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187

남복(男福) 삼국사기 권 제22(고구려본기 제10) 보장왕본기 下 : 25년(666) 왕이 태자 복남(福男)을 보내 당나라에 들어가 태산(泰山) 제사에 참가케 했다.☞고남복(高男福) ☞고복남(高福男) 2018. 2. 23.
고복남(高福男) 삼국사기 권 제22(고구려본기 제10) 보장왕본기 下 : 25년(666) 왕이 태자 복남(福男)을 보내 당나라에 들어가 태산(泰山) 제사에 참가케 했다. 삼국사기 권 제6(신라본기 제6) 문무왕본기 상 : 8년(668)…9월21일에 당나라 군대와 합하여 평양을 에워쌌다. 고구려왕은 먼저 연남산(淵男産) 등을 보내 영공을 찾아뵙고 항복을 청하였다. 이에 영공은 보장왕(寶臧王)과 왕자 복남(福男)·덕남(德男) 그리고 대신 등 20여만 명을 이끌고 당나라로 돌아갔다. 2018. 2. 23.
복남(福男) ☞고복남(高福男) 2018. 2. 23.
온사문(溫沙門) 삼국사기 권 제22(고구려본기 제10) 보장왕본기 下 : 18년(659) 겨울 11월에 당나라 우령군 중랑장 설인귀 등이 우리 장수 온사문(溫沙門)과 횡산(橫山)에서 싸워서 이를 깨뜨렸다. 2018. 2. 23.
안고(安固) 삼국사기 권 제22(고구려본기 제10) 보장왕본기 下 : 13년(654) 조 : 겨울 10월에 왕이 장수 안고(安固)를 보내 군대와 말갈 군사를 출동시켜 함께 거란을 쳤는데, 송막도독(松漠都督) 이굴가(李窟哥)가 막아서 신성에서 우리 군사를 크게 패퇴시켰다. 2018. 2. 23.
보덕(普德) 삼국사기 권 제22(고구려본기 제10) 보장왕본기 下 : 9년(650) 여름 6월에 반룡사(盤龍寺) 보덕화상(普德和尙)이 나라에서 도교를 받들고 불교를 믿지 않으므로, 남쪽으로 옮겨 완산(完山) 고대산(孤大山)으로 갔다.삼국유사 제3권 탑상(塔像) 제4 고려(高麗)의 영탑사(靈塔寺) : 에 말하기를 "중 보덕(普德)은 자(字)가 지법(智法)이니, 전 고구려 용강현(龍岡縣) 사람이다" 했으니 이것은 아래에 있는 본전(本傳)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보덕은 항상 평양성(平壤城)에 살고 있었는데 산방(山方)의 늙은 중이 와서 불경(佛經) 강의해 주기를 청하므로 굳이 사양하다가, 마지못해 가서 열반경(涅槃經) 40여 권을 강의하였다. 강의를 마치고 성 서쪽 대보산(大寶山)의 바위로 된 굴 밑에 이르러서 선관(禪觀.. 2018. 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