의 전투에서 거둔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궁정 조각가 에피고노스Epigonus한테 의뢰해 제작한 것이라 하거니와그 근거가 무엇인지 나는 늘 궁금하다. 훗날 짬이 나면 이런 것들을 찾아 보려 한.. 2025. 7. 8.
인도 라키가리 유적 조사의 한 단면 홍종하 선생이 올린 과거 사진이라, 보니 2015년 포스팅이다. 저 무렵 홍 선생이 포함된 신동훈 교수팀이 인도 라키가리 유적 조사에 투입되어 현지조사를 했다. 이 조사 관련해서는 신동훈 선생이 여러 차례 걸쳐 소개했다. 그 조사보고서 제1권이 영어판으로 출간됐고 지금은 그 후속 보고서 작업 중인 것으로 안다. 이 조사가 한국고고학에서는 자연과학, 고인류학의 첫 해외 진출로 알거니와 그런 점에서 대서특필해야 할 사건이다. 2025. 7. 8.
구석기 소뼈를 발굴하는 사람 ⁠소 화석을 본 적 있는가?이 사진은 리키 재단 Leakey Foundation 수혜자인 데바라 아닐Devara Anil이 인도 안드라프라데시 주 모트라불라파두 구석기 시대 유적에서 보스(Bos) 속의 특정되지 않은 종 화석 골격을 발굴하는 모습이다.보스 속에는 현대의 가축과 야생 소뿐만 아니라 오록스aurochs처럼 현재는 멸종된 종도 포함한다. 데바라Devara는 인도 간디나가르 인도 공과대학교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Gandhinagar(IIT) 연구 조교수다.그의 연구는 인류가 어떻게 전 세계로 퍼져 나갔는지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이와 같은 소과 화석bovid fossils은 고대 생태계와 우리 조상이 환경과 어떻게 상호 작용했는지에 대한 더욱 완전한 그림.. 2025. 7.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