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17 몬테 다코디, 피라미드 보다 앞선 사르데냐 거석문명 수천 년 전, 이집트의 유명한 피라미드가 건설되기도 전에 지금의 지중해 사르데냐 섬 사람들은 몬테 다코디(Monte d’Accoddi)라는 기이하고도 웅장한 기념물을 세웠다.기원전 4000년경 건설했다는 이 고대 건축물은 계단이 있는 피라미드 또는 꼭대기까지 이어지는 긴 경사로가 있는 거대한 플랫폼처럼 보인다.가장 높은 지점에는 평평한 돌 제단이 있었는데, 그곳에서 종교 의식이나 희생 제사가 열린 하늘 아래에서 거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몬테 다코디 주변에서 고고학자들은 다른 영적 삶의 흔적들을 발견했다.똑바로 서 있는 큰 돌들, 제물을 바치는 데 사용된 돌 탁자, 그리고 한때 사람들이 살았던 마을 유적들이었다.이 모든 것은 이곳이 단순한 건물 이상의 의미를 지녔음을 시사한다.이곳은 공동체가 모여 예배를 .. 2025. 6. 16. 칼리귤라가 네미 호수에 띄운 초화선 Emperor Caligula's Nemi ships, photos from 1932칼리굴라 황제 네미호 선박, 1932년 사진 1928년과 1932년 사이, 한때 칼리굴라 황제 소유였으며 1,900년 넘게 네미 호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두 척 거대한 목선이 인양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수중 고고학 발굴로 기록될 것이다.두 척 중 더 큰 배는 사실상 정교한 수상 궁전이었으며 다량의 대리석, 모자이크 바닥, 난방 시설, 그리고 욕조와 같은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었다.두 배 모두 오랫동안 최신 발명품으로 여긴 기술을 탑재했다. 칼리굴라 황제는 왕족으로서의 열정 중 하나로 네미 호에서 사용할 여러 척 대형 바지선을 건조하도록 명령했다.현대에 프리마 나베(Prima Nave, 첫 번째 배)와 세.. 2025. 6. 16. 당에서 복무한 신라 왕족 묘지명 장안서 발굴 성덕왕 당형 3대손 김영金泳 무덤 출현, 두 차례 신라로 사신 파견 오늘자 연합뉴스를 통해 국내에도 소개되기도 했거니와 근자 중국 장안에서 그곳으로 질자质子, 이른바 인질로 파견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은 김영金泳이라는 신라 사람 무덤 발굴 소식을 중국 당국이 공개했거니와 이처럼 한반도에서 유래하는 사람으로 저짝에서 죽어 그 흔적을 저리 남긴 사람이 속속들이 요새는 고고학 발굴을 통해 모습을 드러내거니와 개중 하나다. 이 소식이 알려지기는 좀 됐지만, 나 역시 차일피일 미루다가 뒤늦게서야 정리하게 된다. 그 주된 텍스트는 이 매체 이름이 참 묘하거니와 팽배신문澎湃新闻이어니와, 그 전문이 웨이보를 통해 공지됐거니와, 중국 쪽 보도 특징을 보면, 이런 고고학 발굴의 경우, 기자 자체 취재가 매우 드물고, 중국.. 2025. 6. 16. 국립중앙박물관, 한일국교정상화 기념 일본미술 특별전 개막 '일본미술-네 가지 시선'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전 개최!국립중앙박물관이 도쿄국립박물관과 함께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해 일본미술을 새로운 시각에서 조망하고자 하는 특별전 '일본미술, 네 가지 시선'을 공동 개최한다고 16일 말했다.이번 전시는 두 박물관이 엄선한 소장품 62건을 중심으로 뽑아 일본미술이 지닌 외적 아름다움과 내면의 정서를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고 한국 박물관 측은 덧붙였다.이를 위해 이 자리는 화려한 장식성(飾り), 이에 대비되는 절제된 미(「反」飾り), 자연의 변화에 대한 애잔한 정서(あはれ), 유쾌하고 재치 있는 자유분방한 표현(遊び)이라는 네 가지 시선을 통해 일본미술을 조명한다고 한다.이 요소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어우러지며 일본인의 삶과 세계관을 보여준다고... 2025. 6. 16. 이미 시작된 한국의 잃어버린 30년 한국은 이대로 가면 잃어버린 30년이 시작된다고 하지만필자가 보기엔 한국은 이미 잃어버린 30년에 들어간지 꽤 됐다. 지금 저성장은 장기간 이대로 유지될 가능성이 많고혁명적 변화가 없는 한 일본처럼 장기간의 침체가 시작될 것이라 본다. 어떻게 아는가. 필자가 기억하는 일본의 2000년대 초반과 한국의 지금 모습이 너무 닮았기 때문이다. 지금의 한국사회의 침체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다. 말하자면 폭풍속에 배의 난파가 시작된 셈인데, 문제는 배 안에서 아직도 한가하게 조만간 이 폭풍이 그치겠지 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에서 잃어버린 30년이 시작될때도그것이 30년이 계속 갈거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2025. 6. 16. 20년이면 나라가 망하고도 남는 시간 앞서 일본의 2004년을 이야기한 바이 시기는 일본의 버블경제 호황이 아직 사회에서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시기였다. 버블 여파가 연구 분야에도 영향이 남아 그 수준이 미국 유럽을 찜쪄먹을 정도였다는 말이다. 이 시기부터 일본은 거의 매년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게 된다. 노벨상 수상자가 그 상을 받는 연구는 대개 그보다 수십년 전에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2000년대 이후의 일본 노벨상 수상자들의 연구는 실상 80년대 이후 20년간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필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이것이다. 20년이면 나라가 망하고도 남는 시간이다. 2004년의 일본과 2025년의 일본을 보면2025년의 한국과 2045년의 한국은 어쩌면 그와 비슷할지도 모른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걸작 "파운데이션"을 보.. 2025. 6. 15. 이전 1 ··· 196 197 198 199 200 201 202 ··· 350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