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173

등때기 울러맨 동경 동경은 가슴팍 앞쪽으로 걸친 것이 아니라등때기에 울러매고 다녔으며거울판이 바깥을 향했다.왜?그래야 내 등 뒤에서 몰래 다가와 나를 해치려는 놈을 사전에 알고 처단 대비하기 때문이다.지금 모든 박물관 거울 휴대 방식 문제가 적지 않다.거꾸로 소개한 일이 다반사다.경주박물관 국은 이양선 박사 기증 동경 중 이른바 방제경은 명확히 그 착장 방식을 보여준다.등때기에 거울 뒤면이 눌린 것이다.#동경 #구리거울 #동경착장방식동경은 등때기에 둘러맸지 가슴팍에 걸친 것이 아니라는 내 주장은... 동경은 등때기에 둘러맸지 가슴팍에 걸친 것이 아니라는 내 주장은...나는 줄기차게 이와 같은 주장을 했다. 그 가장 결정적인 근거는 동진시대 도사 갈홍 저술 포박자抱朴子에 보이는 기술이었으니 그에서 갈홍은 선경仙經이라는 지금은.. 2025. 4. 5.
[마왕퇴와 그 이웃-90] 마왕퇴 무덤에 묻힌 사람들 법의학적 기법을 동원하면 고고학 발굴에서 얻은 시신에 대한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했다. 물론 백프로 성공한다는 장담은 못한다. 진실에 가장 가까이 다가가고자 할 뿐이겠다. 위는 마왕퇴 무덤 1호분 귀부인의 얼굴 복원 작업이다. 이런 작업은 대개 머리뼈 모양을 CT 등으로 복원 해 놓고 그 위에 근육과 피부 등 연부조직을 붙여 완성한다. 피부와 근육의 두께 등은 인종과 민족마다 다르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그런 데이터를 적용하여 얼굴을 완성하는데 마지막 작업에서 피부의 색깔이나 머리털의 색, 모양 등에 따라 또 얼굴이 달라 보이므로 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많이 노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위 마왕퇴 1호분 귀부인 얼굴에서 눈썹의 모양을 조금만 바꾸어도 인상은 확연히 달라 보일 것이다. 최근에는 몇몇 .. 2025. 4. 5.
[마왕퇴와 그 이웃-89] 개인식별 앞에서 마왕퇴 2호묘의 발굴과 함께 이 무덤군에 묻힌 분들의 신원을 확인할 결정적 증거가 나왔다고 했다. 이에 대해서 조금 더 써 보겠다. 요즘은 뉴스에서 실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이런 소식이 심심치 않게 나온다. 이런 기법은 다양한 과학적 기법을 동원하여 미상의 개인의 신원을 특정하는 것인데, 법의학적 조사 기법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법의학적 조사에서 쓰이는 기법은 그대로 들어다 고고학적 연구에 적용하면 된다. 고고학 발굴에서 확보하는 사람의 시신은 수백년 수천년 된 분일 뿐 현대의 실종자나 범죄 수사에서 접하는 시신과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전에 필자의 졸저 다음 책에 대한 소개를 한 적이 있었을 것이다. 이 책에 실린 이야기가 바로 고고학적 시료를 대상으로 한 그러한 과학적 기법에 대한.. 2025. 4. 5.
AI가 불러낸 고고학 혁명, 아르메니아 와이너리 Oldest Winery Discovered in Armenia! 2007년 아르메니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와이너리를 소개하는 와중에 첨부된 도판이 저것이라 저처럼 와이너리를 명징하게 시각화했다는 사실을 나는 주목한다.AI라는 말이 남발하면서 제대로 실험도 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그 효능을 애써 깎아내리려는 시각이 특히 꼴통 문화재 업계 저류를 관통하고 있음을 내 모르는 바 아니나저 사과는 씹어보지도 아니하고선 실 것이라 하고는 지나치고 마는 일과 하등 진배없다 나는 본다.일단 씹어는 보고선 신지 쓴지 단지 혹은 썩어문드러졌는지 알게 아닌가?그것이 질려야 그때서야 레트로 감성 발동해 지금의 문화재학도들이 꿈꾸는 유물을 다시 찾는 시대가 오리라고 본다.유튜브가 대세인 이 시대에 왜 사람들이 lp판을 찾겠.. 2025. 4. 5.
전북 진안에서 출현했다는 청자 굽기용 벽돌가마 좀 더 자세한 자료가 있었으면 하지만, 일단 발표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한다면, 국내에서 처음으로 온전한 형태로 남은 청자 제작용 벽돌가마가 전북 진안에서 발견됐다고 한다.‘진안 도통리 초기청자 가마터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한 이번 성과를 고려 초기에 시작한 초기 청자 생산 가마의 구조와 제작 기술을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이번 조사 발주처인 진안군과 이를 수행한 국립군산대학교 박물관(관장 곽장근)이 밝혔다 하거니와 조사단이 특히 주목하는 대목은 처음 만든 이래 현재까지 드러난 양상을 볼 적에 12차례 정도 개보수를 진행하면서 줄곧 사용한 이 가마가 처음에는 벽돌로 만들었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진흙가마로 진화해간 과정이 드러난 사실이라고 본다. 이를 보여주듯 "벽돌가마와 진흙가마.. 2025. 4. 5.
뉴그레인지Newgrange, 신석기 문화의 기적 Newgrange is a prehistoric passage tomb located in County Meath, Ireland, and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nd well-preserved archaeological sites in the country. It is part of the Brú na Bóinne UNESCO World Heritage Site, which also includes other ancient monuments like Knowth and Dowth. 모름지기 고고학을 하는 사람이라면 아일랜드는 꼭 둘러봐야 한다. 내가 그랬기 때문에 그렇지 못한 사람들한테 자랑하려 하는 말이 아니다. 나아가 내가 본 그곳 관련 흔적이 다른 곳보다 우월해.. 2025.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