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당당탕 서현이의 문화유산 답사기230

칠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을 찾아서 충북 괴산군의 동쪽은 속리산, 희양산, 문경새재 등 높은 산으로 경상북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 가운데 속리산 국립공원에 속하는 곳 중의 하나가 칠보산이다. 칠보산(七寶山)은 불교 경전에 나오는 일곱 가지 보물처럼 아름답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실제로 산을 오르다보니 유달리 반짝거리는 돌들이 눈에 띄었는데, 어쩌면 관련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이 칠보산 아래 있는 사찰이 각연사(覺淵寺)이다. 각연사는 신라 법흥왕 때 창건되었다고 하나, 그 시기에 해당하는 유물은 남아 있지 않고, 아마도 9세기 무렵 중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각연사에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통일대사탑비, 통일대사탑, 비로전, 대웅전, 석조귀부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비로전 안에 있고 석조귀부와.. 2021. 9. 6.
괴산군 청인약방(淸仁藥房)과 칠송바위 내비의 안내를 따라 가다가 우연히 청인약방과 칠송바위를 보게 되었다. 보자마자, ‘아직도 이런 곳이 남아 있네!?’ 하는 생각에 차를 돌려 세웠다. 약방과 약국은 같은 거라고 생각했는데 찾아보니 약방은 조제는 하지 않고 가정 상비약 같은 일반약품을 판매하는 곳이라는 차이가 있다. 이 약방은 괴산군 칠성면에 있는데, 63년 간 운영해 온 약방이라고 한다. 이곳에서 약방을 운영해온 신종철 약업사님이 약방 보존을 바라는 뜻에서 2020년 괴산군에 기부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밖에 리플렛도 있고 약방박물관이란 안내판도 있었는데 코로나 상황이라 그런지 문이 닫혀 있었다. 안을 들여다보니 옛날 모습 그대로인 듯 하다. 약방 주변으로 큰 느티나무와 함께 지명 유래인듯 보이는 칠송바위에 관한 안내와 벽화도 볼 수.. 2021. 9. 5.
학예연구사가 되기 위한 관련 학과는 무엇일까? 지난 주 장수문화원의 초청으로 ‘학예연구사와 큐레이터’라는 제목으로 특강을 다녀왔습니다.(불러주신 문화원 관계자분들과 장수군 이현석 학예연구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어느 덧 학예연구사 10년 차가 넘다보니 학예연구사 직업 소개, 진로체험 관련 강의가 종종 들어옵니다. 진로체험이다보니 주로 학예연구사를 꿈꾸는 학생들이 대상인데 학예연구사를 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무엇을 전공해야 하냐는 질문을 자주 듣습니다. 사실 학예연구사 분야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전공을 따지는 것이 의미가 없지만, 현재 공무원 학예연구사 채용 공고를 기준으로 본다면 대부분 ‘역사(국사)학’, ‘문화재학’, ‘고고학’, ‘미술사학’, ‘박물관학’, ‘민속학’ 등의 전공을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해 줍니다. 그래서 그런지 대학교의 관련 학과 .. 2021. 9. 4.
11년 만에 학예연구사가 채용된 이유?! 내가 일하고 있는 용인시에는 현재 용인시박물관 2명 포함 총 6명의 학예연구사가 근무하고 있다. 나는 2010년에 임용되어 어느덧 11년 차에 접어들어 나름 중견(?) 역할을 하고 있고, (내가 임용되기 전에 학예연구사가 1명 더 있었으나, 중간에 다른 곳으로 전출을 가고, 그 자리에 다른 지역에서 근무하던 선생님이 전입을 오게 되었다.) 가장 최근 임용된 학예연구사는 이제 근무한지 두 달이 채 안됐다. 후배가 생겼다는 기쁨도 기쁨이지만, 용인시에서 공채로 정규직 학예연구사가 채용된 것이 11년 만의 일이다. 11년 만에 1명, 공무원의 수 많은 직렬 중에서 이렇게 신규 임용이 어려운 직렬이 또 있을까? 우리는 이 1명의 인원을 늘리기 위해 조직팀, 인사팀을 수없이 찾아가고 무수히 많은 자료 제출과 문화.. 2021. 8. 23.
[경기도박물관 특별전]경기, 마한.백제 특별전 이번주 개최한 경기도박물관 특별전은 마한 및 한성백제 등과 관련된 최신 출토유물을 한자리에 모은 전시로, 경기도박물관과 한국문화유산협회가 공동 주최하여 8월 10일부터 10월 31일까지 열린다고 합니다. 마침 올해 우리팀에 합류한 새내기 학예사 2명 모두 마한 관련 전공자이기도 하고, 용인 고림동에서 발굴된 유적 유물도 전시된다고 해서, 우리팀 4명의 학예사가 총 출동하여 전시를 보고 왔습니다. 용인, 가평, 화성, 광주, 오산, 평택 등 경기지역 일대에서 발굴된 유적 설명과 대표 유물이 전시되어 있는데, 한국문화유산협회와 공동으로 주최해서 그런지, 패널과 유물 네임택에 각 유적의 조사기관이 어디인지 알려주고 있어 나름 새로웠습니당 ㅎㅎㅎ 전시는 경기도박물관 홈페이지에서 사전예약제로 관람 가능하며, 오는.. 2021. 8. 12.
연구직 공무원이 승진하면 호봉은 어떻게 될까? 연구직 공무원은 9계급 체계로 운영되는 일반공무원과 달리 2계급 체계로 운영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2020.09.05 - [우당당탕 서현이의 문화유산 답사기] - 학예연구사, 연구직 공무원에 대한 궁금증 학예연구사, 연구직 공무원에 대한 궁금증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의 인사관리 체계의 특징은 9계급 체계로 운영되는 일반공무원과 달리 2계급 체계로 운영된다는 점이다. 연구직 공무원은 1981년 이전에는 연구관, 연구사, 연구사보, 연historylibrary.net 공무원 봉급체계는 크게 호봉제와 연봉제로 운영되는데, 매년 정기승급을 통하여 호봉이 올라가도록 되어있는 연공급적 성격의 보수체계로 되어있습니다. 호봉체계에 따른 봉급표는 직종별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연구직 공무원도 별도의 봉급표에 따라 .. 2021. 8.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