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68 녹조는 인류와 궤를 같이했다 비가 부족한 여름이면 매양 낙동강 물금 정수장 녹조 현장 사진을 큼지막하게 싣는 언론보도를 본다. 이명박 정권이 종말을 고하고는 새로운 소재가 생겨 그 사대강 사업의 각종 보 사진이 녹조의 참상을 말해주는 증좌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녹조는 인위에 의한 환경파괴를 경고하는 변주곡으로 끊임없이 연주된다. 그러면서 이르기를 물은 흘러가는대로 냅두야 한다는 언설이 통용한다. 그것이 자연이라 한다. 이 자연은 실은 노자의 자연이지 양놈들의 번역 모태인 네이처와는 거리가 좀 있다. 고인 물은 썩기 마련이다. 하지만 인류는 그 자연과 사투를 간단없이 벌였다. 자연은 무자비하다. 그 무자비는 훈육되고 제어되어야 했다. 욕 되바가지로 먹는 전두환 최대 치적은 한강 범람을 실은 원천에 가깝게 제어했다는데 있다. .. 2020. 8. 17. 만종, 바리깡들의 절대지존 코딱지만한 이 그림이 침소봉대한 까닭은 교과서 때문이었다. 누구 글이었는지 모르나 이 그림을 소재로 삼은 글 한 편이 국어교과서에 수록됨으로써 적어도 내 세대엔 프랑스 미술, 나아가 밀레라고 하면 이 만종을 떠올리게 된다. 각인이 얼마나 무서운지를 알려주는 한 보기다. 뭐 그 글을 다시 읽어봐야겠지만, 종교적 경건성을 말해주는 일화로써 어떤 농부 부부가 밭일을 하다가 교회 종소리를 듣고 기도한다 뭐 이랬던 거 같다. 지가 그러지 못하니, 부럽다 이거겠지. 개독들을 위한 절대의 성전, 그것이 바로 만종이었다. 문제는 그 성전이 개독만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는데 한국사회의 비극이 초래한다. 성전...그건 너희만을 위한 것이지, 그것을 왜 남들한테 강요한단 말이더냐 이 개독들아. 파리 오르세미술관에서. 그건 그.. 2020. 8. 17. 서울역에서 깨진 산통 나는 유럽이 좋았다. 첫째, 왜 담배 피냐 지랄하는 인간이 없어 좋았고, 둘째, 예수 믿으라, 안믿으면 지옥간다는 확성기 없어 좋았다. 그 산통이 서울역에서 일거에 박살났다. 내가 유럽에서 만난 한국사람은 김천시 인구보다 많은데 유럽에선 적어도 그네 중 아무도 나한테 담배 핀다 지랄하지 않았고 아무도 나한테 예수 믿으라 하지 않았다. 어머 유럽이 나한텐 천국인가봐. (2017. 8. 17) *** 예수천당 불신지옥 이 말 듣자마자 산통 확 깨진다. 2020. 8. 17. 안진경이 41세에 쓴 묘지명 洛阳砖厂发现唐墓,翻出保留最完好的一部颜真卿楷书!1997年10月,偃师市首阳山镇砖厂发现唐墓一座。墓葬为土洞墓,受到严重破坏,随葬器物无存,只在甬道内发现墓mp.weixin.qq.com 낙양洛阳 벽돌공장砖厂서 발견한 안진경颜真卿 해서楷书 묘지 兰台挥麈 古籍 1997年 10月,언사시偃师市 수양산진首阳山镇 벽돌공장砖厂에서 당묘唐墓 一座를 발견했으니。 이 묘장墓葬은 양식으로 보면 토동묘土洞墓라,파괴가 극심해서 수장기물随葬器物이 거의 남지 않은 대신,용도甬道에서 묘지墓志 一方이 발견됐으니, 당대唐代 대서법가大书法家 안진경颜真卿 찬서撰书라,이는 현재까지 발견된 안진경 글씨 중 가장 이른 시기 작품이다。 이 묘지墓志 단자单字는 결구结构가 엄밀严密하고, 필획笔划이 강근유력刚劲有力하다。 이것을 안진경 작품ㅈ으로 잘 알려진《다보탑비多.. 2020. 8. 16. 완당의 이모티콘 모처럼 국립중앙박물관이 문화재청이랑 꾸며서 그 특별전시실에서 개막한 보물 납시었네 특별전 출품작 중 완당 대련이다. 이걸 2018년 4월 20일, 문화재청은 보물 1979호로 지정하면서 이름하기를 김정희 필 차호호공 金正喜筆且呼好共 이라 했거니와 앞대가리 두 글자씩 딴 이런 명명법이 있어 보이기는 하지만 영 맘에 들지는 않는다. 이거이 간송문화재단 소유인지 아니면 간송 후손 개인인지 내가 즉각 확인은 하지 못하거니와 이번 특별전에는 재단 소장품으로 소개한 것으로 기억한다. 암튼 저 문장을 정서하면 且呼明月成三友 차호명월성삼우 / 잠시 밝은 달 불러 나랑 세 벗이 되고 好共梅花住一山 호공매화주일산 / 좋아서 매화와 함께 같은 산에 산다네 라는 말이다. 이태백 월하독작月下獨酌을 보면 내가 달밤에 혼자 술을 .. 2020. 8. 16. 사천성박물관 사천성 성도인 성도에 소재하는 사천성박물관은 5년전에 찾았을 적에는 지하철공사 관계로 폐쇄하고 신관을 건설 중이었다. 지금 보는 건물이 신관인데 사천박물원으로 간판을 바꿔달고 근자에 새로이 개장했다. 전시공간은 1~3층인데 전면 입구 계단을 향해 들어서는 곳이 2층이다. 도강언에 다녀오는 관계로 박물관에 도착한 시간은 오후 세시가 좀 넘었다. 지금껏 다닌 거의 모든 유적지가 만만찮은 입장료를 물리지만 이곳은 무료다. 대신 입장권을 받아야 하는데 아마도 관람객 현황 체크용인듯 하지만 그걸 모른채 면비인 사실만을 알고 입장하려다 낭패보는 관람객이 적지 않으니 만만찮은 거리를 걸어 박물관 경내 입구로 가서 입장권을 받아와야 한다. 오늘 그런 가족단위 관람객을 봤다. 개찰구에 자동 인식기를 설치해야 한다. 요즘.. 2020. 8. 16. 이전 1 ··· 2518 2519 2520 2521 2522 2523 2524 ··· 35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