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36

양산 부부총 이름을 가꾼다, 태식총塚으로 SUV 수포티지는 아니다. 2013. 12. 8 포토 바이 영우 팍 2020. 12. 8.
김태식, <신선의 왕국, 도교의 사회 신라>《문화재》 36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원문보기 - ScienceON 이 원문은 ScienceON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scienceon.kisti.re.kr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 36집(2003)에 투고한 논문이다. 17년 전에 다 얘기했다. 신선의 왕국, 도교의 사회 신라 -적석목곽분과 그 시대를 중심으로 - Immortality,Taoism, and Tombs in the old Silla Kingdom 김태식 연합뉴스 문화부기자 Ⅰ. 전통의 창출과도교의 추방 Ⅱ. 적석목곽분 시대 신라 주변 제 지역의 도교문화 Ⅲ. 영원불사의 여러 표상 ① 무덤: 죽은자가영원히사는집 ② 연수(延壽) : 불로장생의다른이름 ③ 음양오행 Ⅳ. 불사의 선약과그 제조구 ① 운모(雲母) ② 주사(朱砂) : 선약중의선약 ③ “바둑알” : 환약의대용품 ④ “돌.. 2020. 12. 8.
신라가 신선, 도교의 왕국이었음을 유감없이 증명한 경주 쪽샘 44호분 쪽샘44호분 발굴영상(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호화장신구 걸치고 바둑돌과 함께 묻힌 1천500년전 신라왕족여성(종합) 송고시간 2020-12-07 14:39 성도현 기자 경주 쪽샘 44호분서 바둑돌 200여점…"여성도 바둑 즐겼을 것 추정" 신장 150㎝ 내외 미성년 왕족 가능성도…비단벌레 금동장식도 출토 www.yna.co.kr/view/AKR20201204141651005?section=culture/all 호화장신구 걸치고 바둑돌과 함께 묻힌 1천500년전 신라왕족여성(종합) | 연합뉴스 호화장신구 걸치고 바둑돌과 함께 묻힌 1천500년전 신라왕족여성(종합), 성도현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12-07 14:39) www.yna.co.kr 이 보도 토대가 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배포자료는.. 2020. 12. 7.
Go stones, jewelry unearthed from Silla-era tomb of woman Go stones, jewelry unearthed from Silla-era tomb of woman General / 이민지 기자 / 2020-12-07 15:44:22 ancient relics-excavation SEOUL, Dec. 7 (Yonhap) -- Hundreds of Go stones and jewel beetle ornaments were some of the unusual relics found alongside a guilt-bronze crown and gold accessories at an ancient tomb presumed to belong to a woman from a royal family in the Silla era, cultural heritage autho.. 2020. 12. 7.
"약절구 머리 쪽에서 나왔죠?" "나올 게 나왔네요. 혹 출토위치는 피장자 머리 쪽이 아니던가요? 머리일 텐데?" "네 머리 쪽에서 저것이 세트로 나왔어요" "그럴 겁니다. 내부에 뭐 들었는지 분석할 거지요? 황남대총 남분에선 분석을 안했어요. 그때까진 저 약절구 중요성을 전연 몰랐으니깐요." "네 안 그래도 분석 중입니다." "그와 더불어 저 약절구 내부 부피 좀 측량해 주세요. 물을 부어서 얼만큼 들어가는지 확인해주세요. 언뜻 보면 커피종이컵 분량도 안 될 거 같은데 이것이 약절구 여부를 판단하는데 중요합니다." "녜 재 보겠습니다" "아시겠지만 저런 약절구 세트가 황남대총 남분 말고도 경주박물관 국은 이양선 박사 기증품에도 있어요. 박물관에서 청동기시대 유물이라 붙여놔서 그거 아니라고 일러준지 오래인데 바꿨는지 모르겠어요" "확인.. 2020. 12. 7.
보이지 않는 북극성, 주희가 이해한 임시방편으로서의 북극성 2005.11.14 08:37:06 북진北辰에는 별이 없다. 사람들이 이를 극極으로 삼기를 원했고 (그것을) 인식할 수 있는 어떤 것이 없어서는 안 되었기에 근처 작은 별 하나를 골라 극성極星이라 일컫는 것이다. (北辰無星, 緣是, 人要取此爲極, 不可無箇記認, 故就其傍取一小星, 謂之極星) 《주자어류朱子語類》 卷第二十三 論語五 為政篇上 이는 인식 체계 속에서의 북극성과 실제 천상세계의 북극성 그 괴리를 말하는 것이다. 공자는 뭇별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돌 듯이 신하들이 군주인 북극성을 피라미드처럼 떠받치는 그런 시스템을 이상향으로 여겼지만, 문제는 북극성 북극성 하지만 그에 해당하는 북극성이 실제 천문 세계에는 없다는 사실이었다. 주희가 말하는 북극성은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북극성에 정확히 해당하.. 2020.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