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83

동국이상국집을 읽다가 ㅡ 나는야 개경에 살리라 고려시대 분들은 지금의 우리보다도 개경을 떠받들고 거기서 살고 싶어했다. "개경 or nothing"이랄까. 그래서인지 고려시대엔 개경에 살던 고위층을 연고지로 보내버리는 '귀향형'이 꽤 무거운 벌이었다. 반면 지방관이나 유배객이 그 지역에서 죽으면, 유해를 거의 반드시 개경 근처로 모셔와 장사지냈다. 2021. 4. 7.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원위치 단서 확인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원위치 단서 확인- 용인시, 5차 발굴조사서 중요한 근거 확보…추가 조사와 연구 진행할 계획 - 용인시가 서봉사지 5차 발굴조사에서 보물 제9호인 현오국사탑비의 원위치를 밝히는 중요한 단서를 확인했다. 현오국사탑비는 고려의 승려로 국사(國師)의 자리에 오른 현오(1125~1178)의 행적을 기록하기 위해 고려 후기에 건립됐다. 고려시대 대규모 사찰인 서봉사 절터에서 발견됐으며 지난 1963년 보물 제9호로 지정됐다. 시는 앞서 지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4차례에 걸쳐 현오국사탑비와 서봉사지의 발굴조사를 진행해 서봉사의 전반적인 사역과 건물지 현황 등을 확인했고 지난 2019년부터는 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서봉사 사역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17~18일 진행한 5차.. 2021. 4. 6.
불구경 쌈구경 화산구경, 아일랜드보다 가까운 아이슬란드 용광로 같은 아이슬란드 화산 다시 폭발하며 장관 연출 이영섭 / 2021-04-06 18:00:47 기존 분화구 1㎞ 거리 틈새서 또 용암 분출 당국에 비상 걸리며 관광객 수백명 대피 용광로 같은 아이슬란드 화산 다시 폭발하며 장관 연출(서울=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 지난달 800년 만에 폭발한 아이슬란드 화산이 최근 1주일 사이 다시 용암을 뿜어내며 장관을 연출하고 있다.5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아이슬란드 남서부 레이m.k-odyssey.com 구경거리로 볼 만한 게 불구경 쌈구경이라 했으니 분출하는 화산은 전자에 해당하지 않겠는가? 아이슬란드..지도상으로 보면 도저히 섬이 있을 법하지 않은 대서양 북안 드넓은 북해 복판에 똬리를 틀었으니 하긴 이보다 더 신기한 동네가 나팔륜이 목숨을 거둔 .. 2021. 4. 6.
하이브 Hybe, 원팀 기획사 빅히트의 제국적 결정판 '소셜파워'로 입지전적 성장…하이브·이타카 어떤 시너지 낼까 김효정 / 기사승인 : 2021-04-06 12:24:53 방시혁 "양사, 빈손 출발해 세계적 기업으로"…팝스타 '위버스' 합류 효과도 주목 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51508664110 ′소셜파워′로 입지전적 성장…하이브·이타카 어떤 시너지 낼까 ′소셜파워′로 입지전적 성장…하이브·이타카 어떤 시너지 낼까방시혁 "양사, 빈손 출발해 세계적 기업으로"…팝스타 ′위버스′ 합류 효과도 주목(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방탄소년 k-odyssey.com 근자 저스틴 비버 Justin Bieber 라는 초초우량주가 소속된 매니지먼트사 이타카 홀딩스 Ithaca Holdings 인수하기로 했다는 하이.. 2021. 4. 6.
실크로드 관문 당성, 길이 열리는 화성시 내 본적지까지 궁금해할 사람은 별로 없겠지만, (전에 염전이야기를 쓰면서 얘기한 적이 있긴한데,)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상안리, 당성 아래에 있는 동네가 아버지 고향이자 내 본적지다. 상안리는 경주이씨 집성촌으로, 당성 쌓으러 경주에서 온 신라사람들 후손이 아닐까 하는, 말도 안되는 생각을 해 본 적도 있다. 어른이 되서는 거의 갈일이 없지만, 어릴때 할머니댁에 놀러왔던 기억이 있어서 그런지 왠지 모르게 마음 한구석에 아련함 같은 것이 남아 있다. 오늘 화성시청에서 회의를 마치고나니 갑자기 당성에 오르고 싶어서 찾아갔다. 화성시가 2008년 무렵 설정한 도시 슬로건이 '길이 열리는 화성시(The Way to Better Living)'라고 하는데, 길에는 여러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혹시 당성과 실크로드의.. 2021. 4. 6.
아무도 찾지 않는 부여 군수리사지 | 扶餘軍守里寺址 사적 제44호 Historic Site No. 44 부여 군수리절터다. 발굴조사 이래 정비가 되었다 해도 여타 정비 유적과는 달리 깔끔한 편도 아니며 볼품도 없고 진입로를 비롯한 여타 제반 인접시설도 제대로 구비하지 못한 까닭에 부여에 포진하는 백제시대 흔적 중에서는 지명도 제로에 가깝다. 그러니 파리 날리고 찾는 사람도 없다. 한 시간을 서성였는데도 인적 하나 없다. 철저히 버려진들 어떠리? 그래서 버려졌나 보다. 발굴소식 전할 적만 해도 그리 시끄러웠건만 그 남쪽엔 주차장이라 할 만한 빈터가 있지만 비포장이고 화물차 주차장으로 쓰이는 중이니 차량이 지날 때마다 먼지가 수북히 일어나니 예가 고비사막인갑다 한다. 그간 발굴한 지점은 모조리 수목은 베어버려 훼뎅그리 잔디밭이라 그런대로 이런 데는 풀도 깎고.. 2021.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