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17

화백和白, 그 환상 이 화백이라는 말만큼 신라사를 왜곡하는 괴물은 없다. 화백和白이라는 말은 글자 그대로는 두루 이야기해서 뭔가 합의를 도출한다는 뜻이거니와, 신라가 이런 협의체를 구성해서 국가 중대사를 결정했다고 한다. 첫째, 이런 식으로 정책을 결정하지 않는 국가 정치체는 없다는 점에서 신라 화백이 독특한 점은 눈꼽만큼도 없다. 둘째, 이 화백을 신라 왕권의 미성립을 증언하는 것으로 압도적으로 간주하나, 이 역시 얼토당토 않은 소리다.화백과 관련해 유일한 증언이 《신당서》인가 《구당서》인가 《책부원구》 라는 중국 기록으로 알거니와, 그에 의하면 신라 조정에서는 단 한 사람이라도 반대를 하면 정책이 합의를 보지 못했다고 한다.첫째, 이 말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다 해도, 모든 회의는 한 명이 깽판치면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 2018. 8. 1.
《신라 seven kings論》(8) 敎의 주체와 왕권의 문제 敎란 무엇인가? 가르친다는 뜻이요 이에서 비롯하여 위에서 아래로 내리는 행정명령, 법원 결정문 따위 전반을 敎라고 했다. 이 경우 敎는 가르친다기 보다는 명령한다에 가깝다. 그래서 敎가 지닌 여러 가지 의미 중에는 사역과 강제를 의미하는 使의 뜻이 내포하는 일이 많다. 이것이 정치 행정무대로 전용해서는 왕이 내리는 명령 전반을 敎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敎를 내리는 주체가 누구냐 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신라사, 특히 중고기 신라사에서는 왕권이 확립되었네 아니네 하는 문제가 빈발하고, 이를 주제로 하는 논문만 수십편 수백편에 이른다.  무엇이 문제인가? 근자에 발견된 501년 무렵 포항 중성리비를 필두로 영일 냉수리비, 울진 봉평비 따위에서는 주로 이해관계를 다투는 쟁송 문제와 관련한 신라 조정의 판결.. 2018. 8. 1.
휴가는 아무리 길어도... [중국어 한 마디] 假期再长也短,工作再短也长。 휴가는 아무리 길어도 짧고, 근무는 아무리 짧아도 길다. *** 중문학도 홍승직 선생 페이스북에 오른 글을 쌔비왔다. 2018. 8. 1.
변비 방귀 같은 여름 구름 한시, 계절의 노래(132) 여름 구름(夏雲詩) 송 석봉충(釋奉忠) / 김영문 選譯評 봉우리 같고 불꽃 같고목화 솜 같은 구름 하늘 날며 옅은 그늘난간 앞에 드리우네 대지 위 백성은말라서 죽어가는데 장마 비는 안 만들고헛되이 하늘 덮네 如峰如火復如綿, 飛過微陰落檻前. 大地生靈乾欲死, 不成霖雨謾遮天. 폭염이 내리 쬐는 하늘에 하릴 없이 솟아오른 구름을 보고 누구나 한 번쯤 품었음직한 원망을 읊은 시다. 이 시는 북송(北宋) 승려 혜홍(惠洪)이 지은 『냉재야화(冷齋夜話)』에 실려 전한다. 『냉재야화』는 모두 10권으로 이루어진 시화(詩話)다. 혜홍이 북송 시대 시에 얽힌 에피소드와 시평을 모았다. 시화는 ‘시 이야기’란 뜻인데 북송 구양수(歐陽修)의 『육일시화(六一詩話)』가 최초의 저작이다. 이후 수많은 문.. 2018. 8. 1.
전통시대의 에어컨, 부채 한시, 계절의 노래(131) 대나무 부채 두 수(竹扇二首) 중 첫째 송 왕질(王質) / 김영문 選譯評 죽순 껍질 비단 옷을남김없이 벗고서 대 한 그루 변화하여천 가닥 부채살 됐네 시원한 바람 일으키며세상 더위 받지 않는데 그 누가 맑은 바람이쉴 때가 있다 하나 脫盡龍兒錦繡衣, 一枝變化作千絲. 泠然不受人間暑, 誰道淸風有歇時. 더위를 쫓는 여름 용품 중에서는 부채가 가장 클래식하면서 가장 널리 보급된 인기 품목에 속한다. 휴대하기 편리하고, 바람 일으키기 쉽고, 예술적 품위까지 갖출 수 있다. 선풍기나 에어컨이 좋다 해도 어떻게 내 몸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을까? 또 최근 유행하고 있는 손풍기는 배터리로 작동하므로 배터리가 떨어지면 무용지물이 된다. 바람의 질과 양도 변변치 않고 소음도 작지 않다. 하지만.. 2018. 8. 1.
사직단에 숨은 쥐 제(齊) 경공(景公)이 안자(晏子)한테 물었다. “나라를 다스림에 무엇을 근심해야 하오?” 안자가 대답했다. “사직단에 숨어 사는 쥐를 근심해야 합니다.” 경공이 말했다. “그게 무슨 말이오?” 안자가 대답했다. “대저 사직단을 만들 때는 나무를 묶어 벽을 세우고 흙을 바릅니다. 쥐는 그 틈을 파고들어 그곳에 깃들어 삽니다. 연기를 쐬어 쫓아내자니 나무가 탈까 두렵고, 물을 퍼부어 쫓아내자니 벽이 무너질까 두렵습니다. 이에 쥐를 죽일 수 없는 까닭은 사직단이 무너질까 두렵기 때문입니다. 대저 나라에도 사직단의 쥐와 같은 자들이 있사온데 임금 주위에 있는 간신이 그들입니다. 안으로는 임금 곁에서 선악(善惡)을 분별하지 못하게 가로막고 밖으로는 백성들에게 함부로 권력을 휘두릅니다. 그자들을 죽이지 않으면 나.. 2018. 8.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