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08 근랑(近郞) 생몰년 미상. 진평왕 무렵 이찬에 있던 대일(大日)이라는 고관의 아들로 화랑으로 다음 사료로 볼 때 화랑 무리를 이끌었다고 추정된다. 삼국사기 권 제48 (열전 제8) 검군 열전 : 검군(劍君)은 대사(大舍) 구문(仇文)의 아들로 사량궁(沙梁宮)의 사인(舍人)이 되었다. 건복(建福) 44년 정해(진평왕 49: 627) 가을 8월에 서리가 내려 여러 농작물을 말려 죽였으므로 다음 해의 봄으로부터 여름까지 큰 기근이 들어 백성들이 자식을 팔아 끼니를 메웠다. 이때 궁중의 여러 사인(舍人)들이 함께 모의하여 창예창(唱倉)의 곡식을 훔쳐 나누었는데 검군만이 홀로 받지 않았다. 여러 사인들이 말하기를 “뭇 사람이 모두 받았는데 그대만이 홀로 물리치니 어떤 이유에서인가? 만약 양이 적다고 여긴다면 청컨대 더 주겠다.. 2018. 4. 6. 대일(大日) 생몰년 미상. 신라 진평왕 무렵 이찬을 지냈으며 그 아들이 화랑 근랑(近郞)이었다.삼국사기 권 제48(열전 제8) 검군 열전 : 검군(劍君)은 대사(大舍) 구문(仇文)의 아들로 사량궁(沙梁宮)의 사인(舍人)이 되었다. 건복(建福) 44년 정해(진평왕 49: 627) 가을 8월에 서리가 내려 여러 농작물을 말려 죽였으므로 다음 해의 봄으로부터 여름까지 큰 기근이 들어 백성들이 자식을 팔아 끼니를 메웠다. 이때 궁중의 여러 사인(舍人)들이 함께 모의하여 창예창(唱倉)의 곡식을 훔쳐 나누었는데 검군만이 홀로 받지 않았다. 여러 사인들이 말하기를 “뭇 사람이 모두 받았는데 그대만이 홀로 물리치니 어떤 이유에서인가? 만약 양이 적다고 여긴다면 청컨대 더 주겠다!” 하였다. 검군이 웃으면서 말하기를 “나는 근랑(近.. 2018. 4. 6. 해미류왕(解味留王) 해동고승전 권 제1 : ☞ 2018. 4. 6. 순도(順道) 생몰년 미상. 중국 전진(前秦)의 불교 승려로 그 왕 부견(符堅)에 의해 소수림왕(小獸林王) 재위 2년(372)에 고구려에 파견돼 포교활동을 전개했다.삼국사기 권제18 고구려본기 제6) 소수림왕 : 2년(372) 여름 6월에 진(秦)나라 왕 부견(堅)이 사신과 중 순도(順道)를 파견하여 불상과 경문(經文)을 보내왔다. 왕은 사신을 보내 답례하고 토산물을 바쳤다. 대학(大學)을 세우고 자제들을 교육시켰다.해동고승전 권 제1 :삼국유사 제3권 흥법 제3 순도조려(順道肇麗) : 에 이렇게 말했다. "소수림왕(小獸林王)이 즉위한 2년 임신(壬申; 372)은 곧 동진(東晉) 함안(咸安) 2년이며, 효무제(孝武帝)가 즉위한 해이다.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사신과 중 순도(順道)를 시켜서 불상(佛像)과 경문(經.. 2018. 4. 6. 마라난타(摩羅難陀) 생몰년 미상. 중국 진(晉) 왕조에서 침류왕 시대 백제로 파견돼 불교 포교 활동을 벌인 승려로 호승(胡僧)이라 한 점으로 보아 중국 본토 출신이 아니라 예컨대 서역이나 인도 출신임을 알 수 있다. 백제 불교의 시작이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2 침류왕 즉위년(384) : 가을 7월에 사신을 진(晉)나라에 보내 조공하였다. 9월에 호승(胡僧) 마라난타(摩羅難陀)가 진나라에서 왔다. 왕이 그를 맞이하여 궁궐 안으로 모셔 예우하고 공경하니, 불교가 이로부터 시작되었다.해동고승전 권 제1 :삼국유사 권3 흥법 3 난타벽제(難陁闢濟) : 에 이렇게 말했다. “제15대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에 14대라 한 것은 잘못이다.) 침류왕(枕流王)이 즉위한 갑신(甲申·384·동진 효무제孝武帝 태원太元 9년)에 호승(胡僧.. 2018. 4. 6. 아도(阿道) - 고구려 불교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고구려 소수림왕에게 보낸 불교 승려로, 이불란사(伊弗蘭寺)에 주석했다. 삼국사기 권 제18( 고구려본기 제6) 소수림왕 : 4년(374)에 중 아도(阿道)가 왔다…5년(375) 봄 2월에 처음으로 초문사(肖門寺)를 세우고 [그곳에] 순도를 두었다. 또 이불란사(伊弗蘭寺)를 세우고 [그곳에] 아도(阿道)를 두었다. 이것이 우리나라 불교의 시작이다. 삼국유사 제3권 흥법(興法) 제3 순도조려(順道肇麗) : 도공(道公) 다음에 또한 법심(法深), 의연(義淵), 담엄(曇嚴)의 무리가 서로 이어 불교를 일으켰으나 고전(古傳)에는 기록이 없으므로 감히 그 사실을 순서에 넣어 편찬하지 못한다. 자세한 것은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에 있다. 고구려본기(高句麗本記)에 이렇게 말했다. "소수.. 2018. 4. 6. 이전 1 ··· 3007 3008 3009 3010 3011 3012 3013 ··· 323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