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491

궁 안에다가 태를 묻으라는 정조 명령에 따라 창덕궁 주합루 계단 아래 묻은 옹주의 태항아리 정조 17년 계축(1793) 4월 8일(경오) 17-04-08[03] 갓난 옹주의 태를 내원에 묻다 갓난 옹주翁主의 태胎를 내원內苑에 묻었다. 우리 나라의 옛 고사에 왕자나 공주·옹주가 태어날 때마다 유사有司가 태를 묻을 곳 세 곳을 갖추어 올려 낙점을 받아서 안태사安胎使를 보내 묻곤 하였다. 그런데 영종 갑술년에는 명하여 군주郡主의 태를 묻을 적에 안태사를 보내지 말고 다만 중관中官을 시켜 가 묻도록 하였다. 그러다가 을유년에 태를 담은 석함石函을 경복궁의 북쪽 성 안에서 얻고서야 비로소 중엽 이전의 옛 규례는 내원에 묻었음을 알았다. 그리고는 명하여 앞으로 태를 묻을 때는 반드시 내원의 정결한 땅에 묻도록 하였었다. 그런데 이 때에 이르러 유사가 옹주의 태 묻을 의식 절차를 품하자, 상이 선왕조의 수.. 2023. 11. 13.
산초로 드러난 천마총 출토 곡립穀粒 신동훈 교수께서 요새 시루 타령이 한창이시라, 그러면서 한국음식문화사 관련 섭렵에 열혈이시라, 그와 관련해 기억에 남는 내 글 중 하나로 경주 천마총 산초를 새삼 거론하고자 한다. 문제의 글은 지금은 충북사학회로 이름을 바꾼 충북대학교 사학회에서 내는 역사학 전문잡지로 당시 내가 이 글을 투고한 2009년 무렵만 해도 명맥 유지가 위태로울 때라, 서울역사박물관에 근무하다 제주대학교로 옮긴 충북대 사학과 출신 김영관 교수(얼마 뒤 충북대 사학과로 옮겼다)가 그걸 살리겠다고 동분서주할 때라, 나한테까지 논문 제출 의뢰가 왔었던 것이니 그 무렵 이 잡지에 두세편 논문을 거푸 투고한 계기가 김 교수와의 이런 인연에서 비롯되었음을 위선 밝혀둔다. 문제의 논문 서지사항은 아래와 같다. 설림(說林) : 천마총(天馬塚.. 2023. 11. 12.
겸양은 밉상이고 죄악이다, 에트루리아를 격발하며 적는다 학술대회장 같은 데 가서 보아 제일로 꼴불견인 이가 "제가 이 분야 전문가는 아니지만"이라고 서두를 꺼내서곤 제 할 말 다 하는 인간이다. 이런 놈일수록 말이 길어져서, 개발소발 지가 아는 지식 다 늘여놓기 마련이라, 저 말은 엄밀히 말해 내가 한 수 가르쳐 줄 테니 잘 들으라는 전주곡과 같다. 그래서 나는 이런 놈을 증오한다.첫째 전문가가 아니라 생각하면 그런 자리에는 나오지 말아야 하며, 둘째 그 거덜먹하는 양태는 쥐어 패버리고 싶은 까닭이다.내가 주로 고고학을 겨냥해 고고학은 개돼지도 3년을 훈련하면 한다는 말을 하거니와, 개돼지가 3년 걸리는 일을 모름지기 사람이라면 석달이면 충분하다는 뜻이다. 그 석달이라면, 그 어떤 분야에서도 내가 전문가연하는 소양을 갖추게 된다는 뜻이다. 그것이 비단 고고학.. 2023. 11. 10.
[가자假子, 전군殿君으로 가는 길목] (1) 아들에게 절을 하는 이사부 《화랑세기》 전편에 걸쳐 자주 출현하는 전군殿君은 그 어디에도 개념 설명이 없지만, 그 용례를 추리건대 왕자王子의 봉작封爵 한 부류다. 왕자는 무엇인가? 왕의 아들이다. 하지만 왕자 역시 엄연한 신분제 사회에서 등급이 있을 수밖에 없다. 왕자들은 어머니가 정궁正宮이냐 아니냐에 따라 등급이 갈라졌다. 정궁 소생은 왕자王子라 한 듯하다. 이 정궁 소생 왕자 중에 다음 보위를 이을 이가 점지되었으므로, 그를 일러 태자太子 혹은 세자世子라 한다. 정궁 소생 이외의 왕자, 그러니 후궁 소생 왕의 아들들을 《화랑세기》는 전군殿君이라 부른다. 하지만 이에서도 조심할 대목이 있다. 왕자 혹은 태자라 해도, 그 어떤 소용돌이에 휘말려 신분이 강등될 수 있으니, 이런 왕자들도 전군이라 부른다는 사실이다. 그러니 그가 왕자.. 2023. 11. 3.
[유성환의 이집트 파적] (1) 이상적인 인간 by 유성환 이집트학 박사 [파적 삼아 끼적인 여적 001] 고대 이집트인들이 생각한 이상적인 인간 고대 이집트인들 역시 자기 자신을 의인으로 어필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래야 내세에서 심판을 무사히 마치고 영생을 누릴 수 있었고 또 지상에 세워진 자신의 분묘를 방문하는 사람들로부터 좋은 인상을 주어 공물이나 찬양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고대 이집트인들의 삶은 언제나 공동체와 결부되어 있었습니다. 따라서 의로운 삶의 핵심은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들과 조화롭게 사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런 공동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이었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상투적인 문구가 자신을 의인으로 묘사하는 데 천편일률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런데 한번 물어보고 싶습니다. 고대 이집트 뿐만 아니라 동서고금을 막.. 2023. 11. 2.
[국립세계문자박물관 유물 소개 014] 랜선 도슨트: 텐트-하피의 미라 형태 석관 by 유성환 이집트학 박사 [국립세계문자박물관 유물 소개 014] 랜선 도슨트: 텐트-하피의 미라형태의 석관 오늘은 고대 이집트의 마지막 토착 왕조였던 제 30 왕조(기원전 380-332년) 혹은 그리스 지배기 초기(기원전 332-30년)에 제작된, 텐트-하피(Tenet-hapi)라는 여인의 검은색 현무암 석관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석관은 현재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Musée du Louvre)에 소장되어 있는데 2023년 5월 개관하는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은 이 석관의 정교한 복제유물을 전시할 예정입니다. 폭 길이 높이가 각각 60 x 185 x 34센티미터인 이 석관 세부사진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는데 세부묘사가 매우 아름답고 이집트의 다양한 상징들이 충실하게 재현되어 있으므로 꼭.. 2023.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