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00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Photo by Seyun Oh Situated at the northeast edge of the Wolseong palace site in central Gyeongju, Anapji is an artificial pond constructed by order of King Munmu of Silla Kingdom in 674 CE, and was a part of the Wolseong palace complex, especially for the Crown Prince. The pond irregular shaped seen from above with 200m from east to west and 180m long from north to south contains three small isl.. 2018. 4. 2.
송아지 팔아 청산하는 몸값 전한前汉 왕조 제8대 황제 유불릉刘弗陵은 죽은 뒤에 종묘에 신주가 안치되면서 받은 묘호廟號가 효소황제孝昭皇帝라, 흔히 약칭해서 소제(昭帝)라 한다. 무제武帝 유철刘彻이 아버지고, 어머니는 조첩여赵婕妤니, 생전에는 구익부인钩弋夫人이라 일컬었다. 기원전 94년에 태어나 기원전 87년, 불과 8살에 황제에 옹립되어 재위 13년째인 기원전 74년 6월 5일, 21살에 미앙궁未央宫에서 요절하고 만다. 어린 그를 곽광霍光과 김일제金日磾와 상홍양桑弘羊이 보좌했다. 이런 그가 죽어 묻힌 곳을 평릉平陵이라 하니, 미앙궁에서 전전前殿을 기준으로 동쪽으로 22킬로미터, 아버지 유철이 묻힌 무릉茂陵에서 서쪽으로 6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다. 여타 이 시대 황제릉이 그런 것처럼 평릉 역시 봉분이 사각 쐐기형인 복두형覆斗形이라, .. 2018. 4. 2.
사진보다 사진도덕이 먼저 천마총과 황남대총이 정좌한 경주 대릉원이다. 전면 정중앙 뒤편에 마치 낙타 등 모양을 한 저 무덤이 한반도 무덤 중에서는 규모가 가장 크다는 황남대총이다. 마립간시대 어느 신라왕과 그 왕비를 각기 다른 봉분에다가 매장하되, 그 봉분을 남북쪽에다가 각각 이어붙여 마치 쌍둥이를 방불한다 해서 쌍분(雙墳)으로 분류한다. 고신라시대에는 흔한 봉분 만들기 패턴 중 하나다. 요즘처럼 목련과 사쿠라가 만발하는 이맘쯤이면 이 구역에서 매양 이런 풍광이 빚어진다. 공교하게도 이 방향에서 바라보면 저 쌍분 전면 좌우에 나란한 각기 다른 봉분 사이로 목련 한 그루가 만발한다. 한데 그 모양이 아주 묘하다. 어제 경주에서 내가 포착한 이 장면에서는 무수한 사진기와 무수한 사진작가들이 병풍처럼 늘어친 까닭에 그런 면모가 잘 드.. 2018. 4. 2.
Hwangryongsa and me At the Hwangryongsa Temple site on the drone taken by Seyun Oh 2018. 4. 1.
The Great Tumuli Daereungwon, Gyeongju Photo by Seyun Oh 2018. 3. 31.
Being the Director-General of UNESCO hahaha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되어 봤다. podium에 서 봤다. 2015년 6~7월 독일 본 World Congress Center에서 열린 39th session of the World Heritage Committee에 나는 한국 취재단 일원으로 참관했다. 일원이라 하지만 유일한 한국기자였다. 당시 이 회의에서 우리는 백제역사유적지구를 세계유산에 등재했고, 일본은 진통 끝에 메이지시대 산업혁명유산군을 등재했다. 두 건이 모두 세계유산에 등재되고, 회의장도 그날 일정을 마치고 참관자들이 떠날 무렵, 이쪽에 서 봤다. 대회기간 내내 저 자리는 내가 알기로 딱 두 번인가 사용했을 것이다. 유네스코 사무총장 Irina Bokova가 개회를 선언하고, 폐회를 선언했을 것이다. 두 장면 모두 보지 못했지만.. 2018. 3.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