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48 거대한 남근, 그 표상은? 언뜻 이해가 쉽지 않은 조각인데 살피면 거대한 자기 남근을 두 손으로 쥐고선 지 대가리 위로 말아올린 자세다. 부러분 놈. 지도로갈문왕 지증왕을 능가하는 거근巨根을 자랑한다. 청동처럼 보이나 물감 때문이며 토제품이다. 기원전 712-332년 무렵 에로티콘 eroticon으로 4cm 높이 부적으로 본댄다. Fondation Gandur pour l'Art, Geneva, Switzerland 소장품이라는데 저와 같이 남근을 이상 비대하게 강조한 조각은 드물지 아니해서 언제나 풍요 다산이라 설명한다. 글쎄 그럴까? 혹 발기부전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부적이라면 어찌하겠는가? 혹 역설로 읽을 필요는 없는가? 2024. 6. 4. 논픽션의 세계 무대로 나가야 한국 학자들은 논픽션의 바다, 논픽션의 세계 무대로 나가야 한다. 연구의 성과를 들고 소설을 쓰라는 것이 아니다. 딱딱한 논문 포맷을 극복하고 논픽션을 산생産生해야 하며, 그 최종 산물은 세계 시장에서 승부를 걸어야 한다. 우리나라고 왜 총균쇠가 나오지 말라는 법이 있나? 제래드 다이아몬드야 그렇다고 쳐도 최근에 화제가 된 사피엔스 같은 책은 우리도 쓴다면 못 쓸 리가 없다. 논픽션으로 승부를 걸어야 하며 세계 무대로 나가 미국과 유럽, 일본의 도서관에 한국의 책을 걸어야 한다. 필자는 한국의 걸그룹은 그렇다고 쳐도 보이그룹이 미국 팝음악 시장에서 통할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했다. 영미권 사회가 가지고 있는 동양인 남성에 대한 편견을 생각하면, BTS에 열광하는 서구권 사회의 모습을 내 죽기 전에 보리라고.. 2024. 6. 4. 배 모양보다는 부뚜막! 군곡리 패총 9차 발굴조사 성과 해남 군곡리 조개무지에서 2024년 올해 조사에서 찾았다는 질그릇 종류들이라, 가운데 주둥이를 따라 덧띠가 있는 볼품없는 항아리를 중심으로 바라 보는 이 기준 왼편에 부뚜막이 보이며, 오른편으로 무슨 주걱 같은 물건이 보이는데 이걸 조사단에서는 배 모양 토기라 규정한 모양이라 저것이 배를 본떴다면 통나무 배일 텐데, 해남 군곡리라면 바다를 낀 데라 통나무배? 조금 이상하다. 그보다는 저것들이 무슨 조합 관계가 성립한다면 액체 같은 것을 퍼내는 도구가 아닐까 하는데 군곡리 유적을 국제항구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욕망이 혹 앞서가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해 본다. 저 부뚜막은 실물인지 모형인지 사진만으로는 언뜻 판단이 어렵지만, 앞에 놓인 스케일 바를 보니 모형인 듯하거니와, 저런 모형은 보통은 무덤에서 출토하.. 2024. 6. 4. 몽골 고비 사막의 거북이 하우스 몽골 고비 사막에 있는 거북이 모양 집 세트장이 아니랜다. 몽골 정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했다는 이 구조물은 높이가 24미터가 넘는다는데 왜 거북인가? 장수를 상징한다고. 2024. 6. 3. 읽지 않는 글은 쓸 필요가 없다 글을 쓰는 사람이 학자이건 아니건 간에 읽지 않는 글은 쓸 필요가 없다. 인용빈도라는 건 그래서 나오는 것이다. 논문을 쓰면 다른 논문에 인용이 되어야 하고 많이 인용된 논문일수록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내가 쓴 글, 출판한 논문을 아무도 읽지 않는다? 해결책은 두 가지다. 하나는 연구를 접는 것이다. 어차피 써 봐야 읽지도 않는 논문을 왜 쓰는가? 깨끗이 포기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새로운 독자층을 찾아 나서는 것이다. 대중 서적을 쓰라는 이야기가 아니고, 학술서적과 대중서의 중간 어딘가에 위치해 있는 책이라 할지라도 새로운 독자층을 찾아 나서는 것이 옳다는 말이다. 이런 학술서-논픽션을 우리나라는 지나치게 가볍게 보는 경향이 있는데, 미국만 해도 공공도서관에 가보면 이런 논픽션이.. 2024. 6. 3. 대서양을 바라보는 삼천 년 전 아일랜드 청동기시대 해안 요새 당연히 못 가 본 곳이다. 내가 일전에 아일랜드 일주에 나설 땐 내내 풍랑이 극심해 바다는 들어갈 엄두를 낼 수 없었다. 아일랜드 아란 제도 Aran Islands 중 가장 큰 이니스 모르 Inis Mór 섬에 있는 선사시대 요새인 던 아옹하사 Dún Aonghasa 라는 데라 한다. 기원전 11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대서양이 내려다보이는 절벽 위에 들어섰다. 이 요새는 동심원 반원형 벽과 방어 구조를 갖추고 있어 정교한 청동기 시대 건축을 보여준다. 누가 만들었는지, 변천 과정은 어떤지 등등은 다 베일에 가려져 있다고. 아일랜드 선사시대는 볼 수록 희한하다. 2024. 6. 3. 이전 1 ··· 1031 1032 1033 1034 1035 1036 1037 ··· 36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