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WS & THESIS4646 새로 드러난 능산리 백제고분(2016) 오늘 문화재청에서 능산리고분군 서편 발굴성과를 공개했다. 사진은 이달초 모습이다. 이에서 얼마나 변동이 있는지는 모르겠다.나는 능산리 책을 준비하는 까닭에 자료 수집차 미리 다녀왔다. 입을 봉하는 조건으로다가..봉인 풀려 공개한다.이번에 새로 찾은..혹은 식민지시대 이후 재발굴한 부여 능산리고분군 서편 고분들은 호석렬이 완연하고 또 그 호석열 특징이 백제식 전형이 드러나 세워쌓기 흔적이 보인다.신라 같으면 눕혀 쌓았을 것이로대 예는 다르다.이번에 7기인가를 확인했거니와 개중 올게는 2기를 깠다. 호석기준으로 지름 15, 20미터다.믿거나 말거나 능산리 고분군을 우리 손으로 조사하기는 1920년대 이후 첨이다.한국전통문화대학교 고고연구소가 조사 중이다.암튼 이번 성과로 골때려졌다.동하총 중심 기존 봉분 7.. 2020. 9. 22. 도로아미타불로 가는 영국을 보며... Boris slams Britain into reverse: PM to address nation TOMORROW ordering pubs to close at 10pm, telling workers 'stay home if you can' and demanding police crack down hard Boris Johnson will unveil a major crackdown on normal life today in a bid to halt a second wave of coronavirus The PM will drop 'back to work' drive, restrict socialising and impose a 10pm curfew on bars and restaurants Pubs a.. 2020. 9. 22. 김해 양동산성 집수지 발굴성과 요약 김해 대동성고분박물관이 2017. 11. 27~12. 29 1차, 그리고 2018. 4. 12~7. 24 2차에 이르는 두 차례 양동산성 발굴성과를 정리한 발굴보고서 《김해 양동산성 집수지 유적》을 근자 발간했다. 카카오맵 당신을 좋은 곳으로 안내 할 지도 map.kakao.com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 산39-1번지 일원에 소재하는 양동산성良洞山城은 해발 333미터 산 정상을 에워싼 테뫼식 석축산성(경상남도기념물 제91호)으로 성벽 둘레는 860미터라량이다. 남쪽으로 양동리고분군과 옛 김해만 일대를 조망하며, 동쪽으로는 분산성 주변, 서쪽으로는 진례멸 일대를 바라보는 자리에 위치한다. 조선후기 고문서에서는 가곡산성歌谷山城이라 했지만 한때 내삼리 구역에 편입되어 내삼리산성內三里山城이라도도 했다가 지금은 지.. 2020. 9. 21. 2017 평양 외곽 보성리 고구려 벽화고분 발굴 북한이 발굴했다고 발표한 평양 외곽 보성리 고구려 벽화고분 관련 사진 3장을 차례로 소개한다. 조선중앙통신이 공식 발행한 관련 사진이며 연합뉴스를 통해 공식 배포됐다. 화상도는 좋은 편은 아니라, 원본 기준 장당 1메가가 되지 않는다. 북한 당국은 이것이 서기 3세기 초반 무렵 고구려 무덤이라 한다. 3세기 초반이면 쉽게 말해 200~250년 무렵 축조라는 뜻이다. 앞서 말했듯이 이는 낙랑군 위치 논쟁과 관련해 시끄러운 논쟁을 유발할 소지가 있다. 남한 학계 주류에서는 313년 미천왕에 의한 축출 이전까지 평양은 낙랑군 중심지다. 저 발표는 그것과 충돌할 여지가 있다. 낙랑 멸망 100년 이전에 고구려가 평양에 무덤을 조성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남한 학계 주류가 그리 해석할 가능성은 나는 전연 없.. 2020. 9. 21. Autumn over a Palace 2020. 9. 18. 13년(2008년~2020년)의 각고 끝에 《역주 당송팔대가문초》 완간되다 (사)전통문화연구회는 지난 2020년 9월 21일에 중국 명明나라의 학자 모곤茅坤이 편찬한 ≪당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抄)≫를 총 24책의 ≪역주(譯註) 당송팔대가문초≫로 완간하였다.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는 문장으로 크게 일가를 이룬 여덟 사람인 당(唐)나라의 한유(韓愈)·유종원(柳宗元)과 송(宋)나라의 구양수(歐陽脩)·소순(蘇洵)·소식(蘇軾)·소철(蘇轍)·증공(曾鞏)·왕안석(王安石)을 말한다. ≪당송팔대가문초≫는 명나라 때의 학자 모곤이 이들 팔대가의 명문장을 선별하여 편찬한 책이다. (사)전통문화연구회에서 완간한 ≪역주 당송팔대가문초≫는 2008년부터 학계의 여러 원로·중견 학자들이 역주(譯註)에 참여하여 2010년 12월 30일 ≪역주 당송팔대가문초 한유1≫의 간행을 시작으로 2020년 9월 30.. 2020. 9. 17. 이전 1 ··· 556 557 558 559 560 561 562 ··· 77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