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09

보수중인 노강서원 (2018.08.15.) 해질 무렵 늦게 도착한 노강서원은 보수 중이었습니다. 현장을 지키는 아저씨 말씀으로는 2년~3년은 걸릴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친절하셨던 현장 관리인) 그렇구나… 왜 보수하는지, 어디를 하는지 여쭤 보려다 말았습니다. 보수하는 관계로 서원 안쪽은 세세히 볼 수 없었지만 그래도 이렇게 겉에서라도 볼 수 있었습니다. 온 김에 인근 윤증고택, 종학당에 들를까 하다 천안으로 돌아가면 너무 늦어 질 것 같아 저도 철수 했습니다. 저번 가봤으니, 오늘은 패스 하는 걸로! 보수 끝나면 다시 한 번 들어야 겠습니다. 노강서원 충남 논산시 광석면 오강리 2021. 8. 16.
나도 봤다! 관촉사 미륵불! (2021.08.15.) “논산 관촉사라는 절이 가면 엄~~~청 큰 불상이 ‘안녕~~~!’ 하면서 반기는데, 실제로 가서 보면 깜짝 놀랄거야. 일단 생각보다 불상이 훨씬 커서 놀라고, 생각보다 불상이 못생겨서 놀랄거야. 얘들아, 나중에 대학교 가면 남자친구랑 데이트 삼아 한 번 가봐~!” 고등학교때 한국사선생님이 고려시대 불상을 설명하며 해주셨던 말씀입니다. 선생님은 왜 대학교 가서 남자친구랑 가라고 했을까요. 선생님 대학교 시절 추억의 장소였을까요? ㅎㅎ 아무튼 저는 대학 졸업한지도 한참되어 이렇게 관촉사에 왔습니다. 오잉. 올라가는 중턱에 ‘우남 이승만박사 추모비’가 있습니다. 1965년 대한반공청년회 논산지부가 세운 것인데, 관촉사와는 무슨 연유로 세웠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다시 계단을 올라 오른쪽으로 고개를 삭 돌리면… 두.. 2021. 8. 16.
《경주 꺽다리 이채경 회고록》(4) 니 배때지엔.. 지난 31년 간의 이야기들 4. 경주시 동천동 건물신축부지 발굴조사 이야기 – 니 배때지에는 칼 안드가는 줄 아나? - 1997년 1월 23일 오후 2시. 이날은 겨울이지만 날씨는 대체로 맑고 포근한 날이었다. 지금의 경주시청 서편에 있는 경주시 동천동 789-10번지 건물신축부지 공사현장에 매장문화재 입회조사를 나갔다. 이 지역 일대는 1984년에 이미 동천 제4지구 토지구정리사업이 완료된 지역이어서 각종 개발사업이 시행될 경우에도 처음부터 발굴조사를 선행시키지 않고 시청의 학예사가 현장에 입회하여 매장문화재 분포유무룰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조치하는 지역이었다. 왜냐하면 매장문화재 분포지역으로 확정된 지역도 아니었고 또 구획정리과정에서 높은 곳은 깎이고 낮은 곳은 메워졌기 때문에 처음부터 발굴조사를.. 2021. 8. 16.
퍼랬다가 종국엔 벌겋게 물러터치는 그대는 여주? 생긴 꼬락서니는 여주인데 맞는지 모르겠다. 그러고 보니 여주는 시퍼런 것만 봤으니 혹 여주가 맞다면 익어 저런 꼴로 변하는진 모르겠다. 만지니 몰캉몰캉 물컹물컹 촉감은 좋아 오돌토돌 짜개 본다. 틀림없이 씨앗이 들었을 터인데 벌겋다. 물고기 알 같은 알갱이 송알송알이라 씨받았음 했지만 여주라면 흔해 빠졌으니 괜시리 도독놈 취급받으리라. 2021. 8. 16.
늦여름 개태사 (2021.08.15.) 논산 답사 필수 코스, 개태사! 일찍 출발했는데도 논산을 둘러 보기에는 하루가 부족합니다. 개태사는 태조 왕건의 삼국 통일을 기념하여 지은 사찰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개태사에 가면 태조 영정을 모시는 사당도 볼 수 있습니다. 기와 머리가 너무 무거워 보입니다. (성냥갑 같습니다.) 태조 왕건하면, 천안도 빼 놓을 수 없는데, 태조 왕건이 태조산에 올라 주위를 살피니 오룡쟁주의 지세로 이곳을 군사적 요충지로 삼고 ‘천인도독부’를 두었습니다. 여기서 ‘천안’이라는 지명이 유래되었지요. 논산 와서 푼수같이 천안 이야기를… 죄송합니다. 하하하… 개태사지? 삼존입상 이름 앞에 ‘개태사’가 아니라 ‘개태사지’입니다. 찾아보니 개태사 권역이 두 권역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현재 삼존불의 보호각과.. 2021. 8. 16.
백제군사박물관 (2021.08.15.) 2021.08.15. 백제군사박물관 논산에 있는 백제군사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박물관은 2005년에 개관했고, 논산시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박물관 건물이 으리으리합니다. 전시는 - 제1전시실 백제의 군사활동 - 제2전시실 백제의 무기 - 제3전시실 논산의 역사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박물관 건물을 보고 독립기념관이 떠올랐습니다. 계단 위로 보이는 기둥과 지붕때문일까요? 가운데 건물 양 옆으로는 성곽 모양을 본 떠 만들었습니다. 이런 전시 패널 보면 꼭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 찾아 보지 않나요?ㅎㅎ 전시실 모습은 2005년 개관할 당시 그대로인 듯 했습니다. 2005년 개관할 당시에는 신식이었겠지만, 지금은 2021년... 그 사이 한 번도 전시실을 새롭게 꾸민 것 같지는 않았습니다. 박물.. 2021. 8.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