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37 국화 핀 조계사는 발광發狂 꽃도 향기가 진동하면 골이 지끈하는 법이다. 지금 조계사는 국화향 진동이다. 부처님도 국화 가사 걸쳤다. 국화가 자란다. 온동네가 국화 마약이다. 누군가 웃통을 벗어제꼈는데 저 향에 취해서라 생각해본다. 공룡도 국화에 물들었으니 국화 피는 계절 조계사는 모두가 발광發狂한다. 2020. 10. 20. 장서가 기승한祁承㸁의 장서인藏書印 명나라 장서가 기승한祁承㸁의 장서인藏書印 澹生堂中儲經 籍主人手校無 朝夕讀之欣然 忘飮食典衣市 書恒不給後人 但念阿翁癖子 孫益之守弗失 曠翁銘 2020. 10. 20. Cheomseongdae, observatory? altar? Cheomseongdae, built in the era of Queen Seondeok in Silla, has a lot of controversy over its function. It is regarded as an astronomical observatory, considering the record that it was a star-observing place, but to me it is an astrological altar. photo by seyun oh 2020. 10. 20. [기사]단체행동 나선 지자체 학예연구사 단체행동 나선 지자체 학예연구사 [관가 인사이드] "계약직 절반 넘어 고용 불안.. 대부분 나홀로 업무" [서울신문]지자체마다 1~2명… 많으면 10명 안팎 배치 법 규정없어 처우·지위 제각각 일반 행정직이 담당 전문성 인식 부족 “문화재 비례해 학예인력 배치” 주장 조계종·문화재청 “법령 개정위해 노력” 대대로 이어져 온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활용 가치를 높이는 문화재 행정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일선 현장에서 정책을 실행하는 전문 학예연구 인력에 대한 인식과 처우는 여전히 낮다는 불만이 끊이지 않는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문화재·박물관 업무를 담당하는 학예연구직 공무원 연합단체인 전국학예연구회가 최근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등 본격적인 단체행동에 나섰다. 연구회는 지자체 학.. 2020. 10. 20. 서봉사지, 모름지기 이승을 하직하고픈 사람들한테 바치는 헌사 죽어야겠다는 사람들은 이곳으로 가라 언제부터라고는 기억을 하지 못 하나, 꼭 이맘쯤이면 나는 언제나 서봉사지에 들른다. 째질 만큼 기분이 좋으면 좋아서, 아니면 마음 달랠 일 있으면 그럴 적에 언제나 가 보고 싶은 곳 첫손에 꼽히는 데가 이곳 서봉사지다. 왜 그럴까? 올해는 여유가 좀 있다 해서 그런지, 아니면 째질 일도 달랠 일도 없는 그저 그런 날이 계속해서인지 그러지는 못했지만, 이맘쯤 서봉사지 중턱에 올라 우두커니 앉아있노라면 그 전면에 병풍처럼 둘러친 앞산 광교산 중턱을 띠처럼 두른 낙엽송 단풍이 그리 아름다울 수 없다. 낙엽송은 단풍나무와는 사뭇 다른 단풍과 그것이 주변 산림과 어우러져 오묘한 색채를 내는데, 내가 화가라면 그에서 무슨 새로운 미술 흐름을 바꿀 만한 단초를 찾지 않았을까 할 정.. 2020. 10. 20. 단양 도담삼봉 아침에 포토바이오가 이 사진을 카톡으로 투척한다. 경주 독거노인도 가을 심하게 탄다. 한데 낙조인지 일출인지 모르겠다. 2020. 10. 20. 이전 1 ··· 2163 2164 2165 2166 2167 2168 2169 ··· 32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