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75

캐갈까 무쪄워 호남화단의 시조랄 수 있는 소치 허련(1809-1893). 뒷사람들은 흔히 '운림산방 5대'라는 자손의 화맥畵脈만을 이야기하지만, 당대부터 그는 제자를 여럿 길러냈다. 그들은 호남 각지에 뿌리내려 작품활동을 하였는데, 당연하게도 소치풍風 그림을 그렸다. 그래서 그들이 소치 그림을 갖지 못한 이들의 수요를 채워주고, 누군가는 그들의 작품에서 낙관을 교묘히 도려내 스승 소치의 위작으로 둔갑시켰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소치의 제자, 또는 소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여겨지는 화가 중 난원 김환주(1877-?)라는 이가 있다. 해남 출신으로 서화에 이름이 있어 흥선대원군이 호를 지어주었다는 미방 김익로(1845-1915)의 아들인데, 김환주 역시 그림을 잘했다 하나 전해지는 작품은 드물다 한다. 이 사진이 그 .. 2024. 9. 20.
성리학 벽이단론闢異端論의 기원: 맹자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성리학의 벽이단론 기원은 맹자다. 맹자는 이단을 통렬히 비판하였는데 막상 이단에 대한 처분에 대해서는 생각만큼 가혹하지 않았다. 맹자는 이단을 물리치는데 대해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하였다. 孟子曰: “逃墨必歸於楊, 逃楊必歸於儒. 歸, 斯受之而已矣. 墨氏務外而不情, 楊氏太簡而近實, 故其反正之漸, 大略如此. 歸斯受之者, 憫其陷溺之久, 而取其悔悟之新也. 今之與楊墨辯者, 如追放豚, 旣入其苙, 又從而招之.” 放豚, 放逸之豕豚也. 苙, 闌也. 招, 罥也, 羈其足也. 言彼旣來歸, 而又追咎其旣往之失也. ○ 此章見聖賢之於異端, 距之甚嚴, 而於其來歸, 待之甚恕. 距之嚴, 故人知彼說之爲邪; 待之恕, 故人知此道之可反, 仁之至, 義之盡也.군자가 이단을 처분하는 방법은 엄하게 대하되 돌아오면 다 받아주고 도망.. 2024. 9. 20.
과격한 척불론은 성리학의 본령이 아니다 물론 척불론은 성리학자들이 계속 이야기한 부분이긴 하다. 당대의 거목 유학자로 성리학의 남상을 이룬다고 평가받는 한유도 그 유명한 (논)불골표에서 척불의 뜻을 남겼고 이 글은 그 후 천여년간 유학자들이 줄곧 읽고 읽고 또 읽었다. 우리나라 성리학자들의 모든 척불론도 이러한 흐름의 파생이다. 그런데-. 척불론은 성리학의 주장에 분명히 들어 있기는 하지만 그 누구도 조선처럼 불교의 씨를 말리라고 한 사람은 없다. 벽이단론闢異端論은 이미 맹자에서 나오는 오래된 유교의 주장이지만 이 벽이단론은 불교를 씨를 말려버리라는 소리가 아니다. 이 때문에 척불론을 포함한 성리학이 국가체제교학이 된 송대 이후의 중국, 에도시대 이후의 일본에서도 불교는 여전히 살아 남은 것이다. 이 두 나라에서는 중앙정치와 사대부의 정신세계.. 2024. 9. 20.
아는 것보다 더 나간 여말선초의 사대부들 우리나라 성리학자들이 사서집주에서 주희가 적어 놓은 이야기를 완전히 이해하게 된 것은 16세기이지 싶다. 사서집주가 워낙 유명하고 쉽게 접할 수 있다 보니 이를 우습게 보는 경우도 있던데 사실 성리대전이니 하는 성리서를 본다고 해서 사서집주의 수준을 많이 뛰어 넘는 것이 아니다. 조선성리학 16세기의 발전은 성리대전과 각종 성리서를 수입해서 이루어진 게 아니라 사서집주에 대한 오랜 침잠의 결과로 그 내용을 마침내 이해하게 된 데서 온다. 사서집주의 성리철학 주가 이해하기 상당히 난해해서 그것을 이해하고자 주자어류니 성리대전이니 하는 것을 보는 것이지 사서집주의 주자 주 자체가 수준이 낮은 것은 절대로 아니라는 말이다. 사서집주의 주자 주를 다 이해하면 다른 성리철학 관련 서적은 볼 필요도 없다. 그 안에.. 2024. 9. 20.
절 재산이 탐나 벌인 척불정책 물론 성리학에는 척불적 기조가 있다. 그런데-. 그 척불적 기조의 정도가 문제겠는데, 당장 성리학자의 원류 중 하나로 척불론의 원조격이 될 한유만 해도 논불골표論佛骨表 등을 보면,부처의 말을 다 믿지 말고 이를 중앙 정치판에 끌고 오지 말라는 이야기지절 집을 뺏고 재산 몰수하라는 소리가 아니다. 조선에 들어오기 이전의 송-원대 성리학자들 주장 어디에도 절집 재산 빼앗고 박해하라는 소리는 없다. 중국에서는 역사적으로 네 번의 폐불운동이 있어 불교를 탄압했는데정작 성리학이 흥한 후 북송대 이후에는 제대로 된 폐불운동이 일어난 바 없다. 앞에서도 한 번 쓴 것 같은데 여말선초 조선의 성리학자들이 이해하는 성리학 수준은 그다지 깊지 않아 솔직히 말하면 주자의 사서집주 주석도 완전히 이해 못한 수준이었을 것이라 .. 2024. 9. 20.
의식용 칼들이 말하는 스키타이 황금문화 아래 논문이 인용하는 스키타이 장식용 검 도판들이다. Golden Swords of the Early Nomads of Eurasia: A New Classification and Chronology by Denis TopalORCID History, Archaeology, and Museology Department, National Museum of History of Moldova, MD-2012 Chișinău, Moldova Arts 2024, 13(2), 48; https://doi.org/10.3390/arts13020048Submission received: 11 August 2023 / Revised: 30 January 2024 / Accepted: 2 February 2024 / Pu.. 2024. 9.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