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7261

김유신론(1) 15세 벼락스타 항용 김유신 가문을 논할 때, 단재 신채호 이래 협작설 혹은 공작설이 대세이거니와, 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음험취한한 김유신은 본디 금관가야 혈통인 까닭에 엄격한 골품제 사회인 신라에서는 출세에 한계가 있음을 알고는, 그것을 혼인을 통해 돌파하려 했으니, 그런 일환으로 교묘한 공작으로 자기 누이동생과 떠오르는 신라 본래의 청춘스타 김춘추를 결혼시킴으로써, 이를 발판으로 출세가도를 달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공작설이 지닌 결정적인 하자가 한둘이 아님은 내가 여러 번 지적했고, 근자에 이런 내 주장과 흐름을 같이하는 글도 나오기 시작했으니, 그런 기존 논의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았거나, 혹은 아예 누락한 중대한 사건 하나를 논하려 한다. 신라에 화랑이라는 독특한 군사 혹은 종교 결사체가 있었고, 이.. 2018. 3. 4.
현여(玄如) 신라 말기 승려다. 헌강왕 9년(883), 보문사에 대덕으로 주석하면서, 그 옛날 김유신이 건립한 석탑을 수리하는 일을 주관했다. 기타 행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중화 3년명 금동 사리기기(仲和三年銘金銅舍利器記·883년·신라 헌강왕 9년·당 희종(僖宗) 중화 3년) : 무릇 성인의 자취와 행인(行人)의 묘취(妙趣)를 좇아 영탑(靈塔)을 세우는 것은 명왕(明王)이라면 보통 행하는 일이다. 옛날에 유신(裕神) 각간이 세상에 나서 대업(大業)을 이루어 나라의 보배가 되었기에 삼가 이 대석탑을 만들었다. 중화(仲和) 3년(883)에 다시 중수하고자 하여……보문사(普門寺) 현여(玄如) 대덕이 무구정광경에 의거해 작은탑 77기를 만들고 진언(眞言) 77벌을 써서 대탑에 봉안했다. 그리고 집집마다 신묘한 보배를 갖고 .. 2018. 3. 4.
유신(裕神) ☞김유신(金裕神) ☞김유신(金庾信) 2018. 3. 4.
김유신(金裕神) 신라 하대 금석문인 중화 3년명 금동 사리기기(仲和三年銘金銅舍利器記)에 등장하는 표기로 김유신(金庾信)을 말한다. 발음이 같은 '裕神'이라 쓴 까닭은 피휘(避諱) 때문이다. 이 무렵 김유신은 이미 흥무대왕으로 추봉된 까닭에 이름을 함부로 부를 수는 없어, 같은 발음 한자 중에서도 그 신성성을 발휘할 글자만을 골라 '裕神'이라 쓴 것이다. 중화 3년명 금동 사리기기(仲和三年銘金銅舍利器記·883년·신라 헌강왕 9년·당 희종(僖宗) 중화 3년) : 무릇 성인의 자취와 행인(行人)의 묘취(妙趣)를 좇아 영탑(靈塔)을 세우는 것은 명왕(明王)이라면 보통 행하는 일이다. 옛날에 유신(裕神) 각간이 세상에 나서 대업(大業)을 이루어 나라의 보배가 되었기에 삼가 이 대석탑을 만들었다. 중화(仲和) 3년(883)에 다시.. 2018. 3. 4.
굴정차(屈丁次) 진흥왕 시대 비석 중 하나인 북한산비에 왕을 따라 북한산을 순수한 신라 관료 중 한 명이다. 이때 관위는 나말(奈末)이었다. 다른 행적은 파악되지 않는다. 북한산 비봉 신라 진흥왕 순수비(北漢山碑峰新羅眞興王巡狩碑·568년·진흥왕 29 이후) : 진흥태왕(眞興太王)과 뭇 신하들이 ▨▨을 순수(巡狩)할 때 기록하다. (왕을 수행한 신하들로는) …내부지(內夫智) 일척간(一尺干)과 사탁(沙喙) 무력지(另力智) 잡간(迊干)과 남천군주(南川軍主) 사탁(沙喙) … 부지(夫智) 급간(及干)과 미지(未智) 대나▨(大奈▨)와 ▨▨▨ 사탁(沙喙) 굴정차(屈丁次) 나▨(奈▨)다. 2018. 3. 4.
미지(未智) 신라 진흥왕 시대 금석문인 북한산비에 대나마로 등장한다. 같은 진흥왕 시대 다른 금석문들인 마운령비나 황초령비에 왕을 수행한 관료 중 한 명으로, 이때 관위 역시 대나마이나 표기가 '未知(미지)'로 약간 다르지만, 이 무렵 신라에서는 '知'와 '智'는 항용 혼용하므로 같은 인물임에는 틀림없다. 북한산 비봉 신라 진흥왕 순수비(北漢山碑峰新羅眞興王巡狩碑·568년·진흥왕 29 이후) : 진흥태왕(眞興太王)과 뭇 신하들이 ▨▨을 순수(巡狩)할 때 기록하다. (왕을 수행한 신하들로는) …내부지(內夫智) 일척간(一尺干)과 사탁(沙喙) 무력지(另力智) 잡간(迊干)과 남천군주(南川軍主) 사탁(沙喙) … 부지(夫智) 급간(及干)과 미지(未智) 대나▨(大奈▨)와 ▨▨▨ 사탁(沙喙) 굴정차(屈丁次) 나▨(奈▨)다. cf. .. 2018. 3.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