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Who'sWho in Ancient Korea986

수천(秀天) 선덕여왕 시대 김유신의 친척으로, 병에 걸려 밀본법사한테 치료를 받은 행적만 전한다. 삼국유사 제5권 신주(神呪) 제6 밀본최사(密本摧邪) : 밀본은 일찍이 금곡사(金谷寺)에서 살았다. 또 김유신(金庾信)은 일찍이 늙은 거사(居士) 한 사람과 교분이 두터웠는데, 세상 사람들은 그가 누구인지 알지 못했다. 그때 유신공 친척인 수천(秀天)이 오랫동안 나쁜 병에 걸렸으므로 공이 거사를 보내서 진찰해 보도록 했다. 때마침 수천의 친구 인혜사(因惠師)라는 이가 중악(中岳)에서 찾아왔다가 거사를 보더니 업신여겨 말했다. “그대 형상과 태도를 보니 간사하고 아첨하는 사람인데 어찌 남의 병을 고치겠는가.” 이에 거사가 말했다. “나는 김공의 명을 받고 마지못해 왔을 뿐이오.” 이에 인혜(因惠)가 말하기를 “그대는 내 .. 2018. 4. 9.
법척法惕 신라 선덕여왕 시대 흥륜사 승려로 의술에 일가견이 있었던 듯하다. 하지만 병든 왕을 오래도록 치료하지 못하고 도리어 밀교 계통 승려인 밀본密本한테 죽임을 당했다. 삼국유사 제5권 신주神呪 제6 밀본최사密本摧邪 : 선덕왕善德王 덕만德慢이 병이 들어 오랫동안 낫지 않자 흥륜사興輪寺 승려 법척法惕이 임금의 부름을 받아 병을 치료했으나 오래 되어도 효력이 없었다. 이때 밀본법사密本法師의 덕행이 나라 안에 소문이 퍼져서 좌우 신하들이 바꾸기를 청했다. 왕이 그를 궁중으로 불러들이니 밀본은 신장宸仗 밖에서 약사경藥師經을 읽었다. 경을 다 읽고 나자 지닌 육환장六環杖이 침실 안으로 날아 들어가더니 늙은 여우 한 마리와 중 법척을 찔러 뜰아래에 거꾸로 내던지니 왕의 병이 이내 나았다. 2018. 4. 9.
밀본(密本) 선덕여왕 시대 신라 밀교 계통 승려. 각종 신통력을 발휘해 귀신을 물리쳤는가 하면 외적도 물러나게 했으며 의술 또한 뛰어났다. 삼국유사 제5권 신주(神呪) 제6 밀본최사(密本摧邪) : 선덕왕(善德王) 덕만(德慢)이 병이 들어 오랫동안 낫지 않자, 흥륜사(興輪寺) 승려 법척(法惕)이 임금의 부름을 받아 병을 치료했으나 오래 되어도 효력이 없었다. 이때 밀본 법사(密本法師)의 덕행이 나라 안에 소문이 퍼져서 좌우 신하들이 바꾸기를 청했다. 왕은 그를 궁중으로 불러들이니 밀본은 신장(宸仗) 밖에서 약사경(藥師經)을 읽었다. 경을 다 읽고 나자 가졌던 육환장(六環杖)이 침실 안으로 날아 들어가더니 늙은 여우 한 마리와 중 법척을 찔러 뜰 아래에 거꾸로 내던지니 왕의 병은 이내 나았다. 이때 밀본의 이마 위에 오.. 2018. 4. 9.
심맥종(深麥宗) 신라 제24대 진흥왕의 본명. 삼맥종(彡麥宗)이라고도 한다. 삼국유사 제3권 탑상(塔像) 제4 미륵선화(彌勒仙花)·미시랑(未尸郎)·진자사(眞慈師) : 신라 제24대 진흥왕(眞興王)은 성이 김씨요 이름은 삼맥종(彡麥宗)이니, 심맥종(深麥宗)이라고도 한다. 양(梁) 대동(大同) 6년 경신(庚申. 540)에 즉위(卽位)했다. ☞심맥부(深麥夫) ☞삼맥종(彡麥宗) ☞진흥왕(眞興王) 2018. 4. 9.
교정(姣貞) 신라 진흥왕 시대에 화랑 전신으로 원화가 설치될 때 그 우두머리 2명 중 한 명이다. 삼국사기와 해동고승전에는 그 표기가 준정(俊貞)으로 보이는데, 이는 俊과 글자가 비슷한 데서 유래한 誤寫인 듯하다. 삼국유사 제3권 탑상(塔像) 제4 미륵선화(彌勒仙花)·미시랑(未尸郎)·진자사(眞慈師) : 신라 제24대 진흥왕(眞興王)은 성이 김씨요 이름은 삼맥종(彡麥宗)이니, 심맥종(深麥宗)이라고도 한다. 양(梁) 대동(大同) 6년 경신(庚申. 540)에 즉위(卽位)했다. 백부(伯父)인 법흥왕(法興王)의 뜻을 사모해 한 마음으로 부처를 받들어 널리 절을 세우고, 또 많은 사람들에게 중이 되기를 허락했다. 왕은 또 천성이 풍미(風味)가 있어 크게 신선을 숭상하여 민가(民家) 처녀로 아름다운 이를 뽑아 원화(原花)를 삼았.. 2018. 4. 9.
교정랑(姣貞娘) ☞교정(姣貞) 2018. 4.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