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16

축쇄가 문고는 아니다 책세상문고..문고의 부활을 알린 신호탄이지만 아쉬움 또한 실로 커서 특히 번역의 경우 축약이 너무나 많다. 이것이 문고는 아니다. 문고는 축쇄가 아니라 전질이며 분량에 따른 분책을 해야 한다. 지만지도 이 방식인데 아주 안좋다. (2013. 10. 25) *** 한국출판계가 한때는 문고본 전성시대였으니, 60~70년대가 특히 그러했다. 그런 문고본 시대가 저물며, 그것이 종적을 감추다시피 하다가 근자 몇몇 출판사가 문고 부활을 부르짖으며 실제 괄목할 만한 시리즈를 내기도 했으니 이는 분명 고무적 현상이다. 다만, 새로 부활한 문고본 시리즈가 종래의 문고본과는 전연 다른 길을 걷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니, 축약이 지나치게 많다는 점이 개중 하나다. 이건 종래의 문고본 시리즈 중에서도 범우문고에서 보이는 고질.. 2020. 10. 26.
상식과 통념 상식은 저항하고 통념은 부정에 노출되어야 한다. 의심하라. 난 정답, 상식, 통념 안 믿는다. 남들 다 똑같은 소리할 때 그때를 의심하라. (2014. 10. 25) 2020. 10. 26.
배불排佛, 그 상징으로서의 양梁 무제武帝 소연蕭衍 남조 양梁 왕조 개창주 무제武帝 소연蕭衍은 불심이 무척이나 깊어 육식조차 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종묘제사에 필요한 고기조차 채소로 교체했다. 불교의 기본 정신이 보시에 있다고 믿은 그가 공양한 스님 백성이 한둘이 아니다. 이런 그도 적국 동위東魏에서 항복한 장수 후경侯景을 중용했다가 이것이 끝내 빌미가 되어 그가 일으킨 반란에 유폐되어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팔순 고령을 넘긴 양무제는 베저테리언인 까닭에 유폐기간 중 꿀물을 달라했지만, 후경은 이조차 거절했다. 50년을 넘게 재위하면서 남조 왕조의 전성시대를 연 일세의 제왕 양 무제는 이리해서 굶어 죽었다. 후세, 특히 불교를 공격하는 사람들은 양무제를 끊임없이 조롱했다. "부처가 그리 좋다더니 그런 부처가 왜 무제를 돕지 않았던가? 무제가 그리 공양한 .. 2020. 10. 26.
1996년 애틀랜타의 이건희 요새 같은 세상에서는 긴 투병 끝에 오늘 타계한 이건희 같은 경제거물보다 방탄소년단 같은 대중스타 알현이 더 힘들다. 내가 죽기 전까지 방탄이를 먼발치라도 볼 일이 있을지 모르겠다. 그에 비하면 이건희 회장이야 몇 번을 보고 이런저런 질문도 던져보고 답변도 들어봤으니, 훨씬 신비성이 덜하다 하겠다. 이 이야기도 두어번 한 적 있지만, 한국을 떠나 세계무대에서도 거물이요, 그렇다고 언론에 자발로 등장하는 사람도 아닌 이건희를 내가 어찌 대면하겠는가? 나한테 비극은 나는 그를 알아도 그는 나를 모른다는 사실이다. 유명인이란 이런 거다. 내가 그를 아는데 그가 나를 모르는 사람이 절대적 다수일 때 이를 유명인이라 우리는 이름한다. 1996년 여름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하계올림픽대회가 열렸다. 당시 체육부 소속이.. 2020. 10. 25.
감이 안 보이는 상주 감나무밭 곶감으로 쓸 요량의 감은 이제 따기 시작한다. 곶감으로 세계를 제패하는 상주 어느 감나무밭이다. 감이 주렁주렁해야 하지만 좀체 감이 안보인다. 이구동성 올해 곶감은 흉작으로 예상한다. 그럴 수밖에 없잖은가? 감이 달려야 곶감을 만들건 나훈아가 되건 할 게 아닌가? 훈아 형이 올핸 좀 곤혹스럽지 않을까 한다. 그래서 홍시를 밀어버리고 테스형을 들고 나왔는지도 모르겠다. 언뜻 보아 올해 감은 예년 소출 절반은커녕 5분지1 내지 십분지일로 박살이 났다. 잦은 비와 태풍을 견뎌내지 못하고선 추풍낙엽 같이 쓰러진 것이다. 감은 해갈이의 대표주자라 내년 저와 같은 변수가 없다면 대풍작이리라. 저와 같은 감흉작은 저번 김천 우리 동네 사정으로 예고했거니와 전국이 이 모양이다. 비단 감뿐이랴? 배는 올핸 냉해가 극심해.. 2020. 10. 25.
함경도 땅: 백산말갈과 여진의 문제 함경도 땅의 역사는 좀 더 디테일하게 규명해야 할 이유가 있다.. 2020. 10.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