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01 수도산 수도암에서(1) 근자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이 느닷없이 김천 수도산에 출몰했다 해서 한바탕 소란이 일었다. 소백산맥을 따라 북상한 모양인데 해발 1317미터 수도산 기슭에서 어슬렁거리는 모습이 두어 차례 목격된 것이다. 그래서인지 추석인 오늘 오후 수도산 기슭 수도암 어르는 길목엔 이 경고문이 있다. 글쎄..저 대처 요령이 실제론 얼마나 효력 있을지는 모르겠다. 기절초풍하는 사람도 있을 테고 나 같은 놈이야 사진기 먼저 꺼내지 않겠는가? 이 경고문이 붙은 곳은 수도산 무흘계곡 중 제1곡 무흘폭포가 있는 곳이다. 근자 비가 많이 왔다더니 물이 넘쳐난다. 글쎄 이런 폭포가 나이아가라며 이구아수며 빅토리아 폭포에야 비할 바겠냐만, 모름지기 규모여야 하리오? 수도산엔 수도산에 맞는 폭포가 나이아가라 아니겠는가? 장관 혹은 .. 2018. 9. 24. 당신 맘 내 맘 같다면 복산자(卜算子) 이지의李之儀 저는 장강 위쪽에 살고요 당신은 장강 아랫동네 살지요. 날마다 당신 그리나 볼 수는 없지만 저 강물은 같이 마신답니다. 저 강물 언제나 그치며 제 한은 언제나 멈출까요. 당신 맘 제 맘 같다면 이 그리움 결코 외면 않으리. 我住長江頭, 君住長江尾. 日日思君不見君, 共飲長江水. 此水幾時休, 此恨何時已 只願君心似我心, 定不負相思意. 2018. 9. 24. 유우석(劉禹錫)이 노래하는 모란(牡丹) 영호 상공 모란에 화답하며[和令狐相公牡丹] 唐 유우석(劉禹錫, 772~842) / 서성 譯 재상 댁 안 화단 가득 핀 꽃한창 피어나는데 집을 떠나는구료낙양이 가깝다고 말하지 마소춘명문 밖이 바로 아득한 하늘 끝이라오 平章宅裏一闌花, 臨到開時不在家. 莫道兩京非遠別, 春明門外卽天涯. 2018. 9. 23. 나은(羅隱) <모란牡丹)> 牡丹(모란) 唐 나은(羅隱·833~909) / 서성 譯 艶多煙重欲開難 여러 꽃 피어날 때 함께 피기 싫더니紅蕊當心一抹檀 온통 분홍색 가운데 붉은 꽃술로 피었네公子醉歸燈下見 귀공자는 취해 돌아가다 등불 들고 살펴보고美人朝揷鏡中看 미인은 아침에 꺾어 꽂고는 거울 속을 바라본다當庭始覺春風貴 정원에선 봄바람이 귀한 줄 비로소 느끼고 帶雨方知國色寒 비가 뿌리면 국색이 추운 줄 그제사 아는구나日晩更將何所似 날 저물 땐 더욱이 무엇으로 비유하랴?太眞無力憑欄干 양귀비가 힘없이 난간에 기댄 것 같아 羅隱(833~909)은 字가 소간(昭諫)이며 신성新城(지금의 浙江 富陽市 新登鎮) 사람이다. 833年(太和 7年)에 태어나 大中 13年(859)에 底至京師하고, 應進士試했지만 歷七年토록 不第했다。咸通 8年(867), 乃自編其.. 2018. 9. 23. 백거이 <모란(買花)> 買花값비싼 꽃 [唐] 백거이(白居易, 772~846) / 서성 譯評 帝城春欲暮 봄이 저무는 장안에喧喧車馬度 수레 오가는 소리 소란스러워共道牡丹時 모두들 모란이 한창 때라 말하며相隨買花去 어울려 꽃을 사러 가는구나貴賤無常價 희귀한 것은 일정한 가격이 없고酬直看花數 값을 지불하며 꽃이 몇 송이인지 살펴본다灼灼百朶紅 타오르는 듯한 붉은 꽃 백 송이면戔戔五束素 다섯 필 흰 비단도 사소하다네上張帳幄庇 위에는 휘장을 펼쳐 덮고傍織笆籬護 주위로는 울타리를 쳐 보호한다水灑復泥封 물을 뿌리고 또 뿌리에는 흙을 덮어遷來色如故 옮겨 심어도 색깔이 변하지 않는다네家家習爲俗 집집마다 기르다 보니 습속이 되어人人迷不悟 사람마다 미혹된 채 깨어날 줄 몰라라有一田舍翁 어느 나이든 농부가 있어偶來買花處 우연히 꽃 사는 곳에 와선低頭獨.. 2018. 9. 23. 유득인(劉得仁) <연화봉(蓮花峰)> 서성 선생 글이다. 유득인(劉得仁)은 공주의 아들로 장안에서 정원(貞元) 연간에 태어났다. 개성(開成), 대중(大中) 연간에 형제들이 모두 현달하였지만, 유득인만이 시문에 각고의 노력을 쏟아 과거를 보고 벼슬을 하려고 하였다. 30여년에 걸쳐 과거를 준비하고 보면서 논밭과 정원을 팔며 생활했지만 결국 급제하지 못했다. 대중 연간 말에 죽었다. 900년 조정에서 진사 급제를 추사(追賜)하였다. 유득인은 요합(姚合), 옹도(雍陶), 정거회(丁居晦) 등과 친하였으며 항상 고음(苦吟)하며 시를 지었다. 특히 오언율시에 뛰어났으며 시풍이 청영(淸瑩)하다. 비록 감정이 깊고 음미할 만한 부분이 있다고 해도 변화가 약해 당시의 설능(薛能)으로부터 “백 수가 한 수와 같고, 시집의 첫 시가 말미의 시와 같다”(百首如一.. 2018. 9. 23. 이전 1 ··· 3193 3194 3195 3196 3197 3198 3199 ··· 350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