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37

구구단 조선후기 구구단을 구구법九九法이라고 하고, 구구팔십일부터 거꾸로 외었나보다. 2020. 10. 20.
돈은 많고 볼 일, 곤장도 돈맛대로 조선 형벌은 그 형량이 대단히 가혹했다. 회초리 같은 것으로 볼기를 치는 태형笞刑, 장(杖)이나 곤(棍)으로 볼기를 치는 장형(杖刑), 징역형에 해당하는 도형徒刑, 멀리 귀양보내는 유배流配가 있었다. 물론 그 죄형이 강상죄(綱常罪)냐 잡범이냐에 따라 장(杖)이나 곤(棍)도 그 치수가 달라 세 등급이 있었다. 죄인에게는 속전贖錢을 받고 그 형을 감면하는 제도가 있었으니 수속收贖이라고 한다. 돈만 많다면 어지간한 범죄로 형벌은 모면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금액이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었다. 또 조사할 때 죄인을 때리며 죄를 묻는데, 이를 형추刑推라고 한다. 이때에도 어지간한 죄를 지었다면 돈으로 고통을 면할 수도 있었다. 가벼운 범죄에 대해서는 수속보다는 저렴하게 ‘매품팔이’를 사서 대신 맞게 할 수도 있.. 2020. 10. 20.
논문은 사륙변려문으로 논문은 문학이어야 한다. 각주 달린 사륙변려문이어야 한다. .. .. 이에 대해선 많은 연구가 있다. .. 이렇게 시작하는 논문, 난 찢어버린다. (2013. 10. 19) *** 그제 글쓰기에 대한 중구난방 생방 강연을 했다. 그에서 나는 우리 학술논문이 지닌 문제점을 이야기했다. 문체의 중요성을 논했다. 그 단초다. 나는 에세이건 논문에서 첫줄을 생명처럼 보는 사람이다. 그것을 여하히 쓰느냐에 따라 그 글은 생명력을 죽이느냐 살리느냐를 결정한다고 본다. 그 글이 무엇이건 이 첫줄로 모든 것이 결판난다. 2020. 10. 20.
한국체질인류학에서 보는 일본 야요이시대의 의미 2020년 10월 16일, 대한해부학회에서 "체질인류학에서 바라본 한일 관계사: 야요이시대의 개막과 전개" 라는 제목으로 심포지움이 개최되었습니다. 이 문제는 일본사 뿐 아니라 한국사에도 매우 중요한 내용으로 앞으로 우리 연구실이 계속 다룰 연구주제입니다. 모두 다섯편의 내용이 발표되었는데 그 중 제가 발표한 부분만 업로드 해 소개합니다. 한국 체질인류학에서 보는 일본 야요이 시대의 의미 (Academic significance of Yayoi Period in physical anthropology of Korea)신동훈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그 외 아래 발표도 있었습니다. How our ancestors were formed: From the morphology of the ancient.. 2020. 10. 19.
"제발 돈 좀 주세요" 사바틴의 대한제국 러시아공사관 대금 지불요청서 1. 치오고 작성 최초 견적서(번역문) 2. 사바틴 작성 견적서(번역문) 3. 사바틴의 청원서3(번역문) 대한제국 러시아공사관을 신축하면서 그 설계건축가 사바틴이 1898년 3월, 중국 텐진에 머물면서 본국 러시아에 대금 지불을 요청하는 문건 번역이다. 1898년 3월 11일 가운데 직인: 제4930호, 인사경리국, 1898년 7월 3일 표시: 참조 수신자 K. I. 베베르 하단 수신인: A. K. 바질리 귀하 알렉산드르 콘스탄티노비치 귀하 톈진에 거주 중인 러시아 국민 아파니시 세레딘 사바틴이 자신이 받아야 할 대한제국 주재 공사관 건축 수당을 지급하여 줄 것을 자신을 대신하여 외무부에 청원하여 달라는 요청을 저에게 해 왔습니다. 이와 관련한 내용이 담긴 세레딘 사바틴의 청원서 원본을 동봉하여 간청 드.. 2020. 10. 19.
한국근대를 건축으로 설계한 사바틴 명성황후 시해 목격한 러시아 건축가 사바틴을 만난다 송고시간2020-10-19 09:00 임동근 기자 한러 수교 30주년 기념 '1883 러시아 청년 사바틴, 조선에 오다' 특별전 명성황후 시해 목격한 러시아 건축가 사바틴을 만난다 | 연합뉴스명성황후 시해 목격한 러시아 건축가 사바틴을 만난다, 임동근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10-19 09:00)www.yna.co.kr 사바틴이라는 이름은 한국근대사에서는 빠뜨릴 수 없다. 곳곳에서 그를 만나는데, 아파나시이 이바노비치 세레딘-사바틴(1860~1921)은 1883년, 인천해관 직원이라는 신분으로 조선에 들어와 1904년 출국할 때까지 제물포항 부두를 만들고 조선 궁궐 건축과 정동 일대 근대 건축물을 설계하고 공사한 인물이다. 이 사바틴이 주목받.. 2020. 10.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