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WS & THESIS3804 정사 삼국지 급고각본 by 김영문 * 명대 말년인 사종思宗 숭정崇禎 17년(1644년) 상숙常熟(江蘇省 常熟市)의 장서가 겸 판각상 모진毛晉이 자신의 각방刻坊 급고각汲古閣에서 앞의 ‘서상당본’을 계승한 삼국지 10책册 65권본을 출간했다. 이 판본을 ‘모본毛本’ 또는 ‘급고각본’이라고 부른다. 삼국지 여러 판본 중에서 ‘서상당본’이 선본의 하나로 인정되고 있는 만큼 이 판본도 ‘서상당본’의 원문을 계승했으나 편집 방식은 거의 새롭게 구성했다. * 우선 표지를 넘기면 바로 “진수 삼국사三國史 모두 65편 총 65권[晉壽三國史凡六十五篇總六十五卷]”이라는 총 제목이 있고 그 뒤에 각각 행을 나누어 “위지 30권, 촉지 15권, 오지 20권[魏志三十卷, 蜀志一十五卷, 吳志二十卷]”이라고 삼국의 부문별 권수를 밝히고, 다음 행 하단에는 이 판본에.. 2024. 11. 14. 나무바닥에 돌로 쌓은 백제 산성 연못 금산 진산성에서 드러나 근자 충남 금산군이 고고학 발굴과 관련한 보도자료 하나를 배포했으니 군내 진산면 읍내리 680 일원에 소재하는 고대 성곽 진산성 동쪽 건물터와 동문터가 있을 곳으로 추정한 곳 일원을 국가유산청 2024 역사문화권 중요 발굴조사 일환으로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재)가경고고학연구소에 의뢰한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바닥은 나무로 짜고, 그 외곽은 돌을 계단식으로 쌓은 사각형 백제시대 연못 흔적으로 찾았다고 한다. 이를 조사단과 의뢰 기관은 집수지集水池라 했지만, 계속 하는 말이지만, 이는 말도 되지 않는 표현이라, 물을 모으는 연못이 말이 되는가? 연못이 그럼 물을 모으지 돌을 모은단 말인가? 암튼 이런 목석木石을 혼합한 구조가 이례적이라 평가하면서 백제시대 문화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 가치가 있다고 했다. 이.. 2024. 11. 13. 한올한올 수염에 장기까지 살아남은 빙하기 동굴사자 https://youtu.be/a89BtSbjaVU외우 이정우 선생이 이미 전한 내용이기는 하지만, 상기 차원에서 다시금 정리해 본다.이르기를 2만8천 년 전 완벽하게 보존된 동굴사자cave lion 새끼 한 마리가 시베리아 영구 동토층permafrost에서 발견됐으니, 얼마나 온전한가 하면 수염whiskers까지도 한올 한올 그대로 남았단다. 보통 사자라면 아프리카 같은 더운 지방에 서식하는 동물로 알지만, 저 무렵 동굴사자라는 친구는 저런 한대 지구에서 산 모양이라, 심심찮게 저런 보고를 한다. 조사 결과 이 사자는 암컷으로 드러났다. 이럴 때 고고학도들은 이름을 붙여주기 마련. 스파르타Sparta라는 이름을 주었댄다. 강인한 이미지를 심고 싶었나 보다. 분석은 스웨덴 연구원들이 진행했다고 하는데 .. 2024. 11. 11. 세계고고학회 2025 세계고고학회가 내년 6월 호주에서 열린다. 앞서 이야기한 고고조직학 심포지움과는 2주인가 간격을 두고 같은 나라에서 하는거라 혹 젊은 분들은 호주 방문 할 생각이 있다면 두 군데를 다 참가하는 것도 가능할려나 어쩔려나 모르겠다. https://worldarchaeologicalcongress.com/wac10/ WAC-10 – Darwin 22-28 June 2025worldarchaeologicalcongress.com 호주 다윈에서 6월 22일-28일에 열린다. 이 학회는 예전에 한 번 참석한 적이 있었는데 볼 만하다. 2024. 11. 8. 한국박물관의 대모 이난영 선생 타계 대모大母라는 말은 이런 때 쓴다. 이난영이라는 이름은 한국박물관계 이론이 있을 수 없는 대모라 그런 선생이 한국시간 8일 타계했다. 향년 90세. 아직 박물관 쪽 공식 부고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안다. 선생이 박물관에 몸담을 시기야 하긴 박물관만 아니라 문화재업계 전체를 통털어도 워낙 숫자가 적기도 했지만 여성은 더 드물었으니 연배가 약간 밑인 목가구 김삼대자 선생은 애초 발을 지금의 국립문화유산원 전신인 문화재연구실로 디딘 것으로 안다. 선생은 내가 알기로 한병삼 정양모 두 전직 관장과 더불어 서울대 동기가 아닌가 싶으며 그것이 아니면 박물관 입사 동기가 아닌지 모르겠다. 국립경주박물관장을 끝으로 정년퇴직하고선 경주에 줄곧 칩거했다. 내가 문화재업계에 발을 디딜 당시에 이미 퇴직한 상태였으니 직접 교유.. 2024. 11. 8. 오록스, 멸종한 모든 소의 조상 소고기의 조상, 여기 있소 유용하 2024. 10. 31. 05:03 국제연구팀이 밝힌 동물·인간 진화 400년 전에 멸종한 야생 소 ‘오록스’ 빙하기 유럽·阿 거쳐 전 세계 가축화 코카서스 일대 ‘인류 유전’도 분석 캅카스산맥 남북으로 다르게 진화 외우 이정우 선생 소개로 접하게 된 소식이라, 그의 요약이 좋으므로 전재한다. 오록스Aurochs는 약 65만 년 전에 등장해 1627년에 멸종한 야생 대형 소다. 선사시대 동굴 벽화에서 보듯 초기 인류 예술의 상징이었고, 이들의 가축화는 근육, 고기, 우유를 활용할 수 있는 원천을 제공했으며, 오늘날까지 그들의 후손이 전 세계 포유류 바이오매스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오늘 Nature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국제 공동 연구팀이 현재 화석으로 발견된 고대 .. 2024. 10. 31. 이전 1 ··· 91 92 93 94 95 96 97 ··· 6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