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19 일제시대의 지식인: [11] 이효석과 [12] 유진오 메밀꽃 필 무렵의 이효석은 당대 최고의 학벌을 가진 사람이었다. 평창공립보통학교 (1914-1920년) -- 경성제일고보 (1920-1925) -- 경성제대 예과 (1925-1927) -- 경성제대 본과 (법문학부 문학과, 영문학) (1927-1930) 이효석의 프로필은 일제시대 조선 교육이 완성되었던 당시의 교육제도를 잘 보여준다. 보통학교 6년 -- 고등보통 5년 -- 제대 예과 2년 -- 제대 본과 3년이다. 그 당시 이 정도로 순탄한 교육과정을 조선 땅에서 밟아 졸업 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의 1년 선배라는 유진오 정도가 아마 그 예가 될것이다. 유진오의 프로필은 다음과 같다. 재동보통학교(1914-1918) --경성고등보통학교 (1919-1924)-- 경성제대 예과 (1924-1926) --.. 2023. 6. 4. 일제시대의 지식인: [10] 시인 이상 시인 이상은 잘 알려진대로 정식으로 문학을 공부한 사람은 아니며, 오히려 당시 공업전문을 졸업한 엔지니어 출신이다. 신명학교(新明學校) (1921) -- 보성고보 (1926) -- 경성고등공업 건축과 (1929) -- 총독부 내무국 건축과 기수 (기사?) 이것이 그의 프로필이다. 신명학교는 보통학교인데, 이상이 졸업할 때까지만 해도 4년제였다. 4년제 보통학교-5년제 고보를 졸업하면 고등학교 (전문학교)를 입학하는데 필요한 수업연한에서 2년이 모자라는데, 아마 이 당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떠한 형식이라도 경과조치가 있었을 것 같다. 아무튼 보성고보 5년 졸업 후에는 중졸 학력이 되어 경성고등공업에 입학했다고 한다. 경성고등공업은 전문학교로 고등학교 과정이다. 당시 경성고등공업은 3년제였으니 정확히 3년.. 2023. 6. 4. 연희전문 문과 4년의 미스테리 이 부분이 참 미스테리인데. 연희전문이 당시 조선 유일의 문과를 유지하고 있었던 것도 신기하지만, 그 조선유일의 문과를 4년제로 유지한것은 더 신기하다. 왜냐. 일제시대에 구제 전문학교는 3년 혹은 4년제로 되어 있었는데 여기서 4년이란건 의대 때문에 만들어진 규정이란 건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립전문학교 중 경성의전은 4년제였다. 나머지 기타 전문학교는 거의 모두 3년제였다. 심지어는 대학 본과도 일제시대에는 3년이었다 (의대 제외). 사실 연희전문이 4년제로 문과를 유지하더라도 문제될 것은 없다. 왜냐하면 4년짜리 전문학교도 있었기 때문에.. 그런데 그 4년짜리 전문학교는 의대나 특수목적 학교 때문에 만들어 놓은 규정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일설에 의하면 연전은 1920년대 당시 민립대학, 즉.. 2023. 6. 3. 고보高普와 중학中學 일제시대 고보와 중학 이야기를 좀 써보겠다. 일제시대에는 중등교육기관으로 중학과 고보가 병존하고 있었다. 대개 중학은 일본인이 다니는 학교였고, 여기를 졸업하면 큰 예외가 없는 한 더 공부하겠다면 일본 본토의 고등학교로 진학했다. 조선에는 고등학교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경성제대 예과로 갈수도 있겠지만 그 기회는 넓지 않았을 것이다. 고보는 반면 조선인들이 주로 다니는 학교였다. 일제시대 고보는 공립과 사립이 있었는데 여기서는 공립학교의 이야기를 해보자. 조선에서 가장 먼저 생긴 고보는 경성고보이다. 이 경성고보가 나중에 경성에 공립 고보가 하나 더 생기면서 경성제일고보가 된다. 지금의 경기고로 이어지는 학교이다. 나중에 생긴 경성제이고보가 지금의 경복고이다. 경성중은 어찌 되었을까? 이 학교는 해방과 .. 2023. 6. 3. 일본 고등학생보다 일년 더 배웠던 연희전문 문과 원래 일제시대 구제 교육제도에서 의대를 제외하면 전문학교는 거의 3년이 원칙이다. 물론 전문학교 기간은 3-4년으로 정의되어 있지만 의대의 경우가 4년이고 나머지 학과는 거의 3년인듯 한데 재미있는 것은 연희전문 문과가 교육기간이 4년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될까? 윤동주를 보자. 명동소학교: 6년 은진-숭실-광명중학교: 5년 연희전문: 4년 모두 합치면 15년 교육이 된다. 물론 윤동주의 경우 연희전문 문과를 4년 다녀야 졸업할수 있었지만 졸업반 때 전쟁관계로 6개월이 단축되어 3년 반만에 졸업했지만 그는 원래 연희전문 문과를 4년 다녀야 졸업할 수 있었다. 만약 그가 일본에 태어났다면, 소학교 (6년)- 중학교 (5년)-고등학교 (3년)으로 총 14년 교육을 받으면 대학입학이 가능했을 것이다... 2023. 6. 3. 해방이후 국립대와 사립대 필자의 글을 쭉 보신 분들은 이해하겠지만, 해방이후 우리나라는 그때까지 존재한 모든 관립 공립학교를 싹싹 긁어모아 서울대라는 미국식 종합대학을 하나 간신히 만들어 놓고 실신했다는 표현이 옳다. 물론 그렇게 만들어 놓은 서울대도 실상을 들여다 보면 대학연구실에서 박사까지 마친 교수들이 거의 없어 (경성대 법문학부 전체교수에서 박사학위 소지자가 2명인가 그랬고 나머지는 전부 학사소지자였다. 당시에는 정식대학 졸업한 학사학위 소지자도 조선에는 거의 없어 학사학위 소지자 교수로 채우는 것도 쉽지 않았다 할 수 있다.) 대학자체가 이름만 번듯하지 완전 부실 대학이었다 하겠다. 해방이후 이승만 정권 10년간 우리나라 교육제도는 고등교육기관 증설, 고등교육자 숫자 배가에 강력한 드라이브가 걸렸는데 사실상 1960년대.. 2023. 6. 3. 이전 1 ··· 244 245 246 247 248 249 250 ··· 35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