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2

서학부강총서西學富強叢書, 서양을 부강하게 만든 과학기술총서 1896년(光緒22) 청나라 장음환張蔭桓이 한문으로 번역된 서양과학기술 서적을 모아 석인본 《서학부강총서西學富強叢書》 44책을 홍문서국鴻文書局에서 발간하였다. 이것이 발간되기 전 이미 청나라에서 읽히던 것들이니 일부 조선에도 유입되었을텐데 전혀 연구가 없다. 2023. 11. 23.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58) 무수한 돌밟변수, 애드리브가 요체 우리 나라 사람들 유별난 특징 중 하나가 유별난 관종 기미라 관종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나만 아는 비밀은 없다는 것이니 이 성향이 가장 두드러진 데가 여행정보라 우리나라 사람이 안 가본 데가 없으니 심지어 우주까지 다녀왔으니 이 관종 민족은 어케든 그 정보를 혼자만은 알 수 없다 해서 어케든 까발리니 어느 여행지를 찾든지 그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것이 없어 그로 가고자 하는 사람들한테 무수한 지남자가 된다. 나 역시 그 넘쳐나는 정보들에서 무수한 도움을 받으니 그런 정보를 접할 때마다 그 험난한 길을 처음 개척한 사람들 고역은 어땠을까 생각하면 실은 눈물겹다. 그런 정보들이 쌓이고 교정 업데이트하면서 오늘에 이르렀으니 ㅇ이제는 새로운 정보 축적이 아니라 그에서 옥석을 가리는 일이 과제로 등장했다. 앞서 말.. 2023. 11. 23.
한반도 쌀농사가 산동성에서 넘어온 이유 한반도 쌀농사는 처음에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하는 의문에 대해 여러 개의 답지가 있다. 우선 중국 쌀농사의 본거지라 할 양자강 유역에서 바로 건너왔다는 주장이 있다. 대개 오키나와를 타고 북상했다는 주장도 있고, 바로 황해를 건넜다는 주장도 있다. 반면에 산동성에서 바다를 건너 한강이나 대동강유역으로 들어왔다는 주장도 있다. 이에 대한 필자의 생각은 이렇다. 필자는 산동설을 지지한다. 산동성에서 요동반도로 일차 도해한 후 서해안을 따라 대동강까지 빠른 속도로 남하했을 것으로 본다. 왜 양자강에서 바로 들어오는 것은 어려울까? 우선 양자강에서 한국과 일본을 이어주는 고리인 오키나와가 쌀농사 시작이 아주 늦다. 이 해양로를 따라 북상했다면 오키나와에서 쌀농사가 보다 일찍 시작되었을 것이다. 다음으로-. 앞에서.. 2023. 11. 23.
한국 유네스코 세계유산위 위원국 다시 진출 by 김태식 THE HERITAGE TRIBUNE ts1406@naver.com 한국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21개 위원국 멤버로 다시 진출한다. 한국은 22~23일 파리 본부에서 진행하는 제23차 2023년 유네스코 총회에서 195개 회원국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세계유산위 위원국 투표 결과 새로운 위원국으로 사상 네 번째로 재진출했다. 한국은 아시아에 배정된 두 장 티겟 중 베트남에 이어 2등으로 진출한다. 한국과 베트남 외 새로운 위원국은 Ukraine, Kenya, Senegal, Lebanon, Jamaica, Kazakhstan, Türkiye다. 따라서 기존을 포함한 새로운 위원국 21개 국가는 다음과 같다. Argentina, Belgium, Bulgaria, Greece, Indi.. 2023. 11. 23.
파리 중랑천에서 일몰을 보며 해가 막 졌다. 중랑천으로 사랑이 흐르고 중랑천으로 사랑이 갔다. 썩은 물 홍수 씻기듯 썩은 사랑도 갔다. 내가 여기 온 이유는 그 썩은 사랑 씻기 위함이다. 2023. 11. 23.
새롭게 읽는 수책거적도守柵拒敵圖 이순신의 녹둔도 싸움을 그린 수책거적도. 미술사적으로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필자가 볼 때 이 그림은 걸작이라고 생각한다. 북방 녹둔도를 털러 온 여진족에 활시위를 당기는 조선병사들의 모습은 정말 다이나믹하다. 16세기 긴박한 북방 개척촌 모습을 생생히 보여주는 듯 싶다. 수책거적도의 주인공은 녹둔도 개척촌을 지킨 이순신 등 병사인 듯 하지만, 물론 이 군인들의 공을 결코 폄하할수 없겠지만, 사실 이 그림의 진짜 주인공은 그림 한편에서 오돌오돌 떨고 있는 농민들이다. 들에는 아마 가을 걷이 철인듯 한데, 쌓아 놓은 모양으로 볼 때 벼 아닐까? 그렇다면 목책 바깥 너무 황급해서 지게를 버리고 들어온 바깥 농지는 밭이 아니라 논이 아닌가 싶다. 16세기 두만강 유역 녹둔도까지 올라가 여기서 논농사를 짓고 있던 .. 2023. 1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