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런저런1556

생강? 산수유? 생강이냐 산수유냐가 중요하겠는가? 내가 조경업자도 아닌데 뭣이 중허겠는가? 노랗다. 봄이 왔다. 이 두 가지가 전율할 뿐이다. 2020. 3. 23.
모란의 사촌 작약 Peony 작약 勺藥 Peony / Paeonia lactiflora 작약과 작약은 여러해살이풀로 한 포기에서 여러 줄기가 나와 곧게 자란다. 붉은색, 흰색, 분홍색 주먹만 한 큰 꽃이 아름다워 정원에 흔히 심어 관상용으로 삼기도 한다. 나무인 모란과 꽃 모양이 매우 닮아 헷갈리기도 한다. 동아시아에서는 작약을 모란과 엄밀히 구분하지만 영어로는 피오니 peony 라는 같은 말로 지칭한다. 그만큼 유사성이 높은 까닭이다. 뿌리는 약으로 쓰므로 밭에 심어 약용식물로 가꾸기도 한다. 잎으로는 갈색 물을 들일 수 있는 염료식물이기도 하다. 지금 작약이 한창 새순을 틔우는 시기다. 2020. 3. 22.
수염 먼저 늘어뜨리는 개암나무 Siberian hazel 개암나무 Siberian hazel / Corylus heterophylla 자작나뭇과 개암나무는 전래동화 혹부리영감에 등장하기도 한다. 도깨비들이 방망이를 치는 때에 맞춰 개암을 깨물었는데 소리가 너무 커서 들키게 된다는 장면에서 말이다. 우리의 옛 과실로 제사상에도 올랐다. 몸이 허약하거나 밥맛이 없을 때 먹었으며, 눈을 밝게 해주는 성분이 들어 있다고도 한다. 잎으로는 약간 짙은 갈색 물을 들일 수도 있는 염료식물이기도 하다. 이 개암나무를 내 고향에서는 오리나무라 한다. 다만, 식물학 관점에서는 개암과 오리를 엄밀히 구분하기도 하는데, 그건 후대에 생겨난 구별일 뿐이요, 다 오리나무였다. 박정희시대에 사방공사를 할 적에 푸른 강산을 만들고자 심은 대표 수종이 아카시아와 더불어 이 개암 혹은 오리나.. 2020. 3. 22.
문체와 《세계사를 바꾼 전염병 13가지》 매독을 다루며 보았듯이 유사 이래 사람들은 특정 질병들을 미화해왔다. 그러지 말았어야 했다. 질병은 어떤 상황에서도 멋지지 않다. 멋지다고 가장하는 것은 데스마스크에 예쁜 얼굴을 그리는 것과 같다. 해골바가지에 립스틱을 칠해봤자 제니퍼 로렌스가 되지 않는다. 질병은 인류의 가장 근본적인 적이며 지속적으로 맞서 싸워야 한다. 질병에 걸린다고 다음과 같이 되지는 않는다. 멋지다. 시적이다.섹시하다.고상하다.천재적이다. 대신 이렇게 된다. 죽는다. (결핵) 위대한 인물의 전기를 믿는다면 아무도 매독에 걸리지 않았다. 그들은 놀랄 만큼 운이 좋은 것이다. 1493년 바르셀로나에서 발견돈 이래- 신대륙에서 들여온 것으로 추정된다 - 그 성병은 유럽인들을 닥치는 대로 쓰러뜨렸다. 너무나 파괴적이어서 유럽인이 아메리.. 2020. 3. 16.
헌책방에서 만난 19년전 친필 사인 증정본 이전엔 분명 안보이던 책이 보인다. 저자는 유명한 사람이다. 아무래도 친필 사인본이 아닌가 해서 들차본다. 예상은 적중한다. 이런 저자 사인본 책은 중고서점에선 흔히 만나는데 그 친필본은 때론 희귀본으로 둔갑하기도 한다. 머릴 굴려본다. 내가 최명길 남편한테 이 책을 왜 보냈지? 그런 기억이나 있나? 대체 고리를 찾기 힘들다. 혹 저 무렵이 내가 문화부 출입하던 시절이 아닌가 한다. 그런 인연으로 증정한 모양이다. 일전에 말했듯이 저자한테 하늘은 독자다. 선플 악플보다 더 처참한 글은 무플이다. 책은 필요한 사람한테 가야 한다. 초동급부라도 절박한 사람한테 가야 한다. 2020. 3. 15.
The sun also rises over novel coronavirus 다시 하루가 꼬꾸라친다. 서해 너머 어딘가로 대가릴 쳐 박는다. 내일은 또 내일의 해가 뜬다. 2020. 3.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