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71 봉수병鳳首甁, 어떤 놈이 이 따위 이름을 지었단 말인가? 이른바 사산조 봉수병이라 해서 흔히 소개되는 유리제품이딴걸 봉수병鳳首甁이라 부르는데 glass oinochoe 라 한다는데 이것만큼 웃기는 명명도 없다.봉황 대가리를 닮았다 해서 봉수라 했다는데 서양에 무슨 봉황이 있단 말인가?하긴 봉황은 모델이 장닭이니 장닭 대가리라 하면 할 말이 없다만 저딴 망발이 아직도 통용한다는 게 웃기지 않는가?어떤 왜인이 쓰기 시작하니 줏대없이 따라서 쓰기 시작했을 텐데 제발 정신 좀 차려라. 2024. 4. 28. 사르데냐가 선물한 이천년 전 로마시대 모자이크 이탈리아 사르데냐 Sardinia 노라 Nora의 풀라 고고학 공원 [Pula Archaeological Park]에서 발굴된 테트라스타일 Tetrastyle 집 로마시대 모자이크 바닥(서기 2세기).노라는 고대에 가장 중요한 사르데냐 도시 중 하나였으며 여전히 섬 전체에서 가장 잘 보존되고 가장 중요한 유적지 중 하나로 간주된다. 2024. 4. 28. 살아서 꿔다논 보릿자루였다가 시체로 유명해진 투탕카문 앞서 말한 대로 이 친구 대표적 사기 행각의 선두주자라살아서는 존재감 제로였다가 그 시체가 발견되면서 아연 유명해졌다.고대 이집트 18왕조 후반인 기원전 1332년에서 1323년 사이를 통치한 고대 이집트 파라오라지만 꿔다논 보릿자루에 지나지 않았다.투탕카텐 Tutankhaten 으로 태어난 그는 KV55 미라로 생각되는 아케나텐 Akhenaten 아들이었을 가능성이 높다.투탕카멘은 특별히 중요한 왕은 아니었지만, 그의 무덤이 현대에 온전하게 발견된 유일한 왕실 매장지였다.이 무덤은 고고학자들이 이집트 왕의 무덤이 어떻게 생겼는지 기록하고 고대 이집트에 대해 더 많이 배울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에 중요했다.투탕카멘, 인류사 최고의 빈깡통 2024. 4. 28. 케르마 Kerma, 기원전 2천년 전 지금의 아프리카 수단을 지배한 왕국 기원전 2500~1500년 무렵 고대 누비아 Nubia 지역을 번성한 문화 혹은 왕국으로 케르마 Kerma 라 일컫는 존재가 보고되어, 그 문화를 떼어내어 특징짓기를 케르마 문화 The Kerma culture 혹은 케르마 왕국 Kerma kingdom이라 부르기도 하거니와 그 주된 지역으로는 지금의 아프리카 수단 Sudan 케르마 Kerma가 꼽힌다. 이 케르마 문화는 누비아 남부, 곧 지금의 수단 북부와 중부 지역을 아우르는 "상上누비아 Upper Nubia"에 기반을 두다가 나중에는 북쪽 하류 누비아 Lower Nubia 와 이집트 국경까지 확장했다고 보는 듯하다. 이집트 중왕국 시대에 나일강 유역 여러 정치체 중 하나로 꼽힌다. 기원전 1700~1500년에는 사이 Sai 왕국을 흡수통합해 이집트에.. 2024. 4. 28. 당나귀가 발견한 짬뽕 알렉산드리아 카타콤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있는 콤 엘 쇼카파 Kom El Shoqafa 카타콤 catacombs 은 서기 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거대한 네크로폴리스 necropolis 다.이른바 중세시대 7개 불가사의 [the Seven Wonders of the Middle Ages] 중 한 곳으로 꼽힌다고 한다. 최대 300구 시체를 수용하는 3단 무덤이 있는 이 카타콤은 이집트, 그리스, 로마 예술 전통을 복합한 양상을 보여준다고.그런 까닭에 일부 조각상은 이집트 스타일이나 로마식 의상과 머리 스타일을 보이기도 한다. 시체를 안으로 운반하는 데 자주 사용했다는 원형 계단은 서기 2세기 무렵에 기반암을 뚫은 터널 모양 통로로 4세기까지 시신 매장실로 이용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1900년 당나귀가 이곳으로 떨어지면서 발.. 2024. 4. 28. 페르시아 세밀화 #페르시아세밀화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세계문화관 인도·동남아실에 전시된 페르시아 세밀화는 문학, 미술, 서예가 결합한 페르시아 고유의 회화 장르입니다.일반적으로 문학작품 필사본의 삽화로 그려졌지만, 초상화와 같이 독립된 주제가 제작되기도 했고, 술탄 등의 지배자나 상인, 부유한 시민의 주문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았지만, 판매를 위한 상업용 세밀화도 제작되었습니다.11세기 초에서 14세기 중반에 걸쳐 페르시아 세밀화의 기술과 양식이 크게 발전했고, 특히 사파비 왕조(1501~1736) 때에는 궁정 공방 체계가 갖춰져 뛰어난 필사본 삽화들이 많이 그려졌습니다. Persian miniature paintings refer to a typical genre of Persian paintings that com.. 2024. 4. 28. 이전 1 ···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 1141 ··· 366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