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78

조상들은 무엇을 비누로 썼을까 요즘이야 흔해 빠진 게 비누라서 '이 보다 더 좋을 순 없다'의 잭 니컬슨은 한 번 쓰면 쓰레기통에 휙 내던지는 지경이다. 전근대 시대 비누는 녹두로 만든 비누[비루飛陋]였다. 언제부터 녹두를 비누 원료로 썼는지는 분명치 않으나 15, 16세기부터는 일반화했었던 듯하다. 그전에는 무엇이었을까? 비조肥皂라는 것이 기원전후부터 사용되어 명나라 초기까지 기록에 빈번하게 나오는데, 이것을 사용한 듯하다. 고급품은 향비조香肥皂라고 하여 침향이나 사향을 첨가하기도 했다. 주원료는 쥐엄나무[皂莢] 열매껍질이나 무환자나무[无患子, 肥珠子] 열매껍질이었다고 한다. 한번 실험해 볼 일이다. 옻올라 고생한 나 빼고..... *** 이런 소개에 여러분이 아래와 같은 사례를 소개했다. ▶ 오줌이나 잿물도 있었지요 ▶ 외할머니 .. 2020. 1. 17.
<Focus of Today> BTS New Album One of the tracks of "Map of the Soul: 7," the upcoming fourth full-length album by K-pop super band BTS will be pre-released at 6 pm Korea time, 9 am GMT (UTC) Friday, along with an accompanying Art Film performed by MN Dance Company. Pre-orders for the album hit all-time high of 3.42 million copies within a week The album is on its way to official release on Feb. 21. 정체 드러내는 방탄소년단 새 음악…오늘 선공개곡.. 2020. 1. 17.
구동조瞿同祖 《중국법률과중국사회》 아비가 자식을 죽여도 되는 경우 구동조(瞿同祖) 《중국법률과중국사회中國法律與中國社會》 번역 : 이태희 국립중앙박물관 중국사 전공 제1장 2절 부권 02 절차 없이 때려죽였다는 것은 훈육의 범위를 넘어 잔인한 학대행위로 살해한 것을 의미한다. 목졸라 죽이고, 생매장했던 예에서처럼 가르침이라고 하는 것은 추상적이고 모호하다. 그러나 도박, 간음, 절도와 같은 범법 행위는 부모가 가르치고 꾸짖어야 하는 것인 까닭에 이를 어겼을 경우는 당연히 가르침을 어긴 것으로 보았다. “장이소자張二小子는 11살로 밖에 나가 도둑질을 일삼았다. 부친 장용張勇이 누차 그러지 말라고 타일렀건만 고쳐지지 않았다. 결국 장용은 죽이겠다 마음 먹고 삼끈으로 이소자의 목을 졸라 죽였다. 자손이 가르침을 어겨 부모가 절차 없이 때려 죽인 죄로 상주하였다.” (刑案匯覽 .. 2020. 1. 17.
퀸 기자회견장의 BTS, 그리고 토익 970 퀸이 왔다…"공항서 어린 팬 함성에 깜짝…K팝 세계 정복"(종합)송고시간 | 2020-01-16 18:27첫 단독 공연…"방탄소년단 눈부셔…변화하는 서울 인상적" "검찰총장은 내 명을 거역했습니다." 얼마전 추상 같은 신임 추 법무장관님 이 말씀이 하도 생생해, 그래 나도 함 써먹어 봐야겠다 벼르고 있는데, 걸렸다. 이 기사가 (종합)이라 함은 본래 기사에서 조금 더 보탠 이른바 업데이트 update 버전이라는 뜻이라, 애초 그 본기사랑 비교할 적에 보완한 대목이 저 부제로 붙은 "방탄소년단 눈부셔…변화하는 서울 인상적"이라는 대목이어니와, 애초 기사에서는 서울 공연을 코앞에 두고 한국 취재진을 만난 퀸이 한국기자들과 주고받은 대화에서 BTS 관련 언급이 빠졌다. 애초 기사를 보니, 저들이 K-pop를 .. 2020. 1. 16.
구동조瞿同祖 《중국법률과중국사회》 부모가 자식을 죽이면? 구동조(瞿同祖) 《중국법률과중국사회中國法律與中國社會》 번역 : 이태희 국립중앙박물관 중국사 전공 제1장 2절 부권 01 북위율北魏律에서 조부모 부모가 분노하여 무기로 자손을 죽였을 경우 5세형에, 때려 죽인 경우는 4세형에 처했고 만일 미워하는 마음을 갖고 고의로 그랬을 경우는 각기 1등을 더하여 처벌하였다. 당송률唐宋律은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자손을 죽인 경우 모두 도죄에 처했다. 자손이 가르침을 어겨 죽였더라도 ‘고의로 죽인 경우’에서 1등을 경감해 줄 뿐이었다. 즉, 때려 죽였을 경우는 도형 1년반, 날이 선 무기로 죽인 경우는 도형 2년이었다. 만일 자손이 가르침을 어기지 않았다면 고의 살인으로 처벌하였다. 여기서 ‘가르침을 어겼다는 것’은 ‘따를 수 있는 데 어긴 경우’ 만을 지칭한다. 즉, 가.. 2020. 1. 16.
주자지질朱紫之秩을 액면 그대로 색복色服에 가져간 고대 일본 諸王十二階 服色(685年) 服色(690年) 1 明大壱 주화 朱花 2 明広壱 3 明大弐 4 明広弐 5 浄大壱 흑자 黒紫 6 浄広壱 7 浄大弐 8 浄広弐 9 浄大参 적자 赤紫 10 浄広参 11 浄大肆 12 浄広肆 諸臣四十八階 服色(685年) 服色(690年) 1 正大壱 심자 深紫 적자 赤紫 2 正広壱 3 正大弐 4 正広弐 5 正大参 6 正広参 7 正大肆 8 正広肆 9 直大壱 천자 浅紫 비 緋 10 直広壱 11 直大弐 12 直広弐 13 直大参 14 直広参 15 直大肆 16 直広肆 17 勤大壱 심록 深緑 심록 深緑 18 勤広壱 19 勤大弐 20 勤広弐 21 勤大参 22 勤広参 23 勤大肆 24 勤広肆 25 務大壱 천록 浅緑 천록 浅緑 26 務広壱 27 務大弐 28 務広弐 29 務大参 30 務広参 31 務大肆 32.. 2020. 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