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90 파로(波老) 삼국사기 권 제45(열전 제5) 박제상 열전 : 실성왕 원년 임인(402)에 왜국과 강화하니, 왜왕이 나물왕 아들 미사흔(未斯欣)을 볼모로 삼고 싶다고 했다. 왕은 일찌기 나물왕이 자기를 고구려에 볼모로 보냈음을 원망해 그 아들에게 앙갚음하고자 했으므로 거절하지 않고 보냈다. 또 11년 임자(412)에는 고구려가 역시 미사흔의 형 복호(卜好)를 볼모로 삼고자 하니 대왕이 또 그를 보냈다. 눌지왕이 즉위하자 말 잘하는 사람을 구해 보내 (두 아우를) 데려오고자 생각하고 있었으니, 수주촌간(水酒村干) 벌보말(伐寶靺)과 일리촌간(一利村干) 구리내(仇里迺), 이이촌간(利伊村干) 파로(波老) 세 사람이 현명하고 지혜가 있다는 말을 듣고 불러 물었다. “내 동생 두 사람이 왜와 고구려 두 나라에 볼모가 되어 여러 .. 2018. 2. 14. 박모말(朴毛末) 내물왕 때 신라 충신인 박제상의 다른 이름이다. 삼국사기 권 제45(열전 제5) 박제상 열전 : 박제상(朴堤上)은 시조 혁거세 후손이며, 파사 이사금 5세손이다. 할아버지는 아도(阿道) 갈문왕(葛文王)이고, 아버지는 파진찬 물품(勿品)이다.☞박제상(朴堤上) 2018. 2. 14. 모말(毛末) 삼국사기 권 제45(열전 제5) 박제상 열전 : 박제상(朴堤上)은 시조 혁거세 후손이며, 파사 이사금 5세손이다. 할아버지는 아도(阿道) 갈문왕(葛文王)이고, 아버지는 파진찬 물품(勿品)이다.☞박모말(朴毛末) ☞박제상(朴堤上) 2018. 2. 14. 물품(勿品) 박제상 아버지이자 갈문왕인 아도 아들로 정확한 활동연대는 알 수 없지만, 내물왕 혹은 그 이전이다. 최고 관위는 파진찬이다. 삼국사기 권 제45(열전 제5) 박제상 열전 : 박제상(朴堤上)은 시조 혁거세 후손이며, 파사 이사금 5세손이다. 할아버지는 아도(阿道) 갈문왕(葛文王)이고, 아버지는 파진찬 물품(勿品)이다. 2018. 2. 14. 홍유후(弘儒侯) 유학의 큰 선비로 후작에 봉해진 인물이란 뜻인데, 고려시대에 최치원을 높여 추증한 이름이다. 삼국사기 권 제46(열전 제6) 설총 열전 : 우리 현종 재위 13년 천희(天禧) 5년 신유(1021)에 이르러 (설총은) 홍유후(弘儒侯)로 추증되었다. 어느 사람은 말하기를 설총이 일찍이 당나라에 가서 공부를 하였다고 하나 그런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설총(薛聰) 2018. 2. 14. 설총(薛聰) 삼국사기 권 제46(열전 제6) 설총 열전 : 설총(薛聰)은 자가 총지(聰智)이고 할아버지는 나마 담날(談捺)이며 아버지는 원효(元曉)인데, 처음에 승려가 되어 불경을 두루 통달하고 얼마 후에 환속하여 스스로 소성거사(小性居士)라 하였다. 총은 성품이 총명하고 예민하여 배우지 않고도 도술(道術)을 알았고, 방언(方言)으로서 구경(九經)을 읽어 후생을 가르쳤으므로 지금[고려]까지 학자들이 그를 높이 받든다. 또 능히 글을 잘 지었으나 세상에 전해오는 것은 없다. 단지 지금[고려] 남쪽 지방에 더러 설총이 지은 비명(碑銘)이 있으나 글자가 마멸되고 떨어져나가 읽을 수 없으므로 끝내 그의 글이 어떠하였는지를 알 수 없다.신문대왕(神文大王)이 한 여름[5월]에 높고 밝은 방에 거처하면서 설총을 돌아보며 말하였다.. 2018. 2. 14. 이전 1 ··· 3305 3306 3307 3308 3309 3310 3311 ··· 334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