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8065 김유인의 70세 치사致仕(정년퇴직)와 생일 삼국사기 신라 문무왕본기에 의하면 그 재위 4년(664) "봄 정월에 김유신이 나이가 많음을 이유로 벼슬에서 물러날 것을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고 안석과 지팡이를 내려주었다" 고 하거니와, 이때 김유신은 70세가 되는 해였다. 《예기禮記》 왕제王制편에 이르기를 70세가 되면 치정致政한다 했거니와, 이는 정확히 그 예법이 문무왕 당시에 통용함을 보여준다. 치정이란 글자 그대로는 정사政事를 놓는다는 뜻이니 흔히 치사致仕라 한다. 다시 말해 이 시대 신라는 예기가 대표하는 예법이 그대로 법률 혹은 관습으로 강제되고 있음을 본다. 한데 이에서 주목할 점이 있거니와 하필 김유신이 치정을 요청한 때가 그해 시작 시점인 정월인가 하는 대목이다. 고래로 70 치정에 관련해서는 70세가 되는 시점을 어디로 잡을 것이냐가.. 2018. 1. 20. [김태식의 독사일기(讀史日記)] 8편 잘라버린 남편 ‘귀두’를 음부에 제사지낸 아내 注) 이는 문화유산신문 기고문으로 기사입력시간은 2016년04월11일 13시55분이다. 1. 서악동의 신라 시대 귀부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무덤을 비롯한 중고시대 신라 왕릉 밀집지역인 서악고분군에는 도로를 사이에 두고 그 전면에 봉분 두 기가 붙었으니, 하나는 김춘추 9세손으로 신라 하대 인물인 김양(金陽)이 857년 향년 50세로 졸하고는 묻힌 곳이라고 하며, 다른 하나는 김춘추의 둘째아들 김인문(金仁問) 묘라고 전한다. 이 두 봉문 앞에는 몸돌과 머릿돌은 어디론가 사라져 버리고 그것을 받쳤을 거북 모양 받침돌만 덩그러니 남았으니 이를 서악동 귀부(龜趺)라 한다. 보물 제70호인 이 귀부에 대한 현지 안내판은 김인문 묘비를 받치던 것이라 기술한다. 이 지역에 기반을 둔 역사학도 중에는 김양 묘와 함께 선.. 2018. 1. 20. [김태식의 독사일기(讀史日記)] 7편 귀두 내밀고 지상에 강림한 김수로 注) 이는 문화유산신문 기고문으로 기사입력시간은 2016년 04월 06일 12시 30분이다. 1. 동아시아의 카니발 계욕일 애초 계획은 아니었지만 어찌하다 보니 지금껏 이 독사일기는 고려 시대 도굴 이야기로 채웠다. 여전히 그에 대한 이야기가 더러 남았지만, 다른 곳에도 눈길을 돌려보기로 하자. 이번에는 한국 고대문화에 나타나는 섹스 얘기를 좀 해볼까 한다. 《삼국유사》 기이(紀異) 편에서는 ‘가락국기(駕洛國記)’라는 제하 기사를 통해 김수로에 의한 가야 건국 사정을 정리했으니, 이에 의하면 이 가락국기는 고려 문종시대에 해당하는 대강(大康) 연간(1075~1084)에 금관지주사(金官知州事)를 지낸 사람의 문인이 쓴 원본을 간추린 이야기라 한다. 이때 ‘가락국기’란 그 문인이 쓴 책 이름이면서, 그것을 .. 2018. 1. 20. [김태식의 독사일기(讀史日記)] 6편 조선총독부가 빗장을 연 쌍릉 1917년 야쓰이 세이이치 조사, 목관 발견 注) 이는 문화유산신문 기고문으로 기사입력시간은 2016년03월29일 11시00분이다. 앞서 우리는 충숙왕(忠肅王) 재위 16년(1329) 여름 3월에 발생한 금마군(金馬郡) 호강왕(虎康王) 무덤 도굴이 대규모로 이뤄졌고, 더구나 그에 권력층의 비호가 있었음을 확인했다. 나아가 이 호강왕릉이 실은 백제 무왕의 부부능으로 통하는 지금의 익산 쌍릉임도 보았다. 그렇다면 당시 이들이 도굴한 쌍릉은 도대체 어떻게 생겨먹은 무덤일까? 이를 위해 우리는 식민지 시대에 일본인에 의한 쌍릉 조사 성과를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우리에게 주어진 기록에 의하는 한 충숙왕 때 문을 연 쌍릉이 두 번째로 문을 연 시점이 이때이기 때문이다. 물론 쌍릉은 충숙왕 이전에도 도굴되었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또 그 이후 식.. 2018. 1. 20. [김태식의 독사일기(讀史日記)] 5편 기자조선과 백제, 그 괴이한 조우 “미륵사 석탑은 백성의 고혈 짜낸 죄악” 注) 이는 문화유산신문 기고문으로 기사입력시간은 2016년03월09일 13시55분이다. 《삼국유사》는 승려 일연이 대부분 찬술한 가운데 그 일부는 그의 제자 무극(無極)이라는 승려가 보충했다는 주장이 이제는 적어도 학계에서는 대세를 이룬다. 하지만 그렇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대목도 군데군데 있다. 특히 그 맨 앞에 붙은 가야를 포함한 네 나라 왕들과 후삼국 왕들의 계보인 왕력(王曆)이 그 이하 본문과는 어떤 관계인지는 적지 않은 논란이 있다. 지금 살피고자 하는 백제 무왕(武王) 역시 그러하다. 이곳 왕력 편에서는 백제 제30대 왕인 그를 일러 “무강(武康)이라고도 하는데 헌병(獻丙)이라고도 한다. 혹은 어릴 때 이름을 일로사덕(一耆篩德)이라고도 한다. 경신년(600)에 즉위해 41년을 다스렸다”고 했다... 2018. 1. 20. [김태식의 독사일기(讀史日記)] 4편 고려 충숙왕 시대의 쇼생크 탈출 - 금마군 무강왕릉 도굴범, 감옥을 탈주하다 注) 이는 문화유산신문 기고문으로 기사입력 시간은 016년03월02일 14시00분이다. 이 《독사일기》 맨 처음에 나는 원나라 공주 눌륜의 무덤이 도굴된 일을 다루었다. 이 사건이 발생한 때가 충숙왕(忠肅王) 재위 16년(1329) 여름 4월이다. 한데 이보다 한 달 전에는 금마군(金馬郡) 호강왕(虎康王) 무덤 도굴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을 《고려사절요》 충숙왕 해당 년에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3월에 도적이 금마군에 있는 마한(馬韓) 조상 호강왕의 능을 도굴했다. (도둑을) 붙잡아 전법사(典法司)에 구금했지만 달아났다. 정승 정방길(鄭方吉)이 전법관(典法官)을 탄핵하고자 했지만 찬성사 임중연(林仲沇)이 저지하면서 말하기를 “도적이 옥에 갇힌 지 2년이 되었지만 드러난 장물(贓物)이 없는데도 죽은 자가.. 2018. 1. 20. 이전 1 ··· 3007 3008 3009 3010 30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