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71 대구대 중앙박물관 ‘한국특수교육 130주년 기념 특별전’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 ‘한국특수교육 130주년 기념 특별전’1. 최초의 점자책, 손으로 보는 세상을 열다 _전시기간: 2024. 5. 2.Thu ~ 10. 31.Thu _전시장소: 기획전시실(성산홀 2F)2. HUMAN _ sense & sensibility _전시기간: 2024. 5. 2.Thu ~ 6. 7.Fri _전시장소: 성산복합문화공간(성산홀 L층)ㅁ주최: 문화체육관광부ㅁ주관: (사)한국대학박물관협회ㅁ운영: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이 전시는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이 '2024 대학박물관 진흥지원사업 : 전시展/視의 확장, 감각을 깨우다' 사업으로 진행합니다...#전시준비 #대학박물관 #대구대학교 #대구대박물관 #대구대학교중앙박물관 #대구경북문화플랫폼 #museum #전시 #경산가볼만.. 2024. 4. 27. 허리케인이 바꾼 강줄기, 황당한 무용지물 온두라스 다리 이야기 만화경 같은 장면이지만 세상 뻘짓을 논할 때 항용 드는 컷이다.말 그대로다.강이 없는 다리다.그렇담 육교인가?그 인근으로 분명 강이 흐르니 뭔가 이상하다.도대체 어찌된 일일까?저 다리 중남미 온두라스가 막대한 국고 투입해 일본 건설회사에 맡겨 1998년에 완공했다.완공 당시엔 밑으로 강이 흘렀다.어떤 강?촐루테카 Choluteca 강이다. 총길이 484미터 이 촐루카 브리지는 계획 완공 단계에서는 현대 엔지니어 기술의 경이라 했다.잦은 헤리케인 피해를 보는 온두라스라 그에도 끄떡없다 했다.한데 웬걸?완공한 바로 그해 온두라스를 허리케인 ‘미치 Mitch’가 들이쳤다.그 결과는 저랬다.허리케인이 강줄기를 바꿔버린 것이다.저 허리케인 위력이 어땠느냐 하면 온두라스에서 물경 7천 명이나 목숨을 잃었다는 데서 .. 2024. 4. 27. 배터시 방패[Battersea Shield], 템즈강이 내린 켈트 선물 이 유물은 켈트 Celt 문화를 말할 때는 언제나 그것을 선전하는 제1 도구로 활용하곤 한다. 그만큼 상징성이 크다는 뜻이다. 사진만으로는 크기가 가늠되지 않아 저게 뭔가 할 텐데, 방패다.재질은 Bronze요, 길이는 77.7cm, 폭은 34.1~35.7cm이며 무게는 3.4kg이다. 1857년 런던을 관통하는 템즈강 River Thames에서 발굴됐다. 그 발굴 지점에 현재는 배터시 대교 Battersea Bridge가 들어서 있다. 만든 시점은 대체로 기원전 350~50년 철기시대로 보지만 기원후 1세기 무렵까지 낮춰 보는 이도 없지는 않다. 저 자체로 방패 기능을 했다고는 하기 힘들고, 본래는 목제 방패를 가리는 껍데기다. 나아가 저것 역시 실제 전투에 사용한다?그럴 리가 없다. 왜? 아깝잖.. 2024. 4. 27. 마주보며 똥싼 로마인들 해외여행과 이를 통한 견문 확대가 하도 급속하게 이뤄지는 바람에 이제 이 이야기도 새로울 건 없다.나 역시 그 옛날 에페수스에서 저 로마 똥통을 보고선 오잉? 했지만 이젠 무덤덤하다.견문이야말로 생소의 추방 지름이다.거의 모든 로마 도시에는 호화로운 환경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대규모 공공 변소가 있었다.기원전 1세기경, 공공 변소는 목욕탕과 마찬가지로 로마 기반 시설의 주요 특징이 되었다.공동 화장실에는 흐르는 물의 수로 위에 작은 구멍이 뚫린 긴 벤치가 있었다.고대 로마인들은 테르소륨 tersorium으로 닦았다. 이 고대 장치들은 식초나 소금물에 적신 스펀지가 부착된 막대기로 구성되어 있었다. 다음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남겼다.재활용 정신에 투철했다.우린?걸리는 대로 다 썼고 거름으로 쓴다고 .. 2024. 4. 27. 아시리아왕의 사자 사냥 개사기 아시리아 Assyria 저명한 왕 아슈르나시르팔 2세 Ashurnasirpal II (883-859 BC)(재위 기원전 883-859) 사냥 장면이다.이미 부상한 사자를 향해 활과 화살로 조준하는 모습을 묘사한다.왕과 전차몰이꾼을 태운 마차는 세 마리 말이 끈다.원래 부조는 기원전 9세기로 추정되는 아시리아 칼후 Kalhu 에 있는 아슈르나시르팔 2세의 북서궁 North-West Palace 에서 가져온 것으로 베를린 페르가몬 박물관 Pergamon Museum 에 전시 중이다.본래 동아시아 군주 수렵 양태를 보면 실제 사냥은 전문 사냥꾼이 하고 몰이꾼들이 사냥감을 몰아주면 비실비실한 사냥감에다가 군주가 마지막 화살을 쏘아 군주가 사냥을 했네 명사수네 개설레발을 쳤다.출처는 Assyria News저 사냥.. 2024. 4. 27. 이탈리아 호수에 가라앉은 7천년 전 신석기 통나무배 5척 지중해 7,000년 신석기 보트가 첨단 항해 기술을 보여주다연구자들이 7,000년 전 지중해 연안에 거주하는 신석기 공동체의 놀라운 해양 능력을 밝혀냈다.바르셀로나에 있는 스페인 국립연구위원회 Spanish National Research Council 고고학자들이 주도한 이번 조사는 이탈리아 로마 인근에 위치한 신석기 호숫가 정착촌 라 마르모타 La Marmotta 에서 정교하게 제작된 카누 5대를 발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기원전 5700년에서 5100년 사이에 움푹 파인 나무로 세심하게 제작된 이들 카누는 선사 시대 선박에서 이전에는 인식되지 않았던 수준의 기술적 정교함을 보여준다.피누스 실베스트리스 Pinus sylvestris, 포풀루스 트레물라 Populus tremula, 케르쿠스 종 Que.. 2024. 4. 26. 이전 1 ··· 1139 1140 1141 1142 1143 1144 1145 ··· 366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