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WS & THESIS3531 금속기 시작 기원전 5천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나? 여성 모양 조각 FEMALE FIGURINE Anthropomorphic (human-like)신석기시대, 빈차 문화 Vinča culture, 기원전 5000~4500년 무렵 세르비아 남동부 프로쿠플예Prokuplje 인근 플로치니크Pločnik 고고학 유적 출토 빈차 문화 형상 예술 특징인 이 조각상은 커다란 눈과 튀어나온 코를 지닌 편평한 삼각형 가면 같은 얼굴과 꼰머리dreadlocks를 닮은 헤어스타일이 특징이다. 허리 아래에는 긴 치마가 묘사되며 목과 팔에는 문신이나 보석을 상징하는 장식품이 있다. 강조힌 가슴과 넓은 엉덩이는 이 조각이 여성을 표현하려 했음을 암시한다. 소재 : 테라코타terracotta. 치수 - 높이 14cm.세르비아 Prokuplje 박물관 컬렉션 플로치니크.. 2024. 8. 20. 고흥 운대리 분청사기를 다시 본다 모시는 글고흥분청문화박물관은 운대리 분청사기의 역사와 의미를 실증하고 규명하기 위해 연차적으로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이번 학술대회는 라는 주제로 진행됩니다. 분청사기에서 백자로 이행한 조선시대 전기 도자사의 변화를 담고 있는 경기도 광주 관요 가마터, 광주광역시 충효동 가마터의 요업 양상과 고흥 운대리 전면 덤벙분청사기의 제작 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합니다.이를 통해 고흥 운대리 요장窯場의 전면 덤벙분청사기가 제작된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오니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리겠습니다.2024년 8월 고홍군수 공영민 시간 장소 2024. 8. 30 11:00~17:00 분청문화박물관 강당기조발표15세기 백자의 유행과 분장분청 - 박경자(국가유산청 문화유산감정위원)발 표조선 .. 2024. 8. 17. 2024 수원박물관 기획전 조선시대 송설체松雪體 명필 2024년 수원박물관 특별기획전 《조선시대 송설체松雪體 명필》전시기간 2024-08-14 ~ 2024-10-20 전시장소 수원박물관 기획전시실수원시 공립 수원박물관이 2024년 조맹부 탄생 7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특별기획전으로 《조선시대 송설체松雪體 명필》을 저와 같이 개최한다.이번 전시는 송설체가 조선 왕실에서 오랫동안 애호되고, 유행하여 변화를 거치는 조선시대 서예사 일면을 만나보는 자리로 기획했다고 박물관은 덧붙였다. 송설도인松雪道人 조맹부(趙孟頫 1254~1322)는 중국 원나라 때 인물로 서성書聖 왕희지王羲之와 함께 한·중·일에서 존중받는 서예가다.다만 그의 글씨는 이상하게 중국 본토보다는 한반도에서 꽃을 피우게 된다. 조맹부 글씨는 고려말 충선왕忠宣王 이후 유입되면서 조선시대에 널리 확산되.. 2024. 8. 17. 박지 못한 서울지하철 1호선 스파이크 한국에 지하철시대 개막을 알린 1974년 8월 15일.서울지하철 1호선이 개통했다.저 가운데 자리에 당연히 박정희가 서야 했고 설 예정이었지만 그가 빠진 채 개통식이 진행됐다.개통식 1시간 전.서울 중구 장충동 국립중앙극장에서 진행된 제29회 광복절 기념식에서 대통령 박정희가 경축사를 하던 도중 청중석에 있던 재일 한국인 문세광이 쏜 총에 의해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맞았다.이 스파이크는 개통식에서 박정희가 박을 예정이었다.저기다 말이다.서울역사박물관 서울의지하철 특별전시실에서 2024. 8. 15. 방진공법을 적용한 서울지하철 1호선 남대문 공사 "전부다 전철화를 같이 해가지고 연결을 하게끔 했는데, 요새 학자들 쓰는 융합계획이지. 지하철만 건설하는 게 아니고 기존 철도를 전철화랑 같이 한다는 거죠. 그때 양 시장이 안 오셨으면 도저히 일체를 못 만들고 도시교통 문제가 해결 불가능한 상태에요. 서울시 도시계획은 원래 좁은 장소여서 1,000만을 포용하기에는 도시계획적으로 결함이 많은 거에요. 지하철 노선만 가지고 해결할 수 없는 교통에 철도를 갖다가 보완한 거지... 지하철이 안 만들어졌으면 서울시 도시계획은 빵점이에요." 김명년 (전 지하철건설본부장) 땅 위도 땅밑도 제대로, 탈 없이 1971년 4월 12일 시청 앞 광장, 수많은 인파 속에서 착공식을 개최하며 지하철 공사의 시작을 성대하게 알렸다. 하지만 이내 곧 건설공사는 여러 난관에 봉착하.. 2024. 8. 15. 서울지하철과 남대문 동대문 1971년 4월 12일 착공하고 1974년 8월 15일 광복절을 맞아 개통한 서울지하철 1호선은 대한민국 또한 지하철이라는 새로운 교통운수수단을 제공한 혁명이었다. 이 1호선이 봉착한 문제 중 하나가 문화재였으니 공교롭게도 남대문과 동대문을 둘 다 관통했다. 이 문제를 어찌 해결했을까? 저 앞 사진은 동대문 옆을 관통하는 지하철 구간이며 이건 남대문을 통과하는 구간이다. 이 과정에서 문화재관리국과 적지 않이 부닥치게 되는데 이때 자리를 박차고 절대 불가를 외친 문화재위원이 손보기였다. 이 이야기는 다른 자리서 마련해보기로 한다.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의지하철 특별전시실에서 초한다. 2024. 8. 15.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58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