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EWS & THESIS4276

영산강 유역 질그릇 생산 체계 미싱링크를 채운 영암 마산리 가마터 전남 영암군 군서면 마산리 토기 요지窯址[가마터]에서 7∼8세기 통일신라시대 가마터가 확인됐다고 조사 의뢰처인 영암군과 조사단인 민족문화유산연구원이 1일 밝혔다. 조사단은 '전남도 역사문화권 지원사업' 일환으로 이곳 마산리 산33-1번지 일대를 시굴조사한 결과 10여 기에 이르는 가마 흔적과 유물 퇴적층이 밀집 분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이들 가마는 출토 유물 중 항아리 등지에서 통일신라 그릇에서 드러나는 특징들인 점줄무늬[점열문點列文]와 물결무늬[파상문波狀紋], 줄무늬[선문線紋]과 인화문印花紋 등이 확인되는 점을 주된 근거로 삼아 이들 질그릇 만들기 가마들이 저 무렵에 운영되었음을 받침한다. 얕은 산인 가삼봉(104.4m) 기준으로 남쪽으로 900m 떨어진 언덕 동쪽 비탈에 위치한 이곳 마.. 2024. 5. 1.
길이가 20미터 고대 이집트 의학 처방서 에베르스 파피루스 by 유성환 [이화사학연구소 콜로키움] 길이가 20미터에 달하는 『에베르스 파피루스』는 현전하는 고대 이집트 의학 파피루스 중에 가장 긴 파피루스입니다. 의학 파피루스라고는 하지만 일종의 처방 모음집으로 외상(화상) • 내과(당뇨 • 변비) • 피부과 • 치과 • 안과(실명) • 부인과(피임) • 소아과 • 기생충 질환 • 해충 퇴치법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총 877개 증례, 민간 치료법, 처방 등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사진에 소개된 78번 증례는 기생충 감염에 관한 것입니다. 『에베르스 파피루스』를 비롯하여 제가 지난 5년 간 꾸준히 연구한 고대 이집트 의학의 이모저모가 이번 주 금요일 5월 3일 오후 4시에서 5시30분에 걸쳐 개최되는 이라는 콜로키움에서 소개될 예정입니다. 콜로키움은 이화여자대학교.. 2024. 5. 1.
은평역사한옥박물관 기획전 《우리가 몰랐던 이호철》 미발표 콩트집  『노루모씨』 발굴 - 5월 2일(목)부터 9월 18일(수)까지- 은평구 불광동에서 반세기를 산 작가 조명 - 13개의 질문에 대한 답을 풀어가는 전시  서울 은평구립 은평역사한옥박물관(관장 표문송)이 소설가 이호철 문학과 생애를 조명하는 특별전 을을 5월 2일(목)부터 9월 18일(수)까지 이 박물관에서 개최한다.이번 기획전은 흔히 ‘분단문학의 거장’이라 일컫는 이호철이 은평구 불광동에서 50여 년을 거주한 사실에 착목해 총 13개 문제를 풀어보는 형식으로 꾸민다.    이를 위해 ‘ 우리가 몰랐던 이호철’ ‘우리가 알아야 할 이호철’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이호철’이라는 3가지 키워드로  인간 이호철과 그가 이룩한 문학세계를 접근하고자 한다. 구체로는 관련 사진들을 통해 이호철 일생을 정.. 2024. 4. 30.
2천년 전 로마에서 온 미스터리 12면체 청동 유물 위선 십이면체를 dodecahedron 이라 하는데,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이 말을 알아듣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궁금하기는 하다만, 현대 영어 발음 또한 요상해서 언뜻 알아듣기도 힘드니, 도더케/히드런 정도로 발음하고, 히에 프라이메리 액센트가 간다.δώδεκα (dṓdeka)가 '12'라는 뜻이요, ἕδρα (hédra)가 'base, seat, face', 곧 면이라는 뜻이다. 로마시대 고고학 유물 중에 주로 청동 같은 금속제로 만든 로만 도더케히드런 Roman dodecahedron이 있다.  주로 청동으로 제작한 것으로 속은 빈 정십이면체 모양을 한다. 십이면체 열두 면에는 각기 구멍이 있어 속이 다 보인다. 대략 서기 2~4세기에 집중해서 보인다 하는데 문제는 기능. 현재까지는 모른단다.언뜻.. 2024. 4. 30.
허준박물관 똘레랑스 인문학 강좌(무료) 수강생 모집 [허준박물관 똘레랑스 인문학 강의]허준박물관과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똘레랑스가 함께하는 인문학 강의 수강생을 모집합니다.유라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보는 '유라시아 역사 문화 기행'을 주제로 총 8회차가 진행 될 예정입니다!자세한 내용은 프로필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허준박물관 #박물관교육 #성인교육 #성인강좌 #성인강의 #박물관 #미술관 #교육 #교육프로그램 #똘레랑스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대 #대학강의 #인문학 #유라시아 #역사 #문화 #역사강좌 #문화강좌 2024. 4. 30.
《시누헤 이야기》 한국어 완역본 출간 by 유성환제가 번역한 《시누헤 이야기》가 곧 출간됩니다. 김산해 선생님의 《길가메쉬 서사시》를 출간한 휴머니스트와 함께 작업했습니다. 지금 알라딘에서 북펀드 중입니다. (아래 링크 참조.)고대 이집트어 원전 번역은 제가 학위를 받기 전부터 꼭 실행하고 싶었던 일생의 목표였습니다. 다른 인문학 분과와 마찬가지로 이집트학 역시 그 학문적 기반은 연구와 인용의 대상이 되는 원전을 자국어로 정확하게 번역하는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그 첫걸음을 뗀 셈입니다. 《시누헤 이야기》는 우리의 《춘향전》이나 《심청전》, 《삼국지》처럼 고대 이집트인들이 가장 사랑한 서사문학 작품입니다. 가급적 의역은 피하고 원전의 뜻을 살리려고 노력했습니다. 다른 외국어 번역의 중역이 아닌 고대 이집트어 원문이 한국어로 완역된 사례.. 2024. 4.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