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07

원종왕(原宗王) 신라 제23대 법흥왕 본명이 원종(原宗)이라 이를 따서 붙인 호칭 중 하나다. 해동고승 권1 : ☞법흥왕(法興王) 2018. 4. 6.
공목(工目) 생몰년 미상. 신라인. 제23대 법흥왕 때 주된 활동을 보였다고 생각되는데 불교를 공인 포교하려는 법흥왕에 맞서 그것을 반대하는 신료들을 대표하는 인물인 듯하다. 다른 행적은 자세하지 않다. 삼국유사 제3권 흥법 제3 원종흥법(原宗興法) 염촉멸신(厭髑滅身) : [원종이 불법을 일으킨 것은 눌지왕(訥祗王) 시대부터 100여 년 뒤의 일이다.] 신라본기(新羅本記)에 이르기를 “법흥대왕(法興大王)이 왕위에 오른 지 14년에 하급 신하인 이차돈(異次頓)이 불법을 위하여 자기 몸을 죽였다”고 했으니, 곧 소량(蕭梁) 보통(普通) 8년 정미(527)로 서천축(西天竺) 달마(達摩)가 금릉(金陵)에 온 해다. 이해에 낭지법사(朗智法師)도 처음으로 영취산(靈鷲山)에 머물면서 불법을 열었으니, 원화(元和) 연간(806~8.. 2018. 4. 6.
알공謁恭 생몰년 미상. 신라인. 제23대 법흥왕 때 주된 활동을 보였다고 생각되는데 불교를 공인 포교하려는 법흥왕에 맞서 그것을 반대하는 신료들을 대표하는 인물인 듯하다. 다른 행적은 자세하지 않다. 어떤 기록에는 알공謁恭이라 등장한다. 착간錯簡이 일어난 듯하나, 어느 쪽이 타당한지 판단은 어렵다. 삼국유사 제3권 흥법 제3 원종흥법原宗興法 염촉멸신厭髑滅身 : [원종이 불법을 일으킨 것은 눌지왕訥祗王 시대부터 100여 년 뒤의 일이다.] 신라본기新羅本記에 이르기를 “법흥대왕法興大王이 왕위에 오른 지 14년에 하급 신하인 이차돈異次頓이 불법을 위하여 자기 몸을 죽였다”고 했으니, 곧 소량蕭梁 보통普通 8년 정미(527)로 서천축西天竺 달마達摩가 금릉金陵에 온 해다. 이해에 낭지법사朗智法師도 처음으로 영취산靈鷲山에 .. 2018. 4. 6.
고도녕(高道寧) 고구려 출신 승려로 신라에서 포교활동을 한 아도(화상) 어머니.삼국유사 권 제3 흥법(興法) 제3 아도기라(阿道基羅) : 또 21대 비처왕(毗處王) 때에 이르러 아도화상(我道和尙)이 시자(侍者) 세 사람을 데리고 역시 모례(毛禮)의 집에 왔는데 모습이 묵호자와 비슷했다. 그는 여기에서 몇 해를 살다가 아무 병도 없이 죽었고, 그 시자 세 사람은 머물러 살면서 경(經)과 율(律)을 강독하니 간혹 믿는 사람이 생겼다(주에 말하기를 "본비와 모든 전기와는 사실이 다르다"고 했다. 또 《고승전(高僧傳)》에는 서천축 사람이라고 하고, 혹은 오나라에서 왔다고 한다). 아도본비(我道本碑)를 상고해 보면 이렇다. 아도는 고구려 사람이다. 어머니는 고도녕(高道寧)이니, 정시(正始) 연간(240~248)에 조위(曹魏) 사.. 2018. 4. 6.
성국궁주(成國宮主) 해동고승 권1 2018. 4. 6.
시사(侍史) 해동고승 권1 2018.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