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WS & THESIS4276 항아리 질그릇에 긁어쓴 글자 府瓦부와 강원도 영월군 주천리 1160-2번지 유적 출토 대호 명문府瓦당시 와소에서 제작한 도기인가?두류문화연구원, 2024, 2022년도 국비53 영월 주천리 1160-2번지 유적 - 2022년도 소규모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문화재재단.***이상 차순철 선생 소개라 사진 설명을 참조하면 저 유적 통일신라시대 3호 수혈 출토품으로 조사단에서는 대호大壺로 그릇 명칭을 부여했다. 대형 항아리다. 스케일 바 감안하면 1미터에 육박하지 않나 한다. 이 항아리 글자는 첫째 부와府瓦라는 판독이 정확한가? 둘째 그렇다면 그 의미는 무엇인가? 두 가지로 모아지겠거니와 저 글자가 瓦인지 여부를 나로서는 단안을 아직을 못하겠고, 그것이 맞다고 하면 瓦라는 글자는 질그릇 일반을 말한다는 점에서 기와로 국한해서 접근할 수만은 없다.심.. 2024. 5. 3. 장수 무덤이 토해 낸 오색옥 전북 장수군 이현석 학예연구사가 근자 벼락을 맞았는지 아연 장수 역사 알리기에 열심이어니와그 와중에 장수에서 최초로 가야를 알린 삼고리 고분군!이라 자못 흥분한 어조로 저 발굴성과를 다시금 상기했거니와그러면서 묘실을 11자로 나란히 판 붙은 이곳 무덤을 정리하기를 한쪽은 둥근고리자루 쇠칼이 다른 한쪽에서는 금귀걸이와 오색옥 등이 출토되었다죽어서도 곁에두고 싶었던 부부애가 절실한 무덤으로 많은 사람들의 귀감이된다예로부터 “가화만사성”을 실천한 이곳은 장수다.라 했거니와 그러면서 저에서 말한 출토품을 죽 소개하는데이것이 둥근고리 손잡이 갖춤 쇠칼이요이것이 말할 것도 없이 귀걸이니 문제는 다음 오색옥무슨 과자처럼 보이는데 이런 오색옥으로 한반도 출토 사례가 있던가?내 기억이나 조사가 철저하지 못한 책임은 뒤로.. 2024. 5. 3. 룬 문자로 주인 이름 새긴 바이킹 창 쇠와 은으로 된 창 spearhead 은 스웨덴 고틀란드 Gotland 폴링보 교구 Follingbo parish 들판에서 도랑을 파는 일꾼들이 발견했다. Historiska museet 소장.이는 룬 문자 runic inscription를 새긴 달고 유일한 바이킹 시대 첨병이다."라네 Rane가 이 창을 주인이다. 보트포스 Botfoss가 새겼다." 라고 쓰여 있다.20인치 길이 이 무기는 서기 800-1100 것으로 추정된다.Photos courtesy Åhlin, Christer, Historiska museet/SHM 2024. 5. 3. 국립전주박물관 모악산 금산사 특별전 1천400년 이어온 미륵 신앙의 가르침…모악산 금산사를 만나다 송고시간 2024-05-02 13:55 국립전주박물관, '미륵 신앙 성지' 금산사 조명한 특별전 선보여 석탑 사리장엄구·일제시대 석고로 만든 불상 등 117점 한자리에 이 특별전 개최 소식은 앞 링크 기사를 참조하셨으면 하고 우야둥둥 국립전주박물관(Jeonju National Museum)이 미륵의 마음 모악산 금산사 특별전을 개최하기로 한 모양이라 이걸로 모악산과 금산사 1,400년 이야기 봇따리를 풀고자 한 모양이라그 뜻을 가상히 여기며 언제 짬을 내어 현장을 순시하기로 한다. 일시 : 5월 3일(금) ~ 8월 18일(일) / 10:00 ~ 18:00 장소 : 국립전주박물관 기획전시실 비용 : 무료 자세한 내용은 국립전주박물관 공식 .. 2024. 5. 3. 과학이 복원한 7만5천년 전 네안데르탈인 얼굴 Scientists reveal the face of a Neanderthal who lived 75,000 years ago Katie Hunt By Katie Hunt, CNN Updated 9:02 AM EDT, Thu May 2, 2024 고고학 현장에서 널리 활용하기 시작한 이 얼굴복원 기술이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활발히 도입된 곳 중 하나가 대한민국이다. 물론 이 기술은 뿌리가 구미권이지만, 그 잽싼 적용에서 한국은 결코 남들보다 뒤지지 않았다. 얼굴 뼈를 토대로 실제 그 뼈 주인공 얼굴이 이러했을 것이라는 facial reconstruction, 곧 얼굴 복원 기술을 탑재한 고고과학이 이번에는 네안데르탈인 얼굴까지 복원해 내기에 이르렀다 해서 외신이 떠들썩하니 보도하기 시작한다. 개중 C.. 2024. 5. 3. 영암 마산리 토기가마 발굴 소식 추보 영산강 유역 질그릇 생산 체계 미싱링크를 채운 영암 마산리 가마터 이 영암 마산리 토기가마 발굴소식을 어제 전했으니 마침 도자사 전공 장남원 선생이 오늘 현장을 다녀오고선 생생한 현장 사진을 투척했으니 전재한다. 그에 의하면 가마는 총 11기로 추정되며 구릉사면에서는 여러 가마 단면도 확인되었다고 한다. 2024. 5. 2. 이전 1 ··· 209 210 211 212 213 214 215 ··· 7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