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71 Dogs and puppies in Korean culture The puppies are having peaceful time with, probably the mommy dog. One is smiling on mommy's back and the others are snuggling into mommy's belly. The focus of the painting is on the dog and puppies and the tree is only briefly expressed in the backdrop. Painting of a Dog and Puppies by Yi Am(1499-?), Joseon Dynasty (1392-1897), #NMKCollection 2024. 4. 28. 국제성서박물관, 올리브 지중해의 젖 개관 [올리브 지중해의 젖 개관🫒]2024년 4월 28일국제성서박물관의 기획 전시 ‘올리브 지중해의 젖’이 많은 분들의 축하 속에 개관하였습니다.성경 속 등장하는 올리브의 이야기를 재미있고 유익하게 관람하실 수 있는 전시입니다.4월 30일부터 방문 관람 가능하시니, 편하게 방문하셔서 관람해 주시면 됩니다. 문의) 032- 874 -0385아래는 김종구 선생 사진들이다. 2024. 4. 28. 모헨조다로, 보지 못한 인더스 문명의 심장 모헨조다로 Mohenjo-Daro 라고 하면 내 세대 세계사를 배운 사람들한테는 인더스문명 아이콘이라다만 이라크에 분포하는 수메르문명이나 마찬가지로 그것이 위치하는 현 국가 정정 불안으로 우리한테는 접근이 쉽지 않으니 파키스탄에 위치하는 저 모헨조다로 역시 그런 처지다.다만 인더스문명은 그 젖줄인 인더스강을 중심으로 그 분포양상이 파키스탄 모헨조다로와 같은 파키스탄 쪽 하라파와 더불어 인도 쪽에서는 라키가리와 돌라비라가 저명한 이 시대 도시유적으로 꼽히는 모양이라 나는 저짝 서남아시아 자체가 어째 그리 연이 닿지 아니해서 전연 생소하는 데로 남았지마는 조만간 한번 저 땅을 밟아보리라 다짐한다.암튼 저 모헨조다로는 파키스탄 신드 Sindh 주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고고학 유적지 중 하.. 2024. 4. 28. 이 시대의 대표 이미지는 무엇이냐는 질문: 서울과 전차 글쓰기에서도 문장의 처음이 고민이 되듯, 전시에서도 처음이 고민된다. 여기서 처음이라고 하는 것은 여러 가지가 포함된다. 이를테면 전시 프롤로그. 전시장의 색, 전시 파사드 등과 같은 것.관람객이 전시장에 와서 처음으로 맞닥뜨리는 것이기에, 어떻게 하면 첫 인상을 좋게 보일까라는 점이 학예사가 하게 되는 고민이다. 특히 전시 파사드는 단순히 전시장 입구라는 것에서 벗어나, 일종의 포스터 같은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신경을 계속 쓰는 존재다.어떤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로 보여줄 것인가는 결국 이 전시 주제가 무엇인지를 함축하는 일일 터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특히나 상설전시에서 파사드는 너무 과하지 않으면서도 사람들을 유인해야 하고, 주제도 은근슬쩍 보여주어야 한다는 점에서 난이도가 있다고 할.. 2024. 4. 28. 위대한 유산? 누구의 누구를 위한 누구에 의한 유산인가? 위대한 유산이라 해서 선전한 이런 장면을 볼수록 이제는 마주할 적마다 섬뜩하기만 하다. 누구를 위한 위대함일까? 인민 피땀과 고혈을 쥐어짜낸 흔적이다. 나이 들어가며 이젠 그런 면들에 전율한다. 현재는 그리스 지배하에 있는 크레타 섬 island of Crete 크노소스 궁전 Palace of Knossos 대계단 The Grand Staircase 이라 하거니와 무엇을 위한 그랜드인지 물어야 할 때다. 저걸 건축의 기적 architectural marvel 이라고도 부른다지만, 기원전 2200~1400년 전 청동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저 흔적이 과연 건축의 기적일까? 아니면 인간 욕망의 끝갈 데 없는 발로일까? 나는 갈수록 의심한다. 따라서 저것이 미노아 사람들 Minoan people의 유산인지,.. 2024. 4. 28. 애들 장난 친 건가? 인도 Rajasthan 지역 Mount Abu 소재 Dilwara Jain temple 을 장식하는 한 장면이라는데어째 애들 장난 친 것맛 같다.저리 만들어 뭘 어쩌잔 심사인가?저런 걸 It is one of the greatest works of human craftsmanship and the pinnacle of Indian Temple carving. 이라 하니 만든 친구도, 즐기는 오늘의 우리도 참 그 심리를 알 길이 없다. 2024. 4. 28. 이전 1 ··· 1136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 366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