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843

닭과 꿩의 생물분류학적 거리 참고로 닭과 꿩을 포함한 조류 계통도 하나를 첨부한다. 닭과 꿩은 같은 꿩과로 이 안에는 무려 150종이 넘게 속해 있고 이 중 다수가 사육했다. 꿩과 닭은 아주 비슷하지만 전자는 사육이 안 되었고, 후자는 사육에 성공했다. 꿩과에 속한 조류에는 사람들이 그 고기를 좋아하는 것이 많다. 예를 들어 칠면조, 메추라기 등은 모두 꿩과다. 꿩과 닭은 그 안에서도 특히 가까와서 꿩 아과에 속하며속의 단계에서 꿩속과 닭속으로 나뉜다. 사람으로 치자면 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의 관계라고나 할까. 닭고기를 내어 매를 주어 기르다 닭고기를 내어 매를 주어 기르다앞서 조선시대에는 꿩 대신 닭,닭이 꿩의 보조적 역할이라 썼었는데이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 바로 쇄미록에 나와 있는 바, 닭을 잡아 매를 기르는 장면이다. 오희.. 2025. 8. 24.
닭과 꿩: 조선시대의 경우 닭과 꿩은 엄청나게 달라 보이지만 이 두 종은 사실 아주 가깝다. 어느 정도 가깝냐 하면 닭뼈와 꿩뼈는 발굴현장에서 얻으면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몇 가지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있긴 한데 쉽지는 않다. 따라서 과거에 닭뼈로 알던 것이 실제로는 꿩뼈였던 사례가 국제적으로도 꽤 있다. 실제로 이 둘은 맛도 거의 비슷하여 양자 모두 훌륭한 대체재다. 닭과 꿩이 이렇게 비슷하지만 양자간 차이를 또 들자면가장 큰 차이는 닭은 사육이 되지만 꿩은 그게 안 된다는 것이다. 꿩을 사육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역사적으로 증명된 바 없다. 사육이란 건 포획한 후 일정기간 두고 길렀다는 의미가 아니라 계대사육이 된다는 이야기다. 알을 낳아 키우고 다시 새끼를 치는 과정이 반복이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것이 되지 않으면 사.. 2025. 8. 24.
인간은 언제쯤 어디에서 말을 길들였을까? 고대 DNA 분석에 기초한 연구 결과 지금의 스페인 포르투갈 땅인 이베리아 반도에 길들인 말이 등장한 시점이 지금으로부터 대략 4천 년 전쯤이라는 보고가 나왔다는 소식을 전했거니와,야생마가 언제쯤 어느 지역에서 가축화하기 시작했을까를 심층으로 다룬 비교적 최근하는 아티클 하나가 May 19, 2022 스미스소니언 매거진에 실린 적 있으니, 최근 이 분야 흐름을 간취하는 데는 요긴하다 생각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인간은 언제쯤 말을 길들였을까?과학자들은 최근에야 말을 야생에서 길들인 정확한 시기와 장소를 밝혀냈다. 개는 인간의 가장 친한 친구라고 하지만, 말 또한 그 칭호를 공유할 만하다. 말은 사람과 물건을 운반하는 수단, 말 그대로의 마력馬力horsepower을 제공했다. 전차를 끄고 기병을 태.. 2025. 8. 24.
썰매견 DNA가 숨은 그린란드 역사 한 장을 드러내다 by 코펜하겐 대학교 코펜하겐 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연구 기관 연구진이 수행한 썰매견sled dogs의 유전학 지도 작성 연구에 따르면, 이누이트족은 이전에 생각한 것보다 수백 년 일찍 그린란드에 도착했다. 많은 사람한테 개는 가장 친한 친구지만, 그린란드에서 썰매견은 수 세기 동안 단순한 충성스러운 동반자 이상의 존재였다.썰매견은 없어서는 안 될 노동력이자 사냥의 동반자이며, 그린란드 얼음 지대에서 썰매를 끄는 존재이기도 하다. 이제 썰매견 유전체가 그린란드 역사 일부를 다시 쓰고 있다.사이언스지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서 연구진은 오늘날 그린란드 사람 조상들이 이전에 생각한 것보다 수백 년 일찍 캐나다에서 이 큰 섬으로 썰매견과 함께 이주했다는 유전적 증거를 처음으로 발견했다."지금까지 우리는 이누이트.. 2025. 8. 24.
김득신 "파적도"와 쇄미록 평소 무심하게 보아 넘긴 김득신의 파적도破寂圖. 이 파적도는 쇄미록을 읽고 나면 그 일기를 보고 그린 것 아닌가 싶을 정도로 다가오는 느낌이 달라진다. 먼저 고양이-. 오희문 일가는 고양이를 원래 길렀다. 그런데 난리 중에 닭을 키우게 되면서 고양이를 아는 절에 맡긴다. 닭은 키우면서 살림에 보탬이 되는 듯 하지만 자주 없어진다. 주변 야생동물들이 종종 잡아 먹어버리는 것이다. 이쯤 되면 고양이를 괜히 치워버렸다 싶을 것이 이번에는 쥐 때문에 견딜 수가 없는 것이다. 곡식이고 생선이고 간에 쥐가 다 먹어버리니오희문은 쥐 때문에 학을 떼고 결국 절로 가서 고양이를 다시 품에 안고 데려온다. 문제는 그 고양이도 얼마 안 있다가 사라지는 듯. 오희문은 아마도 호랑이가 물고 가버렸나보다, 라고 체념한다. 위 장.. 2025. 8. 24.
조선의 말: 선입견과 실제 모습 조선시대 기병으로 유명했던 사람은임진왜란 이전의 신립이다. 그는 니탕개 난을 진압할때도 기병으로 성공을 거두었고, 임란 개전 시에도 탄금대에서 왜병과 붙었을 때자신있는 기병을 활용해 보려다 옥쇄하였다. 다만 조선시대 우리나라 말의 상태에 대한역사적 기록을 볼 때신립의 기병이라는 것이 과연 어느 정도 호쾌한 존재였을지는 의문이 있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중무장을 하고 병사가 말을 올라타면 말이 자빠져서임금님 앞에서 사열하는데도 갑옷을 입고 타지 못하는 장면이 나온다. 쇄미록에도 나오는 말들은 죄다 비실비실이다. 말은 주로 물건을 나르거나 장거리 여행에 쓰였는데 걷다 자빠지는 녀석들도 많고 병도 많았던 것 같다. 구한말 외국인 선교사 기록에도 조선말 상태는 나오는데, 조그만 녀석이 성질이 더러운 것으로 나온.. 2025. 8.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