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2

잡곡인가 도작인가 중국도 이른바 진령-회하선이라는 것이 있다. 남중국과 북중국을 가르는 선이다. 이 선을 경계로 화북과 화남의 여러가지 지표가 차이를 보인다는 유명한 경계선이다. 중국이라는 나라는 이 진령-회하선을 경계로 두 개의 서로 다른 체계가 결합한 문명이다. 한국사를 보자. 한국사 두 개의 상이한 체계-. 한국사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잡곡문명과 도작문명, 두 개 문명이 결합한 체계였다. 부여-고구려는 도작문명과 거리가 멀었다. 이들이 남하하면서 도작문명과 결합하고 그 일파인 백제는 아예 도작문명의 왕조로 전환했지만, 여전히 한반도 북부와 만주일대에 이어진 발해는 역시 잡곡문명이다. 이에 반해 한반도 남부에서 일어난 여러 왕조는 모두 도작문명이며 기본적으로 이들은 잡곡문명과 함께 단일 체계를 이루었던 경험이 없던.. 2023. 11. 21.
쌀이 나던 두 지역을 방기한 발해 발해 지도를 유심히 보면, 발해 땅에서 쌀이 많이 난 두 지역, 대동강유역과 함흥평야 일대가 방기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지역은 전통적으로 인구가 많던 지역으로 발해 땅 안에서 쌀이 난다면 이 두 지역밖에는 없기 때문이다. 이 지역보다 더 위로 올라간다면 당시 쌀 농사는 극히 어려워지는데, 발해에 대해 남은 기록을 보면 두만강 유역에서 쌀이 났다는 이야기가 있으니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았겠지만, 역시 대동강유역과 함흥평야 일대가 고조선 이래 줄곧 쌀이 나던 지역이라는 점은 변함 없을 것 같다. 발해의 5경은 이 두 지역을 빼고 설치되어 있는데, 고려 초기 기록에 서경이 완전히 버려져 폐허가 되었다는 것을 보면, 함흥평야 역시 마찬가지였을 가능성이 높겠다. 따라서 위 지도를 보면 대동강유역과 함흥평야 일대.. 2023. 11. 21.
The Enhancing Our Heritage Toolkit 2.0 (EOH 2.0) is out! The Enhancing Our Heritage Toolkit 2.0 (EOH 2.0) is out! This resource manual, prepared through to the work of more than 200 professionals and over a 10-year period, offers a practical self-assessment methodology to identify how well a World Heritage property is being managed. Using the twelve tools included in the Toolkit site managers can identify how to improve management systems and how to b.. 2023. 11. 21.
[슬렁슬렁 자발 백수 유람기] (56) 동전은 생명이요 빛 해외여행에서 부산물로 생기는 동전을 대체로 거추장스러 하지만 유럽의 경우 이처럼 요긴한 요물이 없다. 간단한 생필품 구입은 물론이고 여러모로 쓰임새가 많아 동전이 아예 퇴출하는 지경에 이른 한국과는 사뭇 다른 풍경이다. 한국이야 이러다 실물화폐가 아주 종적을 감추고 온라인상으로만 거래하는 사회로 진입하지 않나 하지만 이짝은 여전히 화폐거래가 많아서인지 모르겠지마는 여전히 유효하다. 잔돈이 싫다 거부하지 말지니 어느 시스템이 더 효율인지는 모르겠다. 이럴 줄 알았음 지인들 빼다지 뒤져 동전 잔뜩 싸올 걸 그랬다는 후회가 막급이라 백유로짜리 지폐에 욕심낸 패착이라 하겠다. 2023. 11. 21.
유료를 공짜로 하긴 쉬워도, 공짜 유료화는 힘들다 by 김태식 THE GERITAGE TRIBUNE ts1406@naver.com 유인촌 "국공립 박물관·미술관 무료관람 제도 검토 필요" 송고시간 2023-11-21 16:53 미술계 현장간담회…"소마미술관 등 관리 주체 이관도 추진" https://www.yna.co.kr/view/AKR20231121131600005?section=culture/all&site=topnews01 유인촌 "국공립 박물관·미술관 무료관람 제도 검토 필요"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국공립 박물관과 미술관 무료 관람 제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www.yna.co.kr 이 소식 제목만 보고서는 대뜸 아 사립박물관 미술관들이 들고 일어났구나 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적.. 2023. 11. 21.
화보로 보는 몽촌토성 삼국시대 목제 쟁기 by 김태식 THE GERITAGE TRIBUNE ts1406@naver.com 자세한 소식은 아래에서 정리했으므로 그것을 참고하되 사진만을 빼서 따로 정리한다. 몽촌토성 연못에서 세번째 쟁기 출현 몽촌토성 연못에서 세번째 쟁기 출현 한성백제박물관, "서로 다른 형식의 쟁기" "고대 농업기술사 연구에 새로운 전기" by 김태식 ts1406@naver.com 북쪽 인접지점 풍납토성과 더불어 한성백제 왕도를 구성한 양대 왕성으로 간주하는 서울 historylibrary.net #몽촌토성 #한성백제박물관 #쟁기 2023. 1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