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272

불로 쬐어 만든 필리필 불 미라 Fire Mummies The Fire Mummies, also known as the Kabayan Mummies, Benguet Mummies, or Ibaloi Mummies, are a group of mummies found along the mountain slopes of Kabayan, Benguet, a town in the northern Philippines. They were made from as early as 2000 BCE. Today, they remain in natural caves as well as in a museum in Kabayan. 이 세상 미라 중에서는 불 미라 Fire Mummies 라 일컫는 존재도 있다. 불을 먹여 만든 미라라는 뜻인지 아니면 다른 곡절이 있는지는 그네가 있.. 2025. 3. 30.
고대 페루 치무 미라, 진짜 태아 자세일까? The Tale of the Chimu Mummy 페루 지역 이른바 치무 미라 가장 큰 특징은 모조리 태아 모양을 한다는 점이다. 왜 태아일까?저것이 꼭 태아 그것을 표현했다고 볼 수는 물론 없을 것이다. 왜? 증거가 없으니깐?나아가 저것이 태아 자세라면 저때 사람들은 저것이 태아 자세라는 것을 알았다는 말인데 어떤 방식으로 태아 자세를 봤을까? 배를 갈랐을까? 암튼 페루 북부 건조한 지형에 맞게 저 고대 치무 문명이 남긴 미라들은 또 하나 내장 다 끄집어내서 실상 얻을 것이 별로 없는 이집트 미라와는 달리 자연 건조로 만들어졌다.건어물도 내장은 다 꺼내는데 저긴 내장 그대로 남겨도 썩지 않은 모양이다.아예 죽자마자 사막에 내어놓고 독수리 못 달라들게 하고선 바짝바짝 말렸나 보다.저 치무 문명은 서기 .. 2025. 3. 30.
[어떤 독서일기] (1) 읽고 싶어도 읽을 책이 없었다 나는 어릴 적 공부에 특별한 관심이 없었고, 그 동네 그 학교에서 공부를 특출나게 잘한다는 말을 들어본 적도 없다. 그도 그럴 것이 그 시골 산촌 깡촌에 무슨 공부? 학교 다녀오면 소 먹이러 가야 했고 쇠죽 끓어야 했으며, 볼 만한 책도 동아전과 말고는 없었으니 국민학교는 그런 나날들이었다. 우리 동네에서는 공부해서 그럴 듯한 학교, 특히 대학으로 진학한 사람도 가뭄 속에 난 콩과 같아 전연 없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었으니, 그 동네서 그 시절에 그래도 공부한다는 사람들이 간다는 경북대 간 사람도 내 기억에는 없다. 혹 내 기억이 잘못일 수 있는데 연세대가 우리 동네는 물론이고 내 고향 대덕면을 통털어서 내가 1호였을 것이다. 중학교 시절 나는 만년 이등이었고 일등하는 친구는 훗날 서울대를 갔는데, 지금 .. 2025. 3. 30.
공주 수촌리 고분 back to 2003 excavation of suchonri tumuli, gongju, korea dec. 10th, 2003 공주 수촌리 유적 Historic SiteAncient Tombs in Suchon-ri, Gongju 공주 수촌리 고분군 ( 公州 水村里 古墳群 ) Classification Historic Site Name of Cultural Properties Ancient Tombs in Suchon-ri, Gongju Quantity 179,402㎡ Designated Date 2005.03.03 Age Bronze Age - Unified Silla Address 201, Suchon-ri, Uidang-myeon, Gongju, Chungcheongnam-do The tombs in Suchon.. 2025. 3. 30.
천년 왕릉을 지키고 선 돌 사람 Stone figure from the Tomb of King Heungdeok(興德王) of Sill\a Kingdom, Gyeongju King Heungdeok is as follows from wikipedia(http://en.wikipedia.org/wiki/Heungdeok_of_Silla)Heungdeok of Silla (777 - 836) (r. 826–836) was the 42nd ruler of the Korean kingdom of Silla. He was the younger brother of King Heondeok. He was married to Queen Jeongmok, the daughter of King Soseong. Upon rising to the thron.. 2025. 3. 30.
백제의 벽옹연辟雍硯, 중국의 벽옹연 That reminds me of Kentucky fried chickens. Inkstone, 6th or 7th century CE, baekje dynasty period, excavated from a detached palace site, buyeo, chungceongnamdo province, korea, housed at the national museum of buyeo저렇게 생긴 벼루를 중국에서는 벽옹辟雍이라는 원형 건축물 기둥처럼 생겼다 해서 벽옹연辟雍硯이라 부르기도 하는 것으로 안다. 백제 마지막 고도 부여에서 출토한 백제시대 벼루인데 지금은 국립부여박물관이 소장한다. 참고 삼아 저렇게 생겨 먹은 다른 지역 벼루를 보건대 중국 천진박물관天津博物馆 소장 당대唐代 백유벽옹연白釉辟雍砚.. 2025. 3.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