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7266

용석(龍石) ☞룡석(龍石) 2018. 3. 24.
룡석(龍石) 선덕왕 11년(642) 백제와의 대야성전투에서 끝까지 항거하다 전사한 신라인이다. 당시 관위가 사지(舍知)인 것으로 보아, 지방출신 하급 관리 혹은 군인이 아니었나 한다. 그의 공을 기려 대나마에 추증됐다. 삼국사기 권 제5(신라본기 제5) 선덕왕 : 11년(642) 봄 정월에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 가을 7월에 백제 왕 의자(義慈)가 군사를 크게 일으켜 나라 서쪽 40여 성을 쳐서 빼앗았다. 8월에 또 고구려와 함께 모의하여 당항성을 빼앗아 당나라와 통하는 길을 끊으려 하였으므로 왕이 사신을 보내 [당] 태종에게 위급함을 알렸다. 이 달에 백제 장군 윤충(允忠)이 군사를 이끌고 대야성(大耶城)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는데, 도독 이찬 품석(品釋)과 사지(舍知) 죽죽(竹竹)·용석(龍石) 등이 .. 2018. 3. 24.
서천(西川) 선덕왕 11년(642) 벌어진 백제와의 대야성 전투에서 대야성 도독 김품석 휘하 보좌관으로 백제군에 스스로 항복했다가 죽임을 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관위가 아찬이었다. 삼국사기 권 제47 (열전 제7) 죽죽 : 죽죽(竹竹)은 대야주 사람이다. 아버지 학열(郝熱)은 찬간(撰干)이 되었다. 죽죽은 선덕왕 때 사지(舍知)가 되어 대야성도독 김품석(金品釋) 휘하에서 보좌역을 맡고 있었다. 왕 11년 임인(백제 의자왕 2: 642) 가을 8월에 백제 장군 윤충(允忠)이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그 성을 공격했다. 이보다 앞서 도독 품석이 막객(幕客)인 사지(舍知) 검일(黔日)의 아내가 예뻐 이를 빼앗았으므로 검일이 한스럽게 여기고 있었다. 이때에 이르러 백제군과 내응해 그 창고를 불태웠으므로 성중 사람들이 두려.. 2018. 3. 24.
지삼나(祗彡那) 선덕왕 11년(642) 벌어진 백제와의 대야성 전투에서 대야성 도독 김품석 휘하 보좌관으로 백제군에 스스로 항복했다가 죽임을 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관위가 사찬이었다. '기삼나'라 읽었을 가능성도 있다. 삼국사기 권 제47 (열전 제7) 죽죽 : 죽죽(竹竹)은 대야주 사람이다. 아버지 학열(郝熱)은 찬간(撰干)이 되었다. 죽죽은 선덕왕 때 사지(舍知)가 되어 대야성도독 김품석(金品釋) 휘하에서 보좌역을 맡고 있었다. 왕 11년 임인(백제 의자왕 2: 642) 가을 8월에 백제 장군 윤충(允忠)이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그 성을 공격했다. 이보다 앞서 도독 품석이 막객(幕客)인 사지(舍知) 검일(黔日)의 아내가 예뻐 이를 빼앗았으므로 검일이 한스럽게 여기고 있었다. 이때에 이르러 백제군과 내응해 그 창.. 2018. 3. 24.
최승우(崔承祐) 신라말 문장가로, 당에 유학하고 돌아와서는 후백제에 출사했다. 《호본집(餬本集)》이라는 문집이 있었지만 실전됐다. 삼국사기 권 제46(열전 제6) 최승우 : 최승우(崔承祐)는 당나라 소종(昭宗) 용기(龍紀) 2년(眞聖王 4·890)에 당나라에 가서 경복(景福) 2년(진성왕 7·893)에 시랑(侍郞) 양섭(楊涉) 아래서 급제했다. 그가 지은 사륙문(四六文) 5권이 있는데 스스로 서문을 지어 호본집(餬本集)이라 했다. 후에 견훤을 위해 격문을 지어 우리 태조에게 보냈다. 2018. 3. 24.
장보고(張保皐) 궁복(弓福) 혹은 궁파(弓巴)라고도 한다. 가문 내력은 알 수 없다. 정년(鄭年)과 더불어 싸움을 잘해 함께 당으로 건너가 무령군 소장(武寧軍小將)이 되어 이름을 떨쳤다. 나중에 귀국해서 해적들을 소탕하겠다면서 지금의 완도인 청해에 진영을 설치해달라 흥덕왕한테 청해서 군사 1만을 얻어 지키니 해적이 없어졌다. 왕위 쟁탈전에 개입해 민애왕을 죽이고 김우징을 왕으로 추대했다. 김우징이 3개월 만에 죽자 그의 아들을 앙위에 앉히니 그가 문성왕(文聖王)이다. 장보고는 진해장군(鎭海將軍)으로 임명되고 자기 딸을 문성왕 둘째왕비로 보내려 했지만 신하들이 반대로 무산되자 청해진을 근거로 반란을 일으켰다. 문성왕이 보낸 자객 염장(閻長)한테 암살됐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흥덕왕 : 3년(828) .... 2018.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