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32 찬 구름만 밤마다 날아드는 가을 산사山寺 한시, 계절의 노래(200) 가을 저녁 퇴락한 산사에 묵다(秋晚宿破山寺) [唐] 교연(皎然) / 김영문 選譯評 가을바람에 잎 떨어져빈산에 가득 석벽 사이 옛 절엔잔약한 등불 지난 날 들렀던 이모두 떠나고 찬 구름만 밤마다날아 드누나 秋風落葉滿空山, 古寺殘燈石壁間. 昔日經行人去盡, 寒雲夜夜自飛還. 가을을 고독과 비애의 계절로 만드는 요인은 무엇일까? 추워지는 날씨가 그 원천이 아닐까 한다. 옛날에는 더 그랬지만 지금도 날씨가 추워지면 인간의 활동 반경은 좁아져 집안에 웅크리는 날이 많다. 자연히 찾아오는 손님도 줄어들어 자신의 내면과 마주해야 한다. 이 때문에 추위는 인간으로 하여금 따뜻함을 그리워하게 만든다. 오소소 돋는 소름은 추위에 대한 절실한 느낌을 넘어 죽음에 대한 공포까지 감지하게 한다. 이런 .. 2018. 10. 14. 오바이트 하지 마라 한시, 계절의 노래(199) 권하는 술을 사양하며(辭勸飲) [宋] 위양(韋驤) / 김영문 選譯評 주인 마음 진실로은근한지라 사양해야 하지만술맛 좋구나 환대 받아 머무는손님 되려면 술 토하는 사람이되지 말기를 主意固慇勤, 須辭酒味醇. 願爲投轄客, 不作吐茵人. 중국 송나라 때 유행한 시 형식 중에 사(詞)라는 것이 있다. 쉽게 말하면 당시 유행가 가사를 바꿔 부르는 방식이다. 곡은 그대로 두고 가사만 바꿔 넣는다. 송나라 초기에 유행가 작곡가 겸 가수로 이름을 떨친 사람은 유영(柳永)이었다. 우물가 어디서든 유영의 노래를 부른다고 했고, 그 노래가 고려까지 전해져 유행했으므로 동아시아 문화교류의 선구자였던 셈이다. 그의 사(詞) 작품 「우림령(雨霖鈴)」 중에 이런 대목이 있다. “오늘 밤 어디서 술이 깼나?.. 2018. 10. 14. 가을바람이 무슨 죄가 있다고 낙엽(落葉) [조선] 김우급(金友伋·1574~1643) / 기호철 譯 낙엽이 누구에게 말을 하는 듯한데 落葉如和語요즘 사람은 어리석어 듣지 못해요 今人聽不聰희미하게 들려오는 몇 마디 소리는 依微多少響온통 가을바람 원망하는 말뿐예요 無乃怨秋風(《추담집(秋潭集)》 권3) 2018. 10. 13. "남자는 나누기 3, 여자는 곱하기 3" 시린 가을이다. "늙어서 그런가 가을 되니 날 버리고 간 년, 내가 싫어 떠난 년, 한 타스로 파노라마로 스쳐간다" 그랬더니, 어느 박물관 모 여선생이 피식 웃으며 대꾸하기를 "남자는 나누기 3, 여자는 곱하기 3"이란다. 남자는 과거의 여자 숫자를 부풀리고 여자는 과거의 남자를 왕창 줄인다는 말이다. 내가 박장대소했다.한 타스 나누기 삼..그래 이 말이 맞다. (Taeshik Kim October 13, 2016) 2018. 10. 13. 신화의 영역에 들어간 훈민정음 훈민정음 신화화가 내 보기엔 위험수준에 이른게 아닌가 한다. 창힐이 문자를 발명하자 귀신이 울었다 하거니와 그것의 창제가 어찌 문화사 혁명이 아니리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귀신이 곡할 노릇도 아니요 그 모든 발명이 신화나 기적과 동일시될 수는 없다. 세종이라는 똑똑한 군주가 훈민정음이라는 문자를 발명했을 뿐이다. 그 해례본 소장자가 값으로 천억을 불렀다는데 태워버리건 씹어먹건 말건 그건 그 사람 자유다.(이건 좀 변했다. 이후 소송을 통해 소유권은 국가에 있는 것으로 판결난 까닭이다) 아무리 농담이라도 천억이란 말이 어디에서 기어나온 강짠지 모르겠다. 내 생각엔 20-30억원이면 족하다. 그 신화화는 급기야 훈민정음이 가장 과학적인 표기체계란 얼토당토 않은 다른 신화 버전을 낳았다. 더불어 틈만.. 2018. 10. 13. 사형률 100% 민족정기 한국사회에서 내셔널리즘이 곧 파시즘인 증좌는 무수하나, 민족정기民族正氣 만한 교의도 없다. 이만치 사형률 백프로를 자랑하는 단두대는 없다. (October 13, 2014 by TS Kim) *** 붙인다. 민족정기가 독재 파쇼의 구호라는 사실, 그 반대편에서도 내세우는 민족정기. 하지만 내가 늘 말하듯이 민족은 지고지순한 인류보편 가치가 아니다. 그것은 억압이며 배제다. 민족을 절대가치로 내세운 그 어떤 논리도, 운동도 나는 동참할 생각 없다. 그것을 잣대로 하는 그 어떤 과거청산도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2018. 10. 13. 이전 1 ··· 3009 3010 3011 3012 3013 3014 3015 ··· 333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