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63

자연과학으로 접근한 고려청자 학술대회 세계유산과 한국의 고려청자 요지 고려청자 원료와 산지의 자연과학적 접근 2024. 4. 19(금) 13:00~18:00 국립문화재연구원 분석과학관 지하 1층 강당 민족문화유산연구원,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주최 2024. 4. 2.
영감님들은 아침을 기다려야 필자가 젊은 시절 가끔 어른 중에는 엄청나게 빠른 시간에 하루 일과를 시작하는 분이 계셨다. 그냥 혼자 일과를 시작하면 좋은데 회의를 그때 한다. 그러니 아침 7시에 회의를 하고 하루 일과를 시작하는 것이다. 회의에 참석해야 하는 젊은이들은 죽을 노릇이다. 젊은 시절 필자는 잠이 많아 그런 분들 보면 경외의 마음으로 대했다. 역시 성공한 분들은 다르구나. 저렇게 부지런 할 수 있다니. 한국경제에 엄청난 기여를 하신 위인 반열에 들어간 어떤 기업인도 새벽 5시에 온가족이 일어나 아침밥을 먹고 일과를 시작했다던가. 그런데 나이가 들고 나서 보니 새벽 5시에 일과 시작하는것-. 아무 것도 아니다. 그때 되면 누가 말려도 눈이 떠진다. 나이가 들면 아침 일찍 일과시작하는 건 아무나 다 할 수 있더라 이거다. 대.. 2024. 4. 1.
노화와 사단칠정 사단칠정이라는 것이 있다. 맹자에 처음 나온다. 이 중에 칠정은 우리 맘에 구비된 사단이 외물을 만날 때 이에 반응하여 움직이며 만들어지는 맘속의 감정이다. 喜怒哀樂愛惡慾으로 맹자에는 쓰고 있다. 나이가 들면서 느끼는 것은 이 칠정이 나이들며 남아 있는 정도가 다르다는 생각을 한다. 예를 들어 哀가 칠정 중 가장 오래 남아 있는 것 같다. 怒와 愛는 필자의 경우에는 빨리 증발하는 감정이다. 화가 나다가도 좀 지나면 잊어버린다. 愛도 비슷하여 확실히 젊은 시절의 愛와는 다르다고 느낀다. 제 삼자가 보면 인격이 원만해져 공자님이 말씀하신從心所欲不踰矩에 가까와졌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실상을 알고 보면 나이가 들면서 마음 속의 칠정이 말라버리는 것이다. 從心所欲不踰矩가 아니라 귀찮아서, 돌아서면 잊어버려서.. 2024. 4. 1.
春來不似春 그래도 봄은 봄이다. 2024. 4. 1.
고려시대 안태安胎 전통[3] 이대박물관 왕건 청자는 그의 태항아리 청자 순화 4년명 호 靑磁淳和四年銘壺, 죽은 왕건을 위한 봉헌물 청자 순화 4년명 호 靑磁淳和四年銘壺, 죽은 왕건을 위한 봉헌물청자 순화 4년명 호 靑磁淳和四年銘壺 Jar with Inscription of "4th Year of Sunwha". Celadon 국보 제326호 National Treasure No.326 고려 993년 Goryeo 993 보물이었다가 2019년 5월 2일 국보로 승격했다. 이화여대박물관 historylibrary.net 골동상이 가져와 구입한 이화여대박물관 소장 국보 청자 골동상이 가져와 구입한 이화여대박물관 소장 국보 청자1946년 4월 1일, 인천시립박물관 개관과 더불어 만 27세에 그 초대 관장으로 복무한 이경성은 1954년 3월 31일, 36세에 그곳을 사임하고서는.. 2024. 4. 1.
고려시대 안태安胎 전통[2] 모든 왕이 전국 각지에 만든 태실 태조 왕건이 태실을 조성했으므로, 이후 왕들 역시 자동빵으로 적절한 데를 골라 태실을 만들었을 것임은 불문해도 가지하다. 다만 그런 흔적이 몇 남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이기는 하지만, 그런 대로 그런 편린이 있으니 고려사 지리2 경상도 안동부 기양현을 보면 명종明宗 2년(1172)에 태자의 태胎를 묻어 지금 이름으로 고치고, 승격시켜 현령관縣令官으로 삼았다는 것으로 보아, 그 태실이 개성에서 아주 먼 안동에 만들었음을 보며 같은 지리地理1 양광도 안남도호부 수주 김포현金浦縣을 보면 신종神宗 원년(1198)에 왕의 태胎를 이곳에 묻게 되어 김포현으로 승격했다 해서 같은 양상을 보이며 같은 지리3 서해도 평주 동주에는 이곳을 원종元宗(재위 1259~1274)이다. 시대에 왕의 태를 묻은 곳이라 해서 서흥현령관.. 2024. 4.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