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뼈다구만 앙상하게 남은 고인돌묘

by taeshik.kim 2024. 7. 20.
반응형



울진 봉평리 신라비 전시관 야와에 전시 중인 울진 나곡리 1호 고인돌이다.

저 안내판 박물관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 지석묘(支石墓, 고인돌 무덤)는 원래 울진군 북면 나곡리 662번지에 있었으나, 2023년 정밀발굴 조사된 후 전시를 위해 이곳으로 이전ㆍ복원되었다.

고인돌 무덤은 주로 청통기시대 무덤으로 그 형식은 크게 탁자식卓子式, 기반식碁盤式, 개석식蓋石式으로 분류된다.



탁자식은 4개의 편평한 돌[판석板石]을 세워 장방형의 돌방[석실石室]을 구성하고 그 위에 덮개돌[상석上石]을 올려놓은 것으로 돌방이 땅 위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반식은 지하에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덮개돌을 올려놓았는데, 덮개돌 아래에 받침돌[지석支石]을 고인다.



개석식은 지하에 돌방을 만들고 받침돌 없이 덮개돌로 돌방을 덮은 형식이다.

이 나곡리 지석묘 1호는 덮개돌은 남-북향으로 놓여 있었고 평면 형태는 부정형으로 크기는 길이 275, 너비 186, 두께 65cm이다.

또 윗면에 27개의 성혈星穴이 파여 있다.



그동안 이 고인톨 무덤은 무너져 있어서 기반식으로 추정되어 왔으나, 정밀발굴조사 중 울진군 학예연구사 심현용에 의해 탁자식으로 밝혀졌다.

2014년 울진군 북면 나곡리 산 105-11번지에서 탁자식 고인톨 무덤 1기가 발견된 이후 울진 지역에서 두 번째로 탁자식 고인돌 무덤이 확인된 것이다.

탁자식 고인톨 무덤은 주로 한강 북쪽에서 확인되며, 그 남방한계선은 경남 거창, 전남 영암 강진이며, 동해안 지역에서는 그동안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이렇게 울진이 위치한 동해안 지역에서 탁자식 고인돌 무덤이 확인된 것은 최초로, 향후 청동기시대 무덤 연구에 중요한 학술적 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동해안지역의 당시 문화적 교류와 이동 경로 등을 연구하는데 울진지역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꼭 이 경우가 아니라 해도 거대 고인돌묘 중에서도 이른바 탁자식이라 해서 상다리 모양으로 길축하니 저러 식으로 세우는 고인돌묘를 거개 저런 식으로 복원한다. 

실제 그런 대로 본래 모습을 유지한 탁자식 고인돌은 거개 저린 식이니 말이다. 

저게 본래 모습이라고 보는가?

저런 식으로 무슨 무덤이 무덤 기능을 한단 말인가?

무엇보다 도굴이나 침탈에 대한 그 어떤 방어망도 없다. 

저런 식으로 생긴 고인돌묘는 내가 저 속만 쏙 파서 물건 꺼내고 내가 우리 집 무덤으로 쓰면 된다.

저런 식으로 무덤을 만들었단 말인가?

내가 저와 같은 고인돌묘에는 저 위를 다 덮어버리는 흙무지 같은 별도 보호막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그렇다면 저와 같은 고인돌묘가 봉분이 있었다는 근거가 있는가?

왜 없어? 있는데 다 흘려버렸을 뿐이다. 

고정에 익숙해지면 애미애비도 몰라본다.

반응형

댓글