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12

교정(姣貞) 신라 진흥왕 시대에 화랑 전신으로 원화가 설치될 때 그 우두머리 2명 중 한 명이다. 삼국사기와 해동고승전에는 그 표기가 준정(俊貞)으로 보이는데, 이는 俊과 글자가 비슷한 데서 유래한 誤寫인 듯하다. 삼국유사 제3권 탑상(塔像) 제4 미륵선화(彌勒仙花)·미시랑(未尸郎)·진자사(眞慈師) : 신라 제24대 진흥왕(眞興王)은 성이 김씨요 이름은 삼맥종(彡麥宗)이니, 심맥종(深麥宗)이라고도 한다. 양(梁) 대동(大同) 6년 경신(庚申. 540)에 즉위(卽位)했다. 백부(伯父)인 법흥왕(法興王)의 뜻을 사모해 한 마음으로 부처를 받들어 널리 절을 세우고, 또 많은 사람들에게 중이 되기를 허락했다. 왕은 또 천성이 풍미(風味)가 있어 크게 신선을 숭상하여 민가(民家) 처녀로 아름다운 이를 뽑아 원화(原花)를 삼았.. 2018. 4. 9.
교정랑(姣貞娘) ☞교정(姣貞) 2018. 4. 9.
남모랑(南毛娘) ☞남모(南毛) 2018. 4. 9.
진자(眞慈) 신라 진지왕 시대에 흥륜사(興輪寺)를 근거지로 활동한 승려로 정자(貞慈)라고도 했다. 화랑이 이끄는 단체에도 깊이 관여한 듯하며, 미륵불과 감통하고자 해서 마침내 그 소원을 이루기도 했다. 삼국유사 제3권 탑상(塔像) 제4 미륵선화(彌勒仙花)·미시랑(未尸郎)·진자사(眞慈師) : 진지왕(眞智王) 때에 이르러 흥륜사(興輪寺) 중 진자(眞慈·정자貞慈라고도 한다)가 항상 이 당(堂)의 주인인 미륵상(彌勒像) 앞에 나가 발원(發願)하며 맹세하기를 “우리 대성(大聖)께서는 화랑으로 화(化)하시어 이 세상에 나타나 제가 항상 수용(수容)을 가까이 뵙고 받들어 시중을 들게 해 주십시오”라고 했다. 그 정성스럽고 간절하게 기원하는 마음이 날로 더욱 두터워지자, 어느날 밤 꿈에 중 하나가 말했다. “네가 웅천(熊天) 수원.. 2018. 4. 9.
진자사(眞慈師) ☞진자(眞慈) 2018. 4. 9.
미시(未尸) 신라 진지왕 때 어린 나이에 우두무리 화랑인 국선(國仙)이 되었다는 미스테리한 인물. 부모가 누군지도 모르는 고아지만, 그를 미륵불 화신으로 여긴 흥륜사(興輪寺) 승려 진자(眞慈)가 받들어 왕한테 청해 국선을 삼았다고 한다. 7년 동안 국선으로 재직한 점, 활동연대가 진지왕 대라는 점에서 화랑이 폐지되고, 원화가 부활한 다음 다시 화랑이 부활하고 그 초대 풍월주가 된 설원랑(薛原郞)과 상통하는 점이 많다. 그의 비천한 출생담은 설원랑의 아버지 설원을 실제 모델로 삼은 듯하다. 삼국유사 제3권 탑상(塔像) 제4 미륵선화(彌勒仙花)·미시랑(未尸郎)·진자사(眞慈師) : 진지왕(眞智王) 때에 이르러 흥륜사(興輪寺) 중 진자(眞慈·정자貞慈라고도 한다)가 항상 이 당(堂)의 주인인 미륵상(彌勒像) 앞에 나가 발원(.. 2018. 4.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